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achievement level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9초

경제적 곤란과 가족갈등이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Effects of Economic Strain and Family Conflict on Children's Adjustment : Focused on Interaction Effects of Children's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 윤혜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133-164
    • /
    • 2005
  • 본 연구는 아동이 인지한 가정의 경제적 곤란과 가족갈등 스트레스가 문제행동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아동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간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두고 접근하였다. 자료는 C도에 거주하는 12세-15세의 아동 1,20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 최종적으로 1,115부를 통계분석하였다. 자료분석결과, 아동의 문제행동과 학교적응에 차이를 가져오는 일반적 특성은 아동의 성, 학년과 성적이 대표적이었고, 가족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경제적 곤란과 가족갈등 스트레스는 적응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나 성에 따라 차이가 있어 남아는 내 외현화 문제행동에 경제적 곤란과 가족갈등이 영향을 미쳤으나 여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는 경제적 곤란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상호작용에서도 남아의 경우 모든 적응문제에 스트레스 변인과 대처방식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여아의 경우에는 공격성, 비행 및 불안 우울에서만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부적응 예방 프로그램의 한 영역으로서 연구 개발될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 PDF

초등학생의 비만 관련 요인에 대한 진단적 연구 - PRECEDE 모형을 근간으로 - (Diagnostic Variabl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ight Control - Based on the PRECEDE model -)

  • 유재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5-107
    • /
    • 2005
  • With the aim of diagnostic research on health educati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ight control. life satisfaction. health state. self-efficacy. parent's interest and knowledge about weight control and school health education of weight control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the PRECEDE model.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at an elementary school in Chongju for 5 days in July. 2004. In analyzing the data. t-test. one-way ANOVA.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by using SPSS 10.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above half of the full point. The scor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grade and academic achievement(F=4.646. p=.010. F=16.042. p=.000). 2. The perceived level of health state was moderate for all students. Normal weight students'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bese students' (t=3.667. p=.000). 3. The perceived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related to weight control was above the moderate. The perceived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related to weight control in the obes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normal weight students(t=-2.225. p=.027). The students used computer for 1.48 hours and watched TV for 2.52 hours a day. 4. The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self-efficacy in this subject was 70.61. 5. The parents' level of interest in the obese students' weight contro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normal weight students(t=-4.86. p=.000). 6. Sixty-six percent of the students learned about weight control education in school. 7.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self-efficacy among the educational diagnostic variables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students' health promoting behaviors related to weight control. This research diagnosed the needs of weight contro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y assessing various factors related to weight control behavior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we can enhance the prevention of childhood obesity by strengthening the related factors such as parents' knowledge and interest,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related to weight control in school health education.

  • PDF

치위생(학)과 예비졸업생의 핵심역량 자가평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Self-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배수명;신선정;신보미;최용금;손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02-411
    • /
    • 2019
  •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학)과 예비졸업생의 핵심역량 및 세부역량에 대한 자가평가 수준을 파악하고, 자가평가 핵심역량 수준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2개의 대학을 편의추출하여 치위생(학)과 졸업예정자 511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기효능감 24문항은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8개의 핵심역량과 52개의 세부역량은 최소 0점에서 최대 10점으로 자가평가 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가 평가 역량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은 SPSS 20.0 Ver.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인 유의수준은 0.05로 고려하였다. 자가평가 역량 수준은 임상치과 영역이 10점 만점 기준으로 6.7점으로 가장 높았고, 근거중심의 의사결정 영역이 5.7점으로 가장 낮았다. 학제,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중 특히 자기조절 영역이 자가평가 핵심역량 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학업성취, 자가평가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교육과정 내 비판적 사고강화, 문제중심학습법 적용, 자기효능감 및 리더십 향상을 위한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의료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해양단원 개념도 활용 수업이 과학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Use of Concept Mapping on Science Achievement and the Scientific Attitude in Ocean Units of Earth Science)

  • 한정화;김광휘;박수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61-473
    • /
    • 2002
  • 본 연구는 지구과학 ‘해양’ 단원에서 제시된 5가지 주제에 대하여 개념도를 작성한 후 이를 중학교 과학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작성된 개념도를 활용한 수업을 실험집단인 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한 비교집단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도활용 수업과 전통적인 수업이 과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념도 활용 수업이 전통적인 과학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능력 수준에 따라 두 가지 수업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보다 학습능력이 중 ${\cdot}$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개념도에서 위계가 분명한 학습내용일수록 개념도 활용 수업이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개념도 활용 수업과 전통적인 수업이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학적 탐구에 대한 태도’ 범주와 ‘과학적 태도의 적용’ 범주에서는 개념도 활용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과학수업의 즐거움’ 범주에서는 개념도 활용 수업과 전통적 수업의 효과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개념도 작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심리적인 부담을 반영해주었다. 셋째, 개념도 활용 수업 집단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개념도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은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 별로 살펴보면 개념도 활용 수업이 학습내용의 이해 증진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학생이 작성한 개념도를 통해 수업 내용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기 때문 평가도구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파지력면에서 개념도는 배운 내용을 확인하고, 기억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나 활동성면과 흥미면에서는 다른 영역점수 보다 낮게 나타났다.가 1.2 mM, 1.8 mM인 경우 배양 14일에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2.5 mM인 경우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4. II-1 ${\beta}$의 활성도는 카페인을 단독 처리한 경우 0.2 mM, 1.0 mM에서, 칼슘 단독 처리시에는 1.8 mM에서, 혼합 처리시 0.1 mM 카페인과 1.8 mM 칼슘 혼합 처리한 경우 높게 나타났고, 고농도의 카페인, 칼슘 혼합 처리 시에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칼슘이 1.2 mM, 1.8 mM 농도로 존재하는 경우 카페인에 의한 골모세포의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과 IL-1 ${\beta}$의 활성 억제 효과가 어느 정도 회복되나, 2.5 mM 고농도의 칼슘은 억제된 활성을 회복시키지 못함을 확인하였다.지 않고 다양한 분야 즉 디자인, 생활 속에서의 벽지문양과 포장지, 예술작품 등에 활용되고 있음을 체험함으로써 수학이 실생활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게 하였다. 역으로 생활 속에서의 테셀레이션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찾는 과정을 통해 수학이 아름다우면서도 실용적이라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었다. 셋째, 테셀매니아, GSP, 캐브리, 거북기하 등 평소 수업에서는 활용도가 적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컴퓨터 소프트웨어 자체에서 오는 호기심뿐만이 아니라 직접 조작하여 테셀레이션 작품과 개념을 익히고 새로운 작품과 학습을 해 내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 등에 있어 큰 변화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컴퓨터 기능이 미숙한 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당황해 하고 어려워하는 부분도 있었으나 조작할 시간적 여유를 주고 교사와 우수한 학생들이 도우미로서 역할을 잘해내어 나중에는 큰 어려움 없이 마칠 수 있었다. 테셀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아직은 생소한 현장에서 교수 학습 자료가 부족하고 그에 따른 이해도 부족한

서울시 각 구 보건소간호사의 방문간호 업무수행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Nurses of district health centers in Seoul)

  • 양미진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4권
    • /
    • pp.30-40
    • /
    • 1997
  • The change in health care environment increases the importance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Program. It has been performed by nurses of district health centers in Seoul since 1991. The Achievement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Program will be dependent upon their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formance of Visiting Nurses and Job satisfaction of district health centers in Seoul. Therefore, it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development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Program. The subjects were 214 Visiting Nurses of district health centers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from April 15 to April 30, 1997. Their performances and various supportive factors were measured with the instrument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Job satisfaction were also measured by the instrument developed by Slavitt et al. (1978)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 Alpha,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t -test, ANOVA Duncan tes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of budget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Program of district health centers was 0.9% and the average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personnel of district health centers was 10.1%. 2. With regard to the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Nurses the mean score was 2.92 out of 5. While the level of Job prestige / status presented as a mean score of 3.48 which was the largest among the 7 components of job satisfaction, the level of administration was the lowest showing 2.57 scores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job satisfaction by age, working career of health centers(p<0.01, 0.001). 3. The average of the performance level of Visiting Nurses variables was 2.29; The variable with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the teaching & consultation,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plan, whereas the on with the lowest degree was the directive nursing servic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erformance level according to age, structure type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working career of health centers and working career of visiting nursing services(p<0.05). 4.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expertise by the Visiting Nurses the mean score was 2.37 : The variable with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expertise was the teaching & consultation,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plan, whereas the on with the lowest degree was management of home-environm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erformance expertise according to working career outside of health centers(p<0.05). 5.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necessity by the Visiting Nurses the mean was 2. 40 : the variable with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necessity was the teaching & consultation,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plan, whereas the on with the lowest degree was directive nursing servic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erformance necessity according to working career of visiting nursing services(p<0.05). 6.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level(r=.3731, P<0.001). Also,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mponents of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level. 7.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the variance of job satisfaction(R=.3557, $R^2$=.1265). Structure type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and working career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accounted for 19.0% of the variance in performance level in nurses. In conclusion, Job satisfaction, Structure type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and Working career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variables had influenced on performance level in health center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confirm these findings.

  • PDF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제공자와 유형을 중심으로 (A Study of Korean Adolescents' Stress and Social Support: Focusing on stress events, social supporters and types of social support)

  • 박영신 ;전성숙 ;손주연 ;박영자 ;송옥란 ;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4호
    • /
    • pp.487-522
    • /
    • 2016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 청소년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련된 지각을 살펴보고,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사회적 지원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급별로 스트레스 생활사건과 증상, 사회적 지원 제공자와 유형을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청소년 952명(초 219, 중 280, 고 212, 대 241)이었다. 스트레스 증상의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 .88, 질적 분석에 대한 채점자 간 신뢰도는 89.6%, Kappa계수가 .87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가장 대표적인 스트레스 생활사건은 학업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진로/취업, 가족관계, 친구관계, 역량부족, 경제적 어려움의 순서로 나타났다. 학업 스트레스는 고등학생이, 진로/취업 스트레스는 대학생이 가장 높았다. 둘째, 청소년의 스트레스 증상은 학교급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고등학생이 가장 높고 초등학생이 가장 낮았다. 셋째, 사회적 지원 제공자로 친구가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자기자신, 부모, 교사, 형제자매, 선후배의 순서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에서 대학생으로 됨에 따라 친구 및 선후배의 지원이 증가했으나, 부모의 지원은 감소했다. 넷째, 사회적 지원 유형으로 정서적 지원이 가장 대표적이었고, 그 다음으로 없음, 조언, 직접적 문제해결, 대화의 순서였다. 모든 학교급별에서 정서적 지원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초등학생에서 대학생으로 됨에 따라 조언은 증가했고, 직접적 문제해결은 감소했다.

스마트러닝 기반 과학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학습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SMART Learning-based Science Instruction)

  • 박수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727-73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 모듈을 개발 적용하고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천문단원의 태양계 행성과 달의 위상을 주제로 3가지 유형의 모듈을 개발하였고, 중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 태블릿PC를 제공하였고, 천문교육용 앱 Solar Walk, 미러링 기능, QR코드, 구글 프리젠테이션 등을 활용하여 학교와 가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식조사 도구는 스마트러닝 수업에 있어서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학습동기유발(Motivation), 학습자 맞춤형(Adaptiveness), 정보기술활용(Technology Embedded)의 4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커트 5척도의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만족도 검사도구는 Keller (1987)의 만족도 영역의 검사 항목을 번안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스마트러닝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습 만족도를 밝히기 위하여 연구대상 학생들의 성별과 과학성취도 수준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에 대하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자기주도학습 요인과 학습동기유발 요인에서 성취도가 낮은 집단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습 만족도 측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학업능력이 높은 학생들일수록 스마트러닝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과학 분야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방향 설정과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교육개발협력에 관한 국제 학술지 연구 동향 고찰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2002~2017)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in Education Development focused on Text Network Analysis(2002~2017))

  • 김상미;김영환;조원겸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1-24
    • /
    • 2018
  • 본 연구는 교육개발협력에 관한 글로벌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내 관련 연구에서의 향후 방향과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개발협력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를 선정하고, 2002년부터 2017년까지 약 15년간 게재된 연구 논문 966편을 대상으로 연구 초록에 제시된 (저자) 키워드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하여 시기별, 교육영역별로 연구 주제가 어떻게 변화하고 이에 나타나는 특징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 전체 논문에 나타난 연구 주제어의 출현 빈도를 살펴본 결과, 교육프로그램관리, 학교수업, 지역공공행정, 교육지원서비스, 초등교육 순으로 높았으며, 빈도 순 상위 20개의 핵심주제어에 대한 네트워크 중앙성 분석 결과는 빈도수 결과와 유사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중등교육, 학습, 교육연구, 교육변화, 교육의질 등의 주제어는 출현 빈도에 비해 높은 중앙성 지수를 나타내고 있어 다른 키워드들과 높은 관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시기별 핵심 주제어 분석 결과 MDGs 전기 대비 후기와 SDGs 초기에는 새로운 키워드(초등교육, 초중등학교, 학교수업, 교육의 질, 중등교육, 교육계획)가 다양하게 나타났고, 중앙성 지수에서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새로운 핵심 연구 주제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육일반, 기초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으로 분류한 교육영역별 분석 결과에서는 빈도수와 중앙성이 높은 핵심 주제어가 각각 다소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어 영역에 따른 연구 키워드가 구분되고 있다는 특징이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국제 아젠다로서의 교육개발협력 특성을 고려하여 국제적 수준에서 약 15년간 누적된 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객관적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해 연구 주제의 변화 동향을 조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 실천적 노력과 더불어 교육개발협력에의 학문적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시점임을 고려할 때, 향후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 개발에서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중학생의 성교육 실태 및 프로그램 효과분석 (Condition and Effect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 문인옥;윤영옥;김노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1
    • /
    • 2007
  • Objectives: School must provide the proper sex education to students, thereby, the students for have right standards of sexuality and preventing from sexual crimes. This study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and students' satisfaction level on Sex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prepa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Methods: The sample size of the study was 644 students(458 female students and 186 male students) in middle school. A self reporting type of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 through May 27, 2005.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win 12.0;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t-tes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Lectures and audiovisual materials were mostly used for sex education for students. Many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of physical and sexual organ development, pregnancy, contraceptive methods and sexual abuse. Many students wanted to study more on courtship, love, and marriage. The programs which the students did not understand well were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pregnancy and mass media and sex. Forty six percentage of the stu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program. Thirty three percentage of the students sai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 students who had earlier menstruation experience and the students whose academic achievement were higher were more satisfied with sex education program (P<.05). The students who were satisfied with the sex education CD prepa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more satisfied with sex education program. (P<.001). When the CDs were appropriately used, th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program (P<.05). The sound and pictures in the CD did not much affect the students. Audiovisual programs were more effective than lectures.

  • PDF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Learning Style,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between Gifted and Normal Student)

  • 구영수;양연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177-191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간의 차이와 학습양식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영재아 118명과 일반아 12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영재아는 일반아보다 독립적, 경쟁적, 참여적 학습양식을 가졌으며, 개인적, 행동적, 환경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학습몰입의 정도가 높았다. 둘째,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립 및 참여적 학습양식은 자기조절학습전략과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영재아의 학습몰입은 학습양식이 참여적이고 독립적일수록, 행동적, 개인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높았고, 일반아의 학습몰입은 학습양식이 참여적일수록, 개인적, 환경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