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in Education Development focused on Text Network Analysis(2002~2017)

교육개발협력에 관한 국제 학술지 연구 동향 고찰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2002~2017)

  • Received : 2018.01.15
  • Accepted : 2018.03.23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article is to find the research trends and the main traits presented in the keywords on abstracts of research articles of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Development" from 2002 to 2017. To do this, Text Network Analysis(TNA) was applied targeting 966 papers on the journal and the major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analysis on the keywords showed that the keywords like Administration of education program, Schools and instruction, Regional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al support service, Elementary education,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were analyzed more than 100 times and also high in centrality degree.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keywords presented in those research articles by development goal periods showed that several new keywords like Elementary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quality, Secondary education, Educational planning have emerged frequently after SDGs and these keywords showed high in their centrality analysis. Third, the analysis on education level showed that the keywords like Elementary education, Administration of education program, School children were high in frequency and centrality degree in Elementary level. In secondary level, Schools and instruction, Administration of education program, Academic achievement were high, and in high level, college and university was high, respectively.

본 연구는 교육개발협력에 관한 글로벌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내 관련 연구에서의 향후 방향과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개발협력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를 선정하고, 2002년부터 2017년까지 약 15년간 게재된 연구 논문 966편을 대상으로 연구 초록에 제시된 (저자) 키워드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하여 시기별, 교육영역별로 연구 주제가 어떻게 변화하고 이에 나타나는 특징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 전체 논문에 나타난 연구 주제어의 출현 빈도를 살펴본 결과, 교육프로그램관리, 학교수업, 지역공공행정, 교육지원서비스, 초등교육 순으로 높았으며, 빈도 순 상위 20개의 핵심주제어에 대한 네트워크 중앙성 분석 결과는 빈도수 결과와 유사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중등교육, 학습, 교육연구, 교육변화, 교육의질 등의 주제어는 출현 빈도에 비해 높은 중앙성 지수를 나타내고 있어 다른 키워드들과 높은 관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시기별 핵심 주제어 분석 결과 MDGs 전기 대비 후기와 SDGs 초기에는 새로운 키워드(초등교육, 초중등학교, 학교수업, 교육의 질, 중등교육, 교육계획)가 다양하게 나타났고, 중앙성 지수에서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새로운 핵심 연구 주제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육일반, 기초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으로 분류한 교육영역별 분석 결과에서는 빈도수와 중앙성이 높은 핵심 주제어가 각각 다소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어 영역에 따른 연구 키워드가 구분되고 있다는 특징이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국제 아젠다로서의 교육개발협력 특성을 고려하여 국제적 수준에서 약 15년간 누적된 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객관적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해 연구 주제의 변화 동향을 조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 실천적 노력과 더불어 교육개발협력에의 학문적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시점임을 고려할 때, 향후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 개발에서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