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standards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9초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 양상에 대한 국제 비교: 프랑스, 호주,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주를 중심으로 (International Comparison of Ways in which Competencies is Reflected in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France, Australia and British Columbia in Canada)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35-160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과 교육과정에 역량을 반영하고 있는 국가를 연구 대상 국가로 선정하여 각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어떠한 역량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에 대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프랑스의 경우 교과 교육과정에서 학년군에 해당하는 cycle별로 도달해야 하는 학습 역량(우리나라 교과 역량에 해당)의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관련된 공통 역량(socle commun, 우리나라 핵심역량에 해당)을 표시하고 있었다. 또 호주의 경우 학년별에 도달해야 하는 숙달 영역(proficiency strands, 우리나라 교과 역량에 해당)에 대한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교과 교육과정에서 영역별 각각의 성취기준에 관련된 일반 역량(general capabilities, 우리나라 핵심역량에 해당)을 밝히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주 교육과정에서도 역량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는데, 교과 교육과정의 영역을 역량을 중심으로 재편하고, 역량 중심으로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 시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을 구체화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중학교 1학년 성취기준과 과학 1 교과서에 포함된 활동과 평가 문항 분석: 과학과 핵심역량 중심으로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Activities, and Assessment Item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Grade 7 Science Textbooks: Focusing on Science Core Competencies)

  • 윤도운;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196-20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질의 성질과 물질의 변화 영역의 성취기준과 과학 1 교과서에 포함된 활동과 평가 문항을 과학과 핵심역량별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성취기준에는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 중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과학적 사고력의 '논리적 사고하기', 과학적 탐구 능력의 '탐구 설계와 수행', '자료분석 및 해석', '모형의 개발과 사용', '결론 도출 및 평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정보와 자료를 수집 및 선택하기',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말 글 그림 기호 등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 사용하기'만 포함되어 있었다. 교과서의 활동에는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며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합리적 의사결정'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며 조정하기'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소가 포함되어 있었다. 교과서의 평가 문항에도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나 과학적 사고력의 '논리적 사고하기', '창의적 사고하기', 과학적 탐구 능력의 '탐구 설계와 수행', '결론 도출 및 평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문제 발견하기', '정보와 자료를 수집 및 선택하기', '문제 해결방안 제시하기', '실행하기',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말 글 그림 기호 등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 사용하기', '증거에 근거하여 논증하기',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의 '과학 기술의 사회적 문제 관심 갖기'만 포함되어 있었다.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준거지향적 수행평가 문항의 개발과 평가 -고등학교 과학 "생식"과 "생물 농축"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riterion-Referenced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ased o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Subject Unit of Reproduction and Biological Accumulation-)

  • 정영란;박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19-531
    • /
    • 2004
  • 최근 제7차 교육과정이 실시되면서 준거 지향적인 수행평가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평가의 절대적인 기준을 마련할 필요성 또한 절실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고등학교 과학 중 '생식' 단원과 '생물 농축' 단원에 대해서 필수 학습 요소,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한 평가 문항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과학의 7종 교과서를 바탕으로 하여, '생식' 과 '생물 농축' 단원의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준거 지향 평가의 기초가 되는 객관적이고 타당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추출된 필수 학습 요소는 '생식' 단원에서 12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4개이었으며, 개발된 성취 기준은 '생식' 단원에서 총 26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총 9개로 각각은 지식(K), 탐구(P), 태도(A)의 세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성취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기준의 수는 '생식' 단원에서 총 25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9개였다.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에 따라 '생식' 단원과 '생물 농축' 단원에서 개발된 평가 문항의 수는 서술형 문항 17개, 논술형 문항이 13개, 포트폴리오가 2개로 총 22문항이었다. 각 평가 문항은 구체적인 채점 기준을 제시하였으므로, 교육과정에 근거한 객관적인 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개발된 평가 문항 중, 서술형 문항 8개를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적용 분석하였다. 서술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두 가지 검사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는데, 평가 문항의 기본적인 양호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서술형 문항들은 난이도와 변별도 면에서 전반적으로 적절한 지수를 보여 수행 평가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문항들이었다. 개발한 서술형 수행 평가 문항들은 미리 개발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하였으므로 교수 학습의 목표와 내용에도 적합하였다. 고전 검사 이론과 다분 문항 반응 이론에 의해 분석된 문항의 변별도에는 언어적인 해석의 차이가 없었으나, 문항 난이도의 경우는 고전 검사 이론을 사용하였을 때 집단의 특성이 많이 나타나 다분 문항 반응 이론을 사용한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의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성취평가제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관심수준 분석 (Analysis on the Middle School Teachers' Level of Interest of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 김석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81-9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interest in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teacher is an important element of curriculum. For this study, surveys targeting the 150 middle school teachers from 6 schools in Pusan was conducted. A questionnaire based CBAM model was used as research tools. For data analysis, mean of relative strength by teacher's level of interest was calculated. And M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among level of interest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such as sex, age, career, job position, and the grade they taugh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iddle school teachers' overall interest for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is low. Teachers showed a typical pattern appeared in the early stages of change. They have little interest in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nd they should try to fix and change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rather than cooperate it. Secon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of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ost of the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ly in age, career, and job position from step 0. In running the post hoc, teachers who have less careers, lower positions, and younger ages had less interest in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초등학교 로봇컴퓨팅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체계의 성취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hievement Criteria of Robot Computing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 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97-104
    • /
    • 2017
  • 본 논문은 로봇 영역에 대한 교육과정을 학교현장에서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개념이해와 학습활동을 고려한 교육과정 모델의 로봇 영역 교육내용체계 및 성취기준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전국 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전문가들이 교육내용체계의 중요도와 교육 시기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소 영역별 개념요소와 성취기준에 대한 수정과 보완을 거쳐 3차에 걸쳐 평가하였고, 최종적으로 개념요소와 성취기준에 대한 교육시기에 대한 합의를 거쳤다. 제안한 로봇컴퓨팅 영역에 대한 교육내용체계 및 성취기준을 학교현장 뿐만 아니라 다양한 로봇컴퓨팅 교육활동에서 학년 구분 없이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로봇컴퓨팅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NCS환경에서 ICT분야 교육에 ARCS 동기이론이 상호작용성과 학습몰입을 통해 학업성취도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NC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transfer ARCS motivation theory in ICT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interactive and immersive learning)

  • 박동철;권두순;황찬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79-200
    • /
    • 2015
  • Recent national policie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o develop teaching-oriented education in the field of industry and learning is taking place. Plan to take advantage of the Internet and multimedia class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ways to leverage the integration appearing in various 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usal influence on the ARCS motivation theory can determine the basic psychology of human motivation factors and the desires of a typical human nature theory dealing with the psychological needs of interactivity and immersion is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transfer and to validate the demonstration. By apply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ector i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training program modules from a field study conducted at the NCS with a clear empirical and empirical research through the synchronization to the learner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루브릭의 인지여부가 코딩교육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cognition of rubrics on the learning effect of coding education)

  • 이애리;김창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01-211
    • /
    • 2017
  • This study provided a rubric prior to the performance of a task in a coding class and aimed to verify its effect. As for the research contents, this study redesigned the rubric developed in the preceding stud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sented that to the students and conducted a verification of its effects on the computer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conducting a class. For this purpose, with 41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rubric was presented to conduct the class and 39 students in a control group to which the rubric was not presented to conduct the class, this study conducted a six-week class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ir self-efficacy in the computer and a test to measure their academic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re were more positive effects on both computer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group to which a rubric was presented and in which a rubric evaluation was conducted than in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noted that the evaluation method presenting more specific and more detailed standards for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the standards would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learners' learning.

NCS 기반 교육과 학습동기에 따른 학업성과 결정요인분석 (An Analysis of the Academic Achivement of Study Based on NCS-based Education and Learning Motives)

  • 강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53-359
    • /
    • 2018
  • 본 연구는 NCS기반 교육 및 학습동기와 학업성과간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정부의 NCS(국가직무능력표준)와 학습모듈 개발 장려에 따른 NCS 기반 교육의 실효성을 진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을 위해 우선, 실무중심 교육이 주를 이루는 항공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관련내용 척도를 개발하였다. 관련학과 학생들을 표본대상으로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교수역량,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으로 측정된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교육은 학업성과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영향요인으로 한 학습동기는 학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플립러닝학습법(Flipped learning)이 응급구조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 이영아;김효실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9-11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NCS) based physical assistant skills in the emergency medical technology(EMT) students. Methods: One-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was used. Flipped learning was carried out for 2 hours per week for 16 week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56 EMT students from March 3 to June 16, 2016.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After completion of flipped learning, significant improvement was found in self-directed learning(t = 6.04, p < .001), academic achievement($3.25{\pm}.79$) and academic achievement((t = 6.41, p < .0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 Flipped learning is usefu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the EMT students.

정보과 교육과정 표준모델을 위한 알고리즘 및 프로그래밍 영역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Algorithm and Programming Framework for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Standard Model)

  • 성영훈;박남제;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7-87
    • /
    • 2017
  •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SW교육과정 구성을 위해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에서 개념이해와 학습활동을 구성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영역별 5단계 성취기준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고리즘 영역은 18개, 프로그래밍 영역은 21개의 성취기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각 영역별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의 중요도와 교육시기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 델파이조사 검증을 통한 타당도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정보과 교육과정 표준모델 구성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학교 현장에 적용을 위한 SW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