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Behavior

검색결과 428건 처리시간 0.028초

물리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의 개발 및 적용: 자연계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Physics Self-Efficacy)

  • 문공주;문지영;신승희;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93-701
    • /
    • 2014
  • 사회적 인지 이론에 기반을 둔 자기효능감은 학습 맥락에서의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수행의 예측자로 강조되어 왔다. 따라서 물리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의 개발은 학생들의 물리학습 능력의 발달과정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 학습과 관련된 수행 능력에 대한 학생들의 믿음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을 서술하고, 한국 자연계 고등학생들의 물리 학습과 수행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 자기효능감 척도(Physics Self-Efficacy Inventory: PSEI)는 Cronbach 알파 계수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하였다. 요인분석결과를 통해 PSEI가 네 개의 하위 영역(물리 개념의 이해와 적용, 물리 실험, 성취동기, 수학 능력)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한국 자연계 고등학생들이 네 영역 모두에서 비교적 높지 않은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개발된 측정 도구는 학생들의 물리 학습에 대한 동기, 자신감 등의 심리적 구인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반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PSEI를 사전-사후 연구에 활용하면 학생들에 대한 자신감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어, 이러한 정보를 반영하여 학생들의 물리 개념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방안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생과 월경 전기 증후군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Premenstrual Syndrome and Personality)

  • 김은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0-93
    • /
    • 1988
  • This study was planned and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personality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s basic to the prevention, alleviation, and care for the premenstrual syndrome. Data on premenstrual syndrome were gatherd from October 20 to 25, 1986 by questionnaire modifi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Endicott's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 Data on personality were gathered in March, 1986, by the high school autorities by standardized Personality Inventory Scale developed by Eung Yun Hwang were used. Subjects numbered 457, 95.2% of the first grade students of H.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The cor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premenstrual syndrome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difference between groups were analysed by the t-test. Personality traits influencing premenstrual syndromal categories were analysed by th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I. The five highist categories of premenstrual syndrome among 18 categories revealed to be Social withdrawal, General discomfort, Lability, Fatigue and Hostility / Anger in rank order. II. Personality traits and Premenstrual syndrome ; 1. Tendency of Psychoneuroses(r=0.43, p<.001), psychoses(r=.39, p<.001) and anti-social behaviors (r=0.43, p<.001) reveale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premenstrual syndrome. Hypothesis 1 is accepted. 2. Emotional stability(r= -0.38, p<.001), reflectiveness (r= -0.14, p<.01), masculinity (r= -0.10, p<05) and antonomy (r= -0.12, p<.05)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 While activity, dominance, sociability and achivement reveal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Hypothesis 2 is partially accepted. III. Significant models of personality traits influencing the premenstrual syndromal categories are ; 1. 5 personality traits : tendency of psychoneuroses, emotional stability, dominance, activity and autonomy revealed to influence Low mood / loss of pleasure significantly. ($R^2$=.19) 2. 3 personality traits ; tendency of psychoneuroses,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bility revealed to influence Lability significantly. ($R^2$=.15) 3. 5 personality traits ; tendency of psychoneuroses, activity, emotional stability, sociability and achievement revealed to influence Anxiety significantly.($R^2$=.18) 4. 3 personality traits : tendency of psychoneuroses,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bility revealed to influence Miscellaneous mood / behavior changes significantly.($R^2$=.18) 5. 3 personality traits : tendency of psychoneuroses, psychoses and reflectiveness revealed to influence Hysteroid features significantly.($R^2$=.16) IV.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rregularity of menstruation and premenstrual syndrome wa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of dysmenorrhea and group of non-dysmenorrhea in premenstrual syndrome was revealed.

  • PDF

종합병원 중간관리자의 역량군별 중요도 인식과 수행수준 차이 및 요인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and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about the Capability Groups of the Mediator Manager in General Hospital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 김희숙;조우현;김영훈;김태현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92-114
    • /
    • 2011
  • The study has its purpose on providing basic resource to enforce the capability of the middle managers by examining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capabilities of the managers and by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and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s. The source of the study was 195 survey questionnaires that were carried out to the managers of the 9 general hospitals and the method of the analysis was the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the credibility, matching to sample T-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disper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accumulated variables. The followings are the main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capabilities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he mediator managers in general hospitals had high capability in change management. The following orders were: competence in achievement and behavior, competence in management, competence in recognition, competence in influence, competence in individual effectiveness, and competence in personal relationship service. Second, as the result of the 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mediator managers, everything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study about the level of importance, the cognitive capability and the management capability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correlation number of 0.88. In the study about the level of performance, the cognitive capability, individual capability, and the management capability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correlation variable number of 0.79. Third,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the awareness capability and the level of the performance, lack of the support recognition compensation in the organization level, inappropriate work environment, limit in the regulation were found as the highest reason in the order.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creation of the efficient capability estimation model and the securement of the system that estimate the capability of the managers should be carried out in order to enforce the capability of the mediator managers in general hospitals.

  • PDF

중도시각장애인의 음악 활용 (Uses of Music by People with Adventitious Visual Impairments)

  • 양지혜;박혜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1호
    • /
    • pp.41-60
    • /
    • 2016
  • 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의 음악 활용을 파악하고,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6개의 시각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만 40세 이상 60세 이하 성인 중도시각장애인 70명을 모집하였다. 음악 활용, 음악 활용 목적, 개인변인 등 총 2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된 설문지 중 불충분한 응답 9부를 제외한 총 61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시각장애인은 주로 휴식을 취하고 싶을 때, 집에서 라디오를 주로 사용하여, 빠르고 경쾌한 대중가요를 감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래활동에서 이들은 추억을 회상하는 가사의 대중가요를 주로 부르고, 노래 활용 빈도가 음악감상이나 악기연주 활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악기 연주하기에서 연주가능하고 선호하는 악기는 모두 현악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음악 활용 목적은 기분전환, 즐거움, 편안함, 성취감, 소속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시각장애인의 개인변인(성별, 장애정도, 실명기간)에 따른 음악 활용에는 전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전맹이 저시력에 비해 음악을 통해 소속감을 느끼는 정도가 높고, 실명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집단이 음악을 활용하여 소속감을 얻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의 음악 활용을 파악함으로써, 대상의 요구와 필요에 맞는 효과적인 음악치료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고성능 컴퓨팅 기반 디지털매뉴팩처링 교과목의 산·학·연 협력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High-Performance-Computing-based Digital Manufacturing Course with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 Collaboration)

  • 서영성;박문식;이상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610-619
    • /
    • 2016
  • 제품 및 설비의 3차원 디지털 모델을 기반으로 제품 생산 시 이루어지는 모든 공정 및 제품을 구성하는 재료의 기계적 거동 등을 초기 설계 과정에서 미리 시뮬레이션 해봄으로써 저비용으로 보다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설계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일련의 기술들을 디지털매뉴팩처링 기술이라 부른다. 그러나 이 기술들을 수행할 수 있는 전산적 인프라스트럭처의 가격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특히 중소 제조 기업규모에서는 그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정확하고도 효율적으로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H대학교 그리고 지역 중소기업체 등이 협력하여 고성능 컴퓨팅 기반 디지털 제조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연 협동 디지털매뉴팩처링(DM) 트랙을 H대학교에 설치하여 운영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이 졸업 후에 산업체에서 디지털매뉴팩처링 실무에 바로 투입되어 일할 수 있는 일련의 교육 과정 사례를 보여준다. 2013년부터 2년간 진행했던 디지털매뉴팩처링 트랙 강의의 운영 사례를 수록하되, 설립 과정, 강의 내용, 실습 내용, 학생들의 평가 및 개선 방향 등을 정리하였다. 전반적으로 트랙 운영, 교과목 운영,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 면에서는 성공적이었으며, 향후 보다 많은 학생들의 활발한 참여와 더불어 취업이나 인턴십 제공, 캡스톤디자인프로젝트의 협동 운영 등을 포함한 참여 기업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촉진하여, 전국적인 디지털매뉴팩처링 인력 양성 네트워크로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음악의 인지기술과 학습 기술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usic Cognitive Skills and Academic Skills)

  • 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3권1호
    • /
    • pp.63-76
    • /
    • 2006
  • 1980년대 이후 음악과 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다양한 학습 기술에 필요한 인지기술의 영역에 대한 음악의 효과성을 계속해서 입증해 오고 있다. 음악과 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주로 음악의 인지기술과 학습의 세부적 기술들을 개별적으로 연관 지어 다루고 있으며, 음악이 비음악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지 학습기술과 음악적 인지기술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 있는 다양한 이론 및 연구들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음악이 비음악적 능력 중 학습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음악적 능력과 공간 지각력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두 가지 이론으로서, "신경적 연계성(neural theories)" 이론과 "근접적 전이(near transfer)"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음악적 기술과 공간적 기술을 담당하는 대뇌의 신경망 구조에서 음악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이 어떻게 공간적-시간적 정보처리 과정과 연계되는 지를 설명하였다. 또한 음악이 학습과정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독립적 사고,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 등을 강화시킨다고 제안하는 "동기이론"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이론들에 근거하여 음악과 학습기술과의 상관관계를 메타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많은 연구들이 음악기술과 학습기술의 상관관계는 물론 유의미한 인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적 훈련 과정에서 습득되는 음악의 공간적, 시간적 개념이 학습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지지한다. 다양한 학습기술에서도 공간 지각 능력을 주로 사용하는 수학과 읽기에 관한 연구가 많았는데, 특히 수학적 개념 중에서 분수나 집합 개념과 같은 추상적 개념들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읽기 능력에서는 시간적 개념에 근거한 단어 나열, 문자로 상징된 언어를 해석(decode)하는 기술이 강화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음악과 학습과의 관계를 설명한 많은 연구들은 음악의 지각인지 기술이 다른 학습 분야에 전이된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지지하며, 또한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세 가지 가설은 구조화된 음악활동이 학습 현장에 있는 아동들에게 효율적인 치료 교육적 개입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미국 대학 시큐리티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 대학교육과 비교를 중심으로- (Research for the Security Studies in the Universities of U. S. A.)

  • 공배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5-43
    • /
    • 2011
  • 미국의 시큐리티 발달은 미국 산업의 발달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미국은 19세기 급속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시큐리티 분야도 동반 발전을 하였고, 미국의 분권적인 지방자치 정치체제는 이러한 시큐리티의 발전에 우호적인 환경으로 작용을 하였다. 미국 시큐리티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시큐리티 전문요원을 양성 배출하는 대학의 경우도 관련 학과를 설치하여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현재 103개의 대학에 관련학과(Criminal Justice)가 설치되어 있으며, 범죄와 관련한 다양한 영역에서 180여개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미국 대학의 시큐리티 학문적 경향은 법률과 교정 분야(Law, Justice and Corrections)가 21.6%로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형사사법과 소송 분야(Criminal Justice and Procedures)가 20.5%를 차지하여, 법률분야가 총 42.1%로서 전체 중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즉, 미국 대학의 시큐리티 학문적 경향은 법률분야(형사법)에 거의 치중되어 있었다. 또한, 10개 이상의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통 교과목의 명칭을 살펴보면, Introduction to Criminal Justice(18개 대학), Criminal Law(18개 대학), Criminology(16개 대학), Criminal Procedures(16개 대학), Research Methods in Criminal Justice(16개 대학), Criminal Investigation(12개 대학), Juvenile Justice(10개 대학), Terrorism(10개 대학), Ethical Issues in Criminal Justice(10개 대학) 등의 9개 과목이다. 미국 대학의 학문적 경향은 범죄예방의 방법을 실정법을 통해서 강구하고 교정을 통해서 찾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범죄환경을 제공하는 사회적 배경 또는 사회현상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사회과학 분야(Social Science) 의 커리큘럼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병원 내부조직문화속성이 직무수행능력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Internal Organizational Culture Attributes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 강천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84-492
    • /
    • 2018
  • 본 연구는 내부조직문화속성이 직무수행능력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다. 자료수집은 경기도 일개 종합병원 5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12월 8일부터 12월 20일까지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병원 내부조직문화속성이 직무수행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수행능력이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조직발전 및 미래상과 조직속성 및 체계가 높아지면 직무수행능력과 직무만족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상급자 및 동료와 의사소통, 부서간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 조직문화는 개인적인 것 보다 조직의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조직구성원들의 업무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병원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병원조직문화를 정확하게 진단해야 하고, 조직문화의 유효성을 극대화하여 바람직한 병원문화로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경영진에서는 병원의 목표와 직원이 추구하는 목표가 일치하도록 명확한 중장기 비전을 직원들에게 구체적으로 방안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해석학적 질적연구- (The Study of the Disability Education Experience of the Mothers for thei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 강선경;최윤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79-106
    • /
    • 2016
  • 본 연구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장애교육 현상이 어떻게 경험되고 있으며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7명의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구술 원자료를 Rennie(2000; 2006; 2007)의 해석학적 질적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3개의 의미단위와 16개의 하위범주 및 7개의 해석학적 범주를 구성하였다. 해석학적 범주는 '매일매일 통곡하는 마음', '자원의 사회적 동원', '앞만 보고 전진', '계란으로 부순 바위', '먼 곳 바라보기', '더불어 사는 교육', '장애교육의 주체화'이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장애자녀 교육은 체념단계, 추스림 단계, 비전세우기 단계와 도전단계, 작은 성취 단계를 통하여 최종적으로는 공동체에 희망걸기 단계로 나아가는 좌절과 희망세우기의 동시경험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이 보이는 반복적인 공통의 행위패턴을 분석한 결과 추수형, 현실전략형 및 불굴의 도전형의 세 가지 유형을 보이고 있었다. 이들의 교육경험의 핵심범주는 '중증장애 절망을 교육을 통해 희망으로 바꾸어가는 연단의 과정'이었다고 결론지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교육경험의 실태와 사회구조적 문제에 대한 논의를 하였고,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지원을 위한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적용을 통한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음악과 수업 방안 연구 (Teaching Methods of Inclusive Music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Based on Application of Understanding by Design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 원초롱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8권1호
    • /
    • pp.79-102
    • /
    • 2021
  • 본 연구는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음악과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 통합교육의 실현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백워드 설계 템플릿 2.0 버전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3·4학년 통합학급의 음악과 단원을 개발하였고,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수업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학습 경험 계획하기'의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고려한 맞춤형 수업의 요소를 제시하였다. 1단계에서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목표와 본질적 질문을 제시하였다. 2단계에서는 GRASPS 기법을 활용하여 수행과제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루브릭과 다른 증거 자료를 제시하였다. 학생의 준비도, 흥미, 학습 유형에 따른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3단계에서는 WHERETO 모형을 활용하여 7차시의 학습을 계획하였다. 또한 교실의 요소를 유연하게 사용하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맞춤형 수업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모든 학생의 이해를 강조하는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학생의 다양성을 배려하는 맞춤형 수업을 상호보완적으로 연계하여 통합교육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의 실현을 위한 음악교육 설계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