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r tegmentosum M.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1초

6-O-Galloylsalidroside, an Active Ingredient from Acer tegmentosum, Ameliorates Alcoholic Steatosis and Liver Injury in a Mouse Model of Chronic Ethanol Consumption

  • Kim, Young Han;Woo, Dong-Cheol;Ra, Moonjin;Jung, Sangmi;Kim, Ki Hyun;Lee, Yongj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201-207
    • /
    • 2021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Acer tegmentosum extract, which is traditionally used in Korea to reduce alcohol-related liver injury, suppresses liver inflammation caused by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and might improve metabolism. The active ingredient, 6-O-galloylsalidroside (GAL), was isolated from A. tegmentosum, and we hypothesized that GAL could provide desirable pharmacological benefits by ameliorating physiological conditions caused by alcohol abus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whether GAL could ameliorate alcoholic fat accumulation and repair liver injury in mice. During chronic alcohol consumption plus binge feeding in mice, GAL was administered orally once per day for 11 days. Intrahepatic lipid accumulation was measured in vivo using a noninvasive method, 1H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confirmed by staining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Oil Red O. The serum level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were measured using a Konelab system, and the triglyceride content was measured in liver homogenates using an enzymatic peroxide assay. The results suggested that GAL alleviated alcohol-induced steatosis,e as indicated by decreased hepatic and serum triglyceride levels in ethanol-fed mice. GAL treatment also correlated with a decrease in the Cd36 mRNA expression, thus potentially inhibiting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steatosis via the hepatic de novo lipogenesis pathway. Furthermore, treatment with GAL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ytochrome P450 2E1 and attenuated hepatocellular damage, as reflected by a reduction in ALT and AST leve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AL extracted from A. tegmentosum has the potential to serve as a bioactive agent for the treatment of alcoholic fatty liver and liver damage.

산겨릅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간 기능 보호효과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 Extracts)

  • 권하나;박정륭;전정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389-1394
    • /
    • 2008
  • 본 연구는 산겨릅나무의 식품학적 가치를 알아보고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이용.개발을 위하여 항산화 및 간 기능 보호효과를 탐색하였다. 항산화성 결과 가운데 총 폴리페놀은 EtOAc fr.에서 함량이 가장 많았고 BuOH fr., EtOH ex., $CHCl_3$ fr., hot water ex., aqueous fr.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EtOAc fr.과 BuOH fr.이 ascorbic acid와 유사한 전자공여능을 보였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250\;{\mu}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BuOH fr.이 가장 높게, 그 이상에서는 aqueous fr.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PS로 급성 간 손상을 유도한 마우스에서의 BuOH fr.의 간 기능 보호효과에서는 BuOH fr.을 전 처치한 다음 LPS를 투여한 군이 LPS만을 투여한 군보다 혈장 AST와 ALT의 활성은 유의하게 감소 되었으나 BUN의 농도는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간조직의 형태학적 관찰에서 BuOH fr.을 투여하고 LPS로 급성 간 손상을 유도한 군의 간세포는 염증과 괴사가 나타났지만 LPS군에 비하여 그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겨릅나무 추출물의 간암세포의 증식억제 효과 (Effect of Acer tegmentosum M. Extracts on Hepatocarcinoma Cell)

  • 권하나;방우석;김주영;박정륭;전정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87-790
    • /
    • 2011
  • 본 연구는 간암세포 HepG2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천연소재 발굴을 목적으로, 산겨릅나무 분획 추출물을 이용하여 간암세포 HepG2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간암세포의 생존율에 분획별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획물을 24시간, 48시간 동안 농도별로 처리하여 살아있는 세포를 계수한 결과 24시간 처리 시 모든 분획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유기용매 분획물들이 수용성 용매 추출물보다 높은 생육 억제 활성을 보였다. 48시간 처리 시에도 같은 경향이 나타났으며 24시간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비슷하거나 조금 더 감소하였다. MTT assay를 통한 세포 생존 억제율의 측정 결과 BuOH 분획물은 간암세포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 억제율을 증가시켰다. 형광현미경을 이용한 세포형태 관찰에서는 BuOH 분획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형태가 응축되고 무정형으로 세포사멸이 나타나 apoptotic cell의 전형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Hong 등(10)의 연구에서 산겨릅나무의 추출물 중 ethyl acetat와 butanol 분획에서 뛰어난 항산화성과 항지질과산화 활성이 있음을 밝힌 내용과 Shin 등(11)의 위암, 간암, 폐암 및 유방암 세포 등에서 암세포 생육억제효과의 보고와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산겨릅나무가 간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식용 및 약용자원으로서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산겨릅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당뇨, 알코올 대사 효소 및 간 보호 활성 (Anti-Diabetic,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Acer tegmentosum Maxim. Stem Extracts)

  • 조은경;정경임;최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785-17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간질환 치료제로 알려진 산겨릅나무 줄기 추출물의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을 위하여 생리활성을 탐색하였다. 산겨릅나무 열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198 mg tannic acid equivalents/g으로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은 DPPH 및 SOD 활성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산겨릅나무 열수 추출물의 농도 0.5 mg/mL에서 각각 89%와 82%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겨릅나무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는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추출물 $50{\mu}g/mL$ 농도에서 75%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항당뇨 소재로 사용된 약용작물보다 높은 항당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알코올 분해 효소 alcohol dehydrogenase 및 aldehyde dehydrogenase 활성 촉진 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5 mg/mL 농도에서 각각 260%와 123%를 나타내었다. Lipopolysaccharide에 의하여 유도된 nitric oxide(NO) 합성은 1 mg/mL 농도의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NO 합성률이 16.7% 정도 감소하였다. 산겨릅나무 추출물이 tacrine으로 유도된 Hep G2 세포주에 대하여 유의한 보호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산겨릅나무 추출물이 우수한 항당뇨, 항염증 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조골세포의 분화에 산겨릅나무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er tegmentosum Maxim. extract on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ic Primary calvarial osteoblasts cells)

  • 오태우;심기석;김광연;조원경;박광일;마진열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27-536
    • /
    • 2017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to confirm the osteoblast differentiation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axim. (AT) extract. Methods : In this experiment, cell viability, Alizarin red S assay,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with AT extract (50, $100{\mu}g/m{\ell}$). Also, we studied the expression of differentiation regulator with AT extract in primary calvarial osteoblasts cells (pOB). Results : As a result of AT treatment, we determined that AT extract stimulates ALP activity and alizarin red activities in the pOB cells for mineralization for 18 days. Moreover, these factors increasing osteogenic markers such as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2 ($Run{\times}2$), osteocalcin (OC), osteopontin, osterix, smad1, smad5,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4 (ATF4) and collagen type I alpha 1.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T extract have effect on bone through the promotion of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suggesting that it could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bone diseases.

벌나무 추출물의 황생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항산화 활성 (Antibacter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Acer tegmentosum Maxim Ethanol Extract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황진우;박찬휘;안해연;장예원;강현;이성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339-346
    • /
    • 2022
  • 본 연구는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효능과 FRAP법을 사용한 환원력을 측정하여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검증하였고, Paper disc법, MIC 및 MBC법을 통하여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66.66 ㎍ GAE/mg와 6.46 ㎍ QE/mg이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 소거능을 보였고,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RC50 값은 각각 21.49, 12.81 ㎍/mL이었다. 환원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FRAP 분석에서 벌나무 추출물은 0.73 ± 0.19 mM FeSO4 E/mg의 효능을 보여주었다. Paper disc법을 이용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벌나무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2 mg에서 3 mm의 저해환을 보여주었으며, 최소 저해농도 연구에서는 1 mg/mL 이상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억제력을 보여주었고, 16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최소저해 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최소살균농도 연구에서는 32 mg/mL에서 최소살균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벌나무 추출물을 사용한 항산화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 벌나무 추출물의 아토피피부염에 유효한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당골계곡의 산림군락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Danggol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 조현서;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2
    • /
    • 2005
  • 태백산지 역 당골계곡의 산림군집구조 파악을 위해 45개의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산림식생생육현황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은 3개의 군집(낙엽송 우점군집, 물푸레나무-까치박달 우점군집, 거제수나무-신갈나무 우점군집) 으로 분류되었으며,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회나무와 철쭉: 병꽃나무와 철쭉, 회나무; 당단풍과 산겨릅나무; 신갈나무와 피나무 등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당단풍과 피나무, 부게꽃나무; 신갈나무와 부게꽃나무; 잣나무와 회나무; 쇠물푸레나무와 함박꽃나무, 거제수, 고로쇠나무 등의 수종 간에는 녁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 다양도는 $0.7932\~1.2077$로 나타났다.

벌나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알코올 분해능 (Antioxidant and Alcohol Degradation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cer tegmentosum Maxim.)

  • 최준혁;이소희;박윤희;이성규;정영태;이인선;박준홍;김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78-383
    • /
    • 2013
  • 벌나무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in vitro 및 in vivo에서의 알코올 분해능을 검토하였다. 벌나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71.93{\pm}2.2{\mu}g/mg$, $152.69{\pm}1.25{\mu}g/m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51{\pm}1.34{\mu}g/mg$, $5.01{\pm}0.83{\mu}g/mg$이었고, FRAP값은 각각 $1.75{\pm}0.32{\mu}M/{\mu}g$, $1.67{\pm}0.28{\mu}M/{\mu}g$으로 나타났다. 벌나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DPPH 및 ABTS에 대해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고,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벌나무 열수추출물은 HepG2 세포에서 알코올에 대한 in vitro에서의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었고, 또한 알코올을 투여한 rat에서 벌나무 추출물을 투여하면 알코올 투여 30분이 경과한 후 알코올 투여군보다 혈중 알코올 함량이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 따라서 벌나무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작용을 하며, 알코올 분해 작용 및 알코올에 대한 간 보호 효과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산겨릅나무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Cytotoxic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axim. Extracts)

  • 신인철;사재훈;심태흠;이진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322-327
    • /
    • 2006
  • 우리나라 중부 이북 해발 500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주로 자생하는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Maxim.)를 대상으로 식품학적인 성분 분석과 산겨릅나무 줄기의 EtOH추출물의 분획물을 제조하여 DPPH 유리기 대한 소거 기능, 그리고 사람 유래의 암세포들(위암세포(AGS), 간암세포(HepG2), 폐암세포(A549)와 유방암세포(MCF-7))에 대한 항암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겨릅나무 줄기 의 식품성분 함량은 탄수화물이 58.4%, 수분 27.5%, 조단백질 8.7%, 조지방 3.8%, 조회분 1.6%의 순으로 나타났고 무기질의 주요 무기성분은 K과 Ca이 302.4mg%와 116.0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Mg, Na, Mn, Fe, Zn, P, Cu의 함량이 각각 57.8, 24.8, 9.5, 4.4, 1.6, 0.8, 0.2 mg% 순으로 나타났다. 2)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효능을 보기위하여 산겨릅나무 줄기의 수피부 및 줄기를 80% EtOH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들을 다시 n-hexane, chloroform, EtOAc, n-BuOH 및 aqueous층으로 분리하였다. 분획물들을 대상으로 DPPH 유리기의 소거능을 검증한 결과 전반적으로 줄기 보다는 수피부에서 높은 소거 효과를 나타냈으며 용매별로는 EtOAc>n-BuOH>aqueous>chloroform>n-hexane 순으로 활성을 보였다. 특히, EtOAc fr.($SC_{50}:2.8{\mu}g/ml$과 n-BuOH fr.($SC_{50}:3.2{\mu}g/ml$은 천연항산화제로 쓰이는 ascorbic acid($SC_{50}:4.5{\mu}g/ml$$\alpha$-tocopherol($SC_{50}:4.0{\mu}g/ml$ 및 합성 항산화제인 BHT($SC_{50}:6.5{\mu}g/ml$보다도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3) 유리기의 소거 기능과 분획물들의 성분과의 상호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 분획물들의 흡광도를 조사한 결과, 페놀성계 화합물계의 특성을 보이는 280nm부근에서 강한 흡광도를 나타내어 DPPH에 의한 높은 항산화 효능이 페놀성계 성분과 관계가 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4) 산겨릅나무 줄기의 80% EtOH 추출물의 암 세포주들에 대한 성장 저해와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기원 세포주인 간암세포(HepG2), 위암세포(AGS),폐암세포(A549), 유방암세포(MCF-7)와 정상 간세포(Chang)를 대상으로 추출농도 0.125, 0.25, 0.5, 1(mg/ml) 등 4단계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위암세포의 경우 0.125mg/ml의 저농도에서 50% 이상, 0.5mg/ml에서는 90% 이상의 암세포 생육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간암세포를 포함한 나머지 폐암세포와 유방암세포의 경우 모두 0.5mg/ml에서 50%이상의 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산겨릅나무 줄기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유효성분 분리 (Biological Activities and Bioactive Compounds in the Extract of Acer tegmentosum Maxim. Stem)

  • 홍보경;엄석현;이찬옥;이지원;정종현;김재광;조동하;유창연;권용수;김명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6-30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소종과 외상출혈 치료에 사용되며, 주로 간암, 간경화 등의 간 질환 치료제로 사용되어 온 산겨릅나무 추출물에서 식품 및 음료 등과 같은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는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항지질과 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 항보체 활성을 실험하였으며, 또한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을 분리, 동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산겨릅나무 추출물은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실험에서는 ehtyl acetate 분획 ($RC_{50}= 3.15\;{\mu}g/m{\ell}$), butanol 분획 ($RC_{50}= 5.17\;{\mu}g/m{\ell}$)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분리된 2개의 화합물도 대조군인 ${\alpha}-tocopherol$ 이나 BHA보다 유사하거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지질과산화 활성 실험은 15일 째에 물층을 제외한 추출물, 분획물 및 화합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화합물 2 (85%)는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catechin (85%)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박테리아에 대한 향균실험은 Staphylococus aureus 에서만 활성을 보이지 않았을 뿐 다른 피검균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피검균에 대하여 강한 활성을 보인 ethyl acetate 분획에서 분리된 화합물 1, 2는 모든 피검균에 대해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fungal strain인 Candida albicands에 대해 각각 $250\;{\mu}g/m{\ell}$. $500\;{\mu}g/m{\ell}$의 생육 억제 농도를 나타내었다. 보체계 활성화능을 측정한 결과 물 층 24%를 제외한 다른 분획물은 10% 이하의 낮은 억제효과를 보이거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산겨릅나무 ethyl acetate 분획을 silica gel이 충전된 grass open column에 넣은 후, toluene, acetone, methanol의 혼합용매로 순차용출 (stepwise)시킨 후, ODS와 silica gel을 이용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함으로서 2종의 단일 물질을 얻었다. 이 화합물은 $^lH-$$^{13}C-NMR$, IR, UV, EI/FAB-Mass spectrum을 이용하여 기기분석한 결과 compound 1은 catechin으로, compound 2는 ${\rho}-Hydroxyphenethyl$ alcohol 1-O-{\beta}-_D-(6'-O-galloyl)-glucopyranoside$로 동정되었으며, 특히 compound 2의 경우 산겨릅나무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위 결과 산겨릅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항지질과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이용한다면 식품 및 음료 등과 같은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으리라 사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