• 제목/요약/키워드: Activities of Development on Reading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2초

국어과 교육에서의 환경교육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 최미숙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2권1호
    • /
    • pp.40-63
    • /
    • 1999
  • As the environmental problems are recognized as daily problems in our lives, not as issues of those who are engaged in specific professional fields, the interest in environmental education is increasing graduall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the one that studies the environment and its problems and seeks the solutions for them. This paper deals with how the Korean subject will includ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environmental problems are already dealt with in the Korean textbooks according to the 6th curriculum for the Korean subject. A noticeable fact is that those textbooks connect the skills for language skills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is, the textbooks try to improve 4 language skills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with the Korean data related to environment, which can be the most practical means. This tendency will be also reflected in the 7th curriculum for the Korean subject, and the means will be taken by which environmental education will be able to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through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In case of speaking and listening, learning activities such as speaking of, listening to, or discussing the contents concerning environmental problems can be recommended. In case of reading and literatur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reading articles or works concerning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these learning activities the Korean education will be able to achieve the goal in the fields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autonomy or attitudes which are the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f the contents of the Korean curriculum are described in detail, it can be known that the Korean subject have someting to do with knowledge, skills, and recognition more deeply. In the methods In obtain information and knowledge, it will be desirable to recogniz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directly through various reading data rather than to recognize knowledge and information directly. Or it will be desirable to increase the sensitivity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literary works. For this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above, we need to utilize discussion or presentation-oriented leaching and learning in the Korean education. Also we need to approach environmental problems by using various teaching media. We need to emphasize the education in the affective domain, especially through expression of emotions. guidance of reactions, internalization, personification, and so on.

  • PDF

대학도서관의 수업·학습 활동 지원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s of Academic Library for Supporting Class and Learning Activities in Korea)

  • 이용재;이지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59-37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이 이용자를 위한 수업 및 학습활동 지원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서를 수집하고 발전계획서에 나타난 수업 및 학습 활동 지원 계획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가장 많은 도서관들이 '학습자료 확충'을 중시하여 발전계획서에서 추진계획을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독서교육 및 독서프로그램 확대', '전자자료 확충', '특성화자료 확충' 순으로 실행계획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수업 및 학습활동 지원 강화 방안으로 '수용자 중심의 장서개발 및 학습자료 확충',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장애인 및 외국인 학생을 위한 포용서비스 확대'를 제시하였다.

범교과 학습주제를 적용한 진로독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Reading Program Applying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s)

  • 송지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67-2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 교육과정과 연계할 수 있는 범교과 학습주제의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에 활용할 수 있는 진로독서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주제를 10개 주제로 범주화하고, 진로교육의 세부 내용요소를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범교과 학습 활동을 통해 독서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둘째, 중학생 5개 반 137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범교과 기반의 진로독서 수업모형을 통해 자기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 영역의 진로독서 수업을 실행하였다. 셋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진로독서 평가 자료를 구축하여 분석하였으며 일화기록과 체크리스트의 다각적인 관찰과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진로독서 스토리텔링과 흥미유형의 진로 멘토 중심 도서목록 자료를 제시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진로독서 교육 활동을 제안하였다.

공학중심 Reading & Maker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Reading and Maker Educational Program Centered on Engineering)

  • 박정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49-157
    • /
    • 2019
  •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기초소양을 바탕으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은 SW교육 STEM융합교육과 연계된 메이커교육을 통해 신장시킬 수 있다. 한편 메이커교육에 앞서 선결되어져야 할 과제로는 테크놀로지 중심 접근보다는 교육방법적 접근이 필요하고 참여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단순히 메이커 활동을 안내하기보다 흥미와 공감을 갖고 스스로 능동적인 메이커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공학중심 Reading & Maker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적용 후 메이커 인식조사 결과는 사전검사보다 통계상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p<.000).

4차 산업혁명 기반 진로탐구 독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Career Consciou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영선 ;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19-347
    • /
    • 2023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진로탐구 독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참가자들의 진로의식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자 초등학교 학생 대상 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12회기의 진로탐구 독서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시행한 후 진로발달 검사를 실시하였을 때,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진로발달의 아홉 가지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만족도 조사와 반응 조사 및 면담 결과, 진로탐구 활동에 대한 성취감을 증가시키고 미래 직업 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발견하였다.

전문가 협력을 통한 어린이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책수리마수리" 프로젝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 (Collaborative Network for Children's Reading Program: Making of Bookmagic)

  • 김은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73-389
    • /
    • 2010
  • 이제까지 개발된 많은 어린이 대상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사서모임이나 교사모임, 어린이책 시민단체, 연구자 집단, 독서관련 사기업, 출판업계 등 직무와 관련된 단체별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개별 단체 내에서는 독서교육에 대한 성과와 노하우가 상당히 축적되고 공유되었으나, 단체 간의 상호교차적인 정보와 기술의 교환은 활발하지 못했다. 그 결과 다른 전문가 집단의 성과를 어린이 사서가 공유하고, 자신의 경험에 대해 다른 전문가 집단과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희박했다. "책수리마수리"는 책을 매개로 어린이와 청소년을 만나는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이 모여 만드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이다. "책수리마수리" 프로젝트가 시범적으로 이루어진 2010년의 경우, 연구자, 공공도서관 사서, 학교도서관 사서, 초등학교 교사, 그림책 작가, 코디네이터 사서가 한 팀이 되어 ‘크기'를 주제로 다양한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전문가 협력을 통해 어린이 사서는 잘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이식하는 전달자를 넘어서 프로그램의 개발에서부터 진행까지 주체적으로 관여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인적자원의 네트워크와 함께 활동할 수 있게 된다.

  • PDF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증강현실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 및 수업 모형 설계 제안 (A Proposal for the Design of Augmented Reality Reading Activity Application and Class Model Based On Nuri Curriculum)

  • 김서영;김태우;이경업;조유빈;김정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355-360
    • /
    • 2023
  • 최근 디지털의 발달로 아동들은 미디어 매체에 많이 접하고 있다. 독서 활동이 줄어 책에서의 정보를 습득하거나 습득한 정보를 정리하고 기억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증강현실이 접목된 교육이 학습에 대한 아동의 참여도와 몰입도를 높이므로, 우리는 아동의 독서 흥미도와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증강현실 기술이 도입된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또한, 5가지의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들어갈 놀이 중심의 독후활동을 설계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제안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수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놀이 중심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수업 모형 설계에 따른 개념적인 사고의 틀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 어린이집을 방문하고 전문가가 참관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참관한 전문가들에게 독후활동 수업 모델 및 운영의 적합성 검토를 위해 미리 제작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우리의 수업 모형 설계는 한정된 도서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윤리상의 문제로 아동 대상으로 대규모 실험을 진행하지 못하여 연구의 결과가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 하지만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독후활동 수업 운영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학교도서관 융합독서교육을 위한 교육방법 및 모형개발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Method and Model for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y)

  • 조수연;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5-33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2022개정 교육과정과 미래 교육의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공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모색하며 독서교육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복잡하고 다원적이며 급격한 정보통신 발전의 속도 속에서 정보를 읽고 선별하며 재구성하는 정보활용능력 뿐만 아니라 불확실한 미래와 다변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변혁적 역량이 중요함에 따라 창의적이고 협력적인 문제해결의 방법 및 과정을 탐색하고 도출하기 위해 독서를 매개로 탐구하고 소통하는 경험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의 총론 및 각론, 국제 교육 프로젝트의 및 평가의 영약과 지표를 분석하고 학문적 이론과 연구를 정리하여 고등학교 독서교육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창의·융합 수업전략과 독서활동 내용을 구성하여 학교도서관 독서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독서수업모형은 독서교육 및 교육과정 관련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수정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수정한 모형은 교육 현장에서 수업을 실연하고 적용평가를 통해 보완하여 최종 학교도서관 융합독서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의 도서관 발전과 독서진흥을 위한 민간단체와 정부의 협력에 관한 고찰 (NGO-Government Partnership for the Dynamic Development of Korean Libraries ann the Promotion of Reading)

  • 한상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31
    • /
    • 2006
  • 우리나라의 도서관들은 21세기에 들어서 역동적인 변화를 추구하였는데 그 이유 중의 하나는 도서관관련 시민단체들이 꾸준히 시민의 입장에서 도서관 문제를 바라보고, 문제점을 도출해서 규명하구 이를 널리 사회에 전달하고 해결책에 대한 소통구조를 활성화 시켰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각각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민단체하고 할 수 있는 '학교도서관살리기국민연대'와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즉, 이들 단체의 역사, 활동 그리고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을 발전시키기 위해 정부와 어떻게 협력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지속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과 스포츠 활동 시간이 청소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th Impacted by the Used Time of Smart Devices and Sports Activities)

  • 권미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11-217
    • /
    • 2014
  • 스마트폰이 주도하는 스마트 혁명은 우리의 일상생활 전반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혁명은 우리에게 많은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지만 반면에 역기능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미래의 주인공인 청소년들의 과도한 스마트 기기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과 스포츠 활동 시간 등이 청소년의 감성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이 감성 지능에 부(-)의 관계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 활동 시간도 감성 지능에 정(+)의 관계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인 분석으로 독서량도 감성 지능에 정(+)의 관계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활동, 즉 스포츠 활동이나 독서는 청소년의 감성 지능 발전에 도움이 되는 반면, 스마트 기기의 사용은 청소년의 감성 지능 발전에 저해 요인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