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nthopanax species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6초

오가피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partially purified extracts isolated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

  • 임경란;김미진;정택규;윤경섭
    • KSBB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329-334
    • /
    • 2008
  • 오가피는 건강보조식품,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첨가제로 좋은 약재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오가피의 연구의 대부분은 가온 용매추출이나 열수추출을 통한 유효성분의 추출과 생리활성 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온도 및 추출용매를 조절하여 추출하고 Diaion HP2O 분획을 통한 유효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활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오가피추출물은 열에 불안정하여 갈변현상을 보이므로 상온추출 및 냉온추출하는 것of 좋으며, 에탄올 함량별로 추출시 주 활성성분인 chlorogenic acid의 함량을 보면 100% 정제수 및 100% 에탄올의 단일 용매 추출보다 에탄올수용액을 사용하여 추출시 chlorogenic acid의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에탄올수용액에서의 chlorogenic acid의 함량은 유사하므로 농축시간을 고려하여 70$\sim$85% 에탄올수용액으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적화된 조건에서 추출된 오가피추출물은 Diaion HP2O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10%, 20%, 40%, 60% 에탄올수용액으로 분획 후, 각 분획층의 주 활성성분 합량과 항산화효과를 확인하였다. 10% 및 20% 에탄올 수용액층은 chlorogenic acid가 주 구성성분이었으며, 40% 에탄올 수용액층은 caffeic acid 및 eleutheroside E가 주 구성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 함량이 높은 20% 및 40% 에탄올수용액 분획층에서 우수한 DPPH와 superoxide radical에 대한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효과에서 20% 및 40% 에탄올수용액 분획층은 각각 $IC_{50}$ 값이 $1.748{\pm}0.098{\mu}g/ml$, $11.487{\pm}1.768{\mu}g/ml$을 나타내었으며,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에서는 $131.491{\pm}2.235{\mu}g/ml$, $200.681{\pm}2.444{\mu}g/ml$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와 동등하거나 dl-$\alpha$-tocopherol보다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각 분획층의 항산화효과를 미루어 볼 때, 20% 및 40%의 주 구성성분을 조합하여 오가피추출물을 제조하면 더욱 우수한 소재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기술연구소에서는 최적화된 조건에서 추출된 오가피추출물 및 Diaion HP2O 분획물을 이용하여 B16 melanoma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저해 효과를 연구하여 새로운 미백제를 개발 중에 있으며,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향장품소재 등으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PCR-RAPD와 ITS 서열 분석에 의한 두릅나무과 (Araliaceae) 의 유연관계 분석 (A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raliaceae Based on PCR-RAPD and ITS Sequences)

  • 김남희;양덕춘;엄안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2-93
    • /
    • 2004
  • 국내에 자생하는 두릅나무과 식물의 형태적 분류를 재확인하고, 분자적 방법에 의해 속 및 종간 유연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PCR-RAPD 와 ITS sequence 분석을 실시하였다. 채집된 오갈피과 식물을 이용하여 PCR-RAPD를 실시한 결과 속과 종을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polymorphic 밴드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에 이용한 두릅나무 개체군 내에서 다양한 쓱 변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인삼에서는 재배종 내의 변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야생종과 재배종간의 유전적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밴드들이 나타났다. ITS분석에서는 각각의 속과 종만이 지니는 특이 염기 서열이 나타나 ITS를 이용한 속과 종 분류가 가능하였다. ITS 염기서열로 작성한 계통수를 분석 한 결과 오갈피속은 음나무속과 근연임을 알 수 있었고, 두릅속과 인삼속이 하나의 계통이며 송악은 다른 속과 명료하게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두릅속과 인삼속이 근연관계임은 RAPD 결과에서도 확인되었다. 인삼은 RAPD 분석 결과 재배종과 야생종 사이에 변이가 존재함이 관찰되었으나, ITS 분석 결과에서는 야생종과 재배종간의 변이를 관찰 할 수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RAPD와 ITS 분석 결과 모두 지역에 따른 재배종 인삼의 유전적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재배중인 인삼이 단계통임을 알 수 있었다. ITS 분석에서는 속과 종 수준의 분류가 가능한 특이 염기 서열들이 관찰되었다.

주왕산국립공원의 특정식물과 보전방안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Conserva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 이희천;황인천;임동옥;정철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98-515
    • /
    • 2011
  • 2008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주왕산국립공원 일대의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주왕산국립공원지역에서 확인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종은 둥근잎꿩의비름, 망개나무, 깽깽이풀, 노랑무늬붓꽃과 가시오갈피나무, 솔나리, 연잎꿩의다리 7분류군 이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88분류군으로 V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깽깽이풀, 망개나무, 솔나리 등 8과 9분류군, IV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승마, 회리바람꽃, 돌마타리 등의 4과 5분류군, III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애기석위, 가침박달, 등칡 등 16과 18분류군, 2등급으로는 백작약, 나도바람꽃, 개불알꽃 등의 14과 18분류군, 1등급은 늦고사리삼, 홀아비꽃대, 백선 등 30과 3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 식물종은 호랑버들, 검팽나무, 할미밀망, 노랑갈퀴, 정영엉겅퀴 등의 총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나도닭의덩굴, 다닥냉이, 족제비싸리, 컴프리, 수박풀 등의 총 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전자상자성공명법을 이용한 오가피나무추출물의 항산화효과에 대한 연구 (The Study for Antioxidative Effec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Extract as a New Cosmetics Ingredients Using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 최신욱;김창수;최명수;김보현;김학수;최대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3-78
    • /
    • 2005
  • 본 연구는 천연물로부터 기능성화장품의 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정선산 오가피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통상적 항산화력 평가기법인 DPPH 라디칼 소거능 평가 방법은 천연물의 항산화능을 평가하기에 가장 쉬운 방법중에 하나이나 생체내에서 발생되는 특정 라디칼에 대한 항산화능을 평가하기에는 부적합하여 본 연구진은 전사상자성공명법이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 라디칼에 대한 오가피나무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전자상자성공명법을 이용한 항산화능 평가 결과 오가피나무의 추출물은 유해산소종 및 유해질소종에 대한 매우 우수한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이리한 결과로 보아 오가피나무 추출물은 새로운 항산화제 소재 및 피부내의 산화적 스트레스 방지목적의 기능성 화장품소재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대암산(大岩山)의 약용식물(藥用植物)(III) (Medicinal Plants on Mt. Dae-Am in KangWon-Do)

  • 성락선;노숙희;김용해;원도희;하광원;장승엽;육창수
    • 생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7-94
    • /
    • 2000
  • Mt. Dae-Am is the branch-range of DMZ located on the $38^{\circ}7'$ N KangWon-Do in South Korea. The resources of important Herbal medicine (medicinal plants) were Phacellanthus tubiflorus (fam.: Orobanchaceae), Ostericum maximowiczii, Dendranthemum zawadskii Herbich f. latifolium, D. zawadskii subsp. acutilobum, D. var. campanulatum, Halenia corniculata (fam.: gentianaceae), Prunus mandshurica var. glabra, Acanthopanax divaricatus f. inermis. A. chiisanense, A. sessiliflorum, Eleutherococcus senticosus, Bupleurum longeradiatum, Heracleum moellendorffii sub-spp. subbipinnatum, Sanicula rubriflora, Spuriopimpinella bracycarpa f. latifolia, Angelico gigas, Artemisia montana, A. stelleriana, Paeonia japonica, Phellodendron amurense, Schizandra chinensis, Menyanthes trifoliata, and Gentiana axillariflora var. coreana, etc.

  • PDF

Growth-inhibiting Effects of Brazilian and Oriental Medicinal Plants on Human Intestinal Bacteria

  • Kim, Moo-Key;Lee, Sung-Eun;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54-58
    • /
    • 2000
  • Methanol extracts of 27 Brazilian plant samples and 10 oriental medicinal plant samples (27 families), using spectrophotometric and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s under anaerobic conditions, were tested in vitro for their growth-inhibiting activities against Bifidobacterium longum, Bifidobacterium bifidum,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Bacteroides fragilis. The responses varied with bacterial strains, plant species, and tissues sampled. In a test with B. longum and B. bifidum(20 mg/disc), extracts of Acanthopanax sessilifolinus stem bark and Ampelozizyphus amazonicus leaves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B. longum, whereas other plant samples did not inhibit any intestinal bacteria tested. At 5 mg/disc, adding extracts of Aralia eleta, Euterpe oleracea, and Syzygium guineense to the media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C. perfringens and B. fragilis without growth inhibition of B. adolescentis, B. longum, and B. bifidum. Extracts of Jacaranda mimosifolia and Ulmus paraifoli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C. perfringens and B. fragilis as well as B. adolescentis. These results may be indications of at least one of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the five Brazilian plants but not oriental medicinal plants tested.

  • PDF

차광처리가 가시오갈피의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Treatment on Photosynthetic Activity of Acanthopanax senticosus)

  • 김판기;이갑연;허성두;김선희;이은주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6호
    • /
    • pp.321-326
    • /
    • 2003
  • 차광처리에 의한 가시오갈피의 생상촉진현상을 구명하기 위해서, 차광막으로 전천광을 55%, 75%, 90% 차광 처리한 조건과 노지에서 3년간 생장한 개체의 기관별 건물중을 조사하고, 광-광합성곡선과 A-Ci곡선을 통하여 광합성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75%의 차광조건에서는 지하부에 대한 지상부의 비율이 높아지는 현상이 있었으나, 가장 높은 건물중을 나타내 생장촉진에 효율적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차광처리에 의해서 엽면적당의 엽록소 a+b 함량과 a/b가 감소하고 잎이 얇아지는 반응을 나타냈으며, 개엽 및 개체 당의 엽면적이 증가하는 등의 낮은 광도에 대한 적응반응이 확인되었다. 광합성계에서는 차광처리에 의해서 순양자수율(apparent quantum yield)이 높아지고 광보상점이 낮아졌으며, 탄소고정효율(carboxylation efficiency)과 재인산화속도가 상승하였다. 그러나 순양자수율은 차광처리구의 건물중 상승과는 대응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는 반면에 탄소고정효율은 건물중 상승과 대응된 결과를 나타내, 차광처리구의 광합성능력 증가가 탄소고정계의 활성증가에 기인함이 시사되었다. 광합성에 대한 수분이용효율은 차광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간 낮았으나, 모든 차광처리구가 포플러류와 같은 양수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냈다.

항바이러스 활성 식물자원 탐색 (Screening of Plant Resources of anti-viral activity)

  • 권두한;김만배;윤도영;이영희;김재화;이희구;최인성;임종석;최용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30
    • /
    • 2003
  • 11종의 약리식물의 수용성 추출물에서 세포독성능과 TGEV와 PEDV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능을 분석하였다. 이들 추출물은 바이러스의 숙주세포로 사용되는 ST세포와 Vero세포에 대해 다른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었는데, 오가피 추출물은 TGEV에 대한 숙주세포주인 ST 세포에 대해 75.81 %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 화살나무, 무화과나무, 까마종이, 마황, 창이자 추출물은 20-50% 사이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마황 추출물(35.66%) 이외의 10종의 추출물은 PEDV에 대한 숙주세포주인 Vero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지 않았다. 세포독성이 낮은 식물추출물에서 초피나무, 구지뽕나무, 누리장나무, 고삼 추출물이 TGEV에 대하여 효과적인 항바이러스능을 나타내었으며, PEDV에 대하여는 초피나무, 조각자나무, 고삼, 까마종이, 마황 추출물에서 효과적인 항바이러스능을 나타내었다. 이중에서 고삼과 초피나무 추출물은 TGEV와 PEDV에 대해서 효과적인 항바이러스능을 나타내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약용식물 성분의 선택적 추출 (Selective Extraction of Cytotoxic Substances from Medicinal Plant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최영해;박은정;김영림;진영원;전성호;정승남;유기풍;김진웅
    • 생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9-64
    • /
    • 1999
  •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technique was applied to extract cytotoxic substances from five medicinal plants including Angelica gigas, Angelica acutiloba, Aralia cordata, Spirodela polyrhiza, Bupleurum falcatum, and Acanthopanax sessiliflorus. The cytotoxicities against P388, A549, and HL-60 cell lines were determined for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s of five plant materials employed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extracts such as n-hexane, $CHCl_{3}$, and MeOH to evaluate the SFE as an alternative method to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extraction. In most cases, the SFE extracts of plant materials showed enhanced cytotoxicities when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organic solvent extracts. In additio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ressure of SFE for extraction of the cytotoxic substances were largely affected by both the plant species and the cell lines test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FE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method for the selective extraction of cytotoxic compounds from plants.

  • PDF

두만강 접경지역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round Tuman River in China)

  • 안영희;김봉찬;강기호;조동광;이철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7-200
    • /
    • 2003
  • 중국과 북한의 국경을 이루는 두만강 접경지역을 따라 중국 측에서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92과 287속 470종 57변종 4품종, 총 531 분류군의 관속식물이 나타났다. 식물상 조사는 고층습지, 해안사구, 하천, 고산초원, 낙엽활엽수림, 상록침엽수림, 혼효림, 노방식물군 등 다양한 생태환경의 대상지에서 수행되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환경부가 지정한 보호식물로 솔나리, 산작약. 깽깽이풀, 가시오갈피, 대청부채, 큰연령초 등 6종이 조사되었으며 산림청 지정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노랑돌쩌귀, 창포, 끈끈이주걱, 부채붓꽃. 깽깽이풀, 날개하늘나리. 솔나리. 말나리, 산작약, 낙지다리, 모새달, 층층둥굴레, 붉은인가목, 흑삼릉, 백리향, 큰연령초, 통발, 덩굴용담, 들쭉나무, 월귤, 가시오갈피 등 21종이 나타났다. 조사된 관속식물 가운데 종비나무, 잎갈나무, 만주자작나무, 비술나무, 물황철나무, 백산차, 황산차, 닥장버들, 부전자작나무, 회령사초, 양뿔사초, 산부채, 하늘매발톱, 황기, 달구지풀, 방풍, 꽃고비, 황금, 린네풀, 왕과, 목향. 금혼초, 누른진범, 키다리바꽃. 끈끈이딱지꽃 등은 남한에 자생하지 않는 중국의 동북지역 특산식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