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e fire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4초

스프링클러설비에 의한 연기제어효과 고찰 (A Brief Study on Smoke Suppression Effects by Sprinkler Spray System)

  • 차종호;윤명오;최춘배;이선경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60-565
    • /
    • 2006
  • 스프링클러설비는 능동적 소화시스템 중 가장 효과적이며 신뢰성이 높은 시스템이다. 또한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함으로써 방화구획을 완화할 수 있으며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 및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의 급기가압시스템에서 차압을 12.5Pa(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25Pa)으로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면도 고려되어질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을 별도의 논문으로 다룰 것이다.

  • PDF

관광호텔의 화재손해 위험관리방안 - 화재발생현황과 대형화재사례 분석 중심 (A study on Fire Case and Countermeasure of Tourist Hotel)

  • 한석만;손정현;김종원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362-375
    • /
    • 2012
  • 관광호텔은 숙박과 음식점, 운동, 휴양 등의 부대시설을 함께 갖춘 불특정 이용객과 투숙객 이 많은 복합시설로서 화재발생에 따른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에 매우 취약한 위험이 상존하는 시설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호텔의 화재발생 현황에 대한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 년간의 화재통계분석과 대형 호텔화재사례 15건을 분석하였다. 화재발생 장소는 호텔 객실 (33.2%)과 음식점 주방(11.8%)가 주요 발생장소이며 주요 화재원인인 전기화재(40.8%), 담배화재(14.5%), 용접 등 화기작업(9.2%)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재사례연구에서는 방화구획설치 및 관리 불량, 가연내장재 사용 등이 연구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모든 사례에서 나타나서 주요 화재위험으로 분석되었다. 관광호텔은 이러한 화재위험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방화위험관리의 개발과 현장 운영이 필요하다. 예방점검, 사용자 교육 및 훈련, 투숙객의 화재예방안내 등의 적극적 예방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화재의 연소확대를 차단하기 위한 방화구획의 관리, 스프링클러 등의 자동소화설비를 설치가 필요하며, 가연성 물질의 사용 을 자제하여야 하고, 투숙객 피난 안전에 대한 신속한 조치, 비상절차 등과 관련된 비상대응규정의 운용이 매우 중요하다.

효과적인 선상 수소화를 위한 소방원 장구 및 화재진압 시나리오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Fire-fighter's outfits and fire-fighting scenarios for effective water-extinguishment on ship)

  • 심효상;박영수;하원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0-102
    • /
    • 2016
  • 선박에 고립성에 의해 선원들은 선상 화재 시 직접 화재를 진압해야하는 위험에 직면해있다. 따라서 현재의 규정에 따른 소방원 장구나 화재진압 시나리오가 안전하고 유효한 것인지에 대한 실제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이에 해상과 육상의 소방원 장구 및 화재진압 시나리오를 비교하고, 실제 선박에서의 화재발생 장소 및 빈도의 통계를 산출하여 현재의 선상에서의 화재진압 시스템 및 소방원 장구의 한계점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실제 선종 및 크기별 각선의 도면을 검토하여 화재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선내 구역까지의 거리 등을 산출하여 더 많은 실험군에 대한 실제 소방원 장구 착용자 인원수의 증감 및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실험 및 현직 승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가장 이상적인 소방원 장구 및 화재진압 시나리오를 도출하고자 한다.

  • PDF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재해 분석 (Forest Fire Damage Analysis Using Satellite Images)

  • 강준묵;장천;박준규;김민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28
    • /
    • 2010
  • 산불은 산림의 주요 교란요소중의 하나로써 산림 구조와 기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산불피해강도에 따라 피해 후 식생회복 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 산불피해지의 피해강도와 식생회복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예산이 필요하다.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산불피해지의 피해량 분석은 신속한 정보는 물론 대규모 피해지의 객관적인 결과를 원격으로 신속하게 취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청양 예산 지역의 산불발생 전 후 위성영상을 이용한 분류 기법을 통해 연구대상 지역의 산불피해 정보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불발생 전 후의 다 시기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영상 분류를 통해 산불피해 지역의 면적을 산출하였으며 수치임상도와의 중첩분석을 통해 피해지역 삼림의 수종, 영급, 경급 및 수관밀도별 피해량을 효과적으로 산정할 수 있었으며 분류결과와 NDVI를 이용하여 식생회복을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

밀폐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시간 평가 (Evaluation of the Closed-type Sprinkler Head Activation Time)

  • Moon-Hak, Jee;Sung-Yull, Hong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8
    • /
    • 2004
  • 주도적인 능동형 소화방식인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는 산업설비뿐만 아니라 원자력발전소의 화재를 제어하거나 진압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가장 적절한 소화설비를 선택하였을 때 열감지부의 적절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라는 사실은 언급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론과 경험적인 접근에 의하여 열감지부의 동적특성에 대한 적절할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용융식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시간을 단순화재성장의 경우와 시간의 자승에 비례하는 화재성장의 경우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비교의 결과와 감지부의 열적 동작 경향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시간을 예측함에 있어 가장 적절한 수식에 대한 기술적인 평가를 제시하였다. 또한 성능기반의 화재방호기술 접근분야에서 가장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시간 자승의 수식을 사용할 때 반영하여야 할 일부 아이디어를 함께 제시하였다.

특수재난지역 정찰로봇 시제품의 성능평가연구 (Performance Evaluation of Search Robot Prototypes for Special Disaster Areas)

  • 곽지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09-118
    • /
    • 2015
  • 고열과 다량의 연기, 유독가스, 방사능 등을 수반하는 사고 현장에서 소방관을 대신하여 시야확보가 가능하고 화염으로 인한 고열을 극복하며 탐색 및 구조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3종의 특수한 정찰로봇이 최근 개발되었다. 이러한 로봇은 내열성능과 다양한 장애물 극복성능이 있어야 하고 화재진압성능과 탐색성능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수재난지역 정찰로봇의 다양한 성능시험을 통해 실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시험결과 소형 및 중형 로봇은 $100{\sim}200^{\circ}C$의 주위환경에서, 소방관탑승형 로봇은 $500^{\circ}C$의 환경에서도 30분 이상 활동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소방관 탑승형 로봇은 A 10 단위 화재모형을 3분 이내에 소화하여 화재진압성능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종 로봇 모두 다양한 장애물 극복성능과 현장운용성능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어 특수재난현장에서의 활약이 기대된다.

취학 전 자녀를 둔 여성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와 배우자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spouse support on parenting stress in female fire fighter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 채가영;백미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7-98
    • /
    • 2015
  • Purpose: Job satisfaction, spouse support, parenting stres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parenting stress in female fire fighter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were examine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female fire fighters who worked at the fire station from June to July 2013 and had preschool-aged childre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Results: Average job satisfaction was 2.81, spouse support was 3.54, and parenting stress was 3.61.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pouse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spouse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included employment period (${\beta}$=0.093, p <.05), a husband who is not a fire fighter (${\beta}$=-8.971, p <.05), having three children (${\beta}$=27.395, p <.05), delegating childcare to relatives (${\beta}$=9.605, p <.05), income (${\beta}$=-0.920, p <.05), and spouse support (${\beta}$=-0.589, p <.05). Conclusion: To reduce parenting stress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female fire fighter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should be assigned to stable administrative work instead of stressful on-site work. Husbands who are fire fighters should take advantage of paternity leave,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to increase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parenting.

Trend Analysis of Wildland Fires and Their Impacts on Atmospheric Environment over East Asia

  • Shin, Sung-Kyun;Lee, Kwon-Ho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0권1호
    • /
    • pp.22-31
    • /
    • 2016
  • Active fire products from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satellite observation during the 16 years from 2000-2015 were analyzed to estimat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wildland fires over East Asia (region of interest: $20^{\circ}N-55^{\circ}N$, $100^{\circ}E-150^{\circ}E$). GLOBCOVER 2009 land cover data were also used to investigate the trend in wildfire occurrence with respect to each land cover typ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st number of wildland fires occurred in the evergreen and vegetation covered areas, and strong seasonal variations were found in these areas. Total numbers of fires were 283,683 and 202,543,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wildland fires in croplands occurred mainly during summer season and distinguishable increasing trends were found. The correlations between number of wildland fires and air pollutants, such as black carbon, organic matter, and carbon monoxide, were also calcula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tensity of the air pollution caused by the wildland fire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column carbon monoxide contents and the occurrence of wildland fire was found. In addition, this correlation was higher than the correlation between fire occurrence and black carbon or organic matt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significant amount of carbon monoxide originated from the wildland fires and influenced the regional atmospheric environment in East Asia.

Developments of Fire-Resistant Wooden Structural Components and Those Applications to Mid- to High-Rise Buildings in Japan

  • Hanai, Atsunari;Nakai, Masayoshi;Matsuzaki, Hiroyuki;Ohashi, Hirokazu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21-233
    • /
    • 2020
  • Based on past experiences of natural disasters and fires in Japan, it is stipulated by law that fire-resistant buildings larger than a certain size should be unique in the world. Recent interest in global environmental issues has led to the active introduction of wooden buildings also in Japan, and it is expected that wooden buildings will become larger and higher in size. This paper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fire-resistant laminated timber with a "Self-Charring-Stop layer", the contents of this development including other related developments, and the application of these technologies. In addition, towards the realization of much larger and higher buildings in the future, the current problems and issues to be solved are set and the necessity of the future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described. Finally, a conceptual model of wooden high-rise building is proposed, which will be able to be constructed in 2025 by the further technological development.

국내외 민간 방재조직의 특성에 관한 비교 분석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foreign civil anti-disaster organizations)

  • 김보균;이정혁;채종식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27-143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activity on domestic and foreign civil anti-disaster organizations, related suggestions, and development plan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ocumentary survey research method and the technical approach method. Civil anti-disaster organizations' information was derived from detailed scholarly monographs, specialty publications, and previous studies of master doctorate dissertation. Results: Volunteer Fire Department and voluntary crime prevention groups show problems related to budgetary deficits and volunteer deficiency.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laws must be enacted to guarantee interest and support. In addition, the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CAIND) organization requires a dedicated salary system to address the investment of its workforce and the cost of heavy equipment. Moreover, deficiencies were revealed regarding the lack of systems in support of occup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conclusion, several weak points require close atten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study about the domestic and foreign civil anti-disaster organizations provide insight into identity materialization and concept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