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mprovement of Fire-fighter's outfits and fire-fighting scenarios for effective water-extinguishment on ship

효과적인 선상 수소화를 위한 소방원 장구 및 화재진압 시나리오 개선에 관한 연구

  • Sim, Hyo-Sang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 Park, Young-Soo (Maritime Transportation and Science,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 Ha, Won-Jae (Global Maritime Studies,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심효상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박영수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수송과학부) ;
  • 하원재 (한국해양대학교 해사글로벌학부)
  • Published : 2016.05.19

Abstract

Every crew are in great peril that they should put out a fire on board in person due to a property of ship isolated. Accordingly, it is essential to verify whether the fire-fighter's outfits and fire-fighting scenarios in accordance with present regulations are safe and effective actually.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shore fire-fighter's outfits and fire-fighting scenarios and those on ship and statistics calculation of the place and frequency of the fire of actual ship, present limitations of fire suppression system and fire-fighter's outfits were proved. In addition, derive the distance to the place on ship that has highest frequency of fire occurrence from examining actual ship's drawings according to their description and size. Finally from experiments in more experimental groups by changing numbers of actual fire-fighters and environment and conduction of survey of a number of crew in active service on ship, the most effective fire-fighter's outfits system and fire-fighting scenarios will be derived.

선박에 고립성에 의해 선원들은 선상 화재 시 직접 화재를 진압해야하는 위험에 직면해있다. 따라서 현재의 규정에 따른 소방원 장구나 화재진압 시나리오가 안전하고 유효한 것인지에 대한 실제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이에 해상과 육상의 소방원 장구 및 화재진압 시나리오를 비교하고, 실제 선박에서의 화재발생 장소 및 빈도의 통계를 산출하여 현재의 선상에서의 화재진압 시스템 및 소방원 장구의 한계점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실제 선종 및 크기별 각선의 도면을 검토하여 화재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선내 구역까지의 거리 등을 산출하여 더 많은 실험군에 대한 실제 소방원 장구 착용자 인원수의 증감 및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실험 및 현직 승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가장 이상적인 소방원 장구 및 화재진압 시나리오를 도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