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업지연행동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f College Students on Dropout Intention :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 김수현;박정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8-145
    • /
    • 2021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 간의 관계에 학업지연행동이 매개효과가 있는가이다. 이를 위해 J대학교 218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중도탈락의도, 학업지연행동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스트레스, 중도탈락의도, 학업지연행동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검증은 Baron과 Kenny의 절차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 학업지연행동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15%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학업지연행동에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5%의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지연행동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농촌 청소년의 희망과 문제행동, 성적 및 학업지연행동과의 관계 (Levels of Hop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roblem Behavior, Academic Records and Procrastination among Rural Adolescents)

  • 이창식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8권4호
    • /
    • pp.879-902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hop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roblem behavior, academic records and procrastination among rural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579 rura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ree countie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thway and agency thinking of rural adolesce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anxiety, 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records and procrastination. But only agency thinking of rural adolesce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linquency among problem behaviors. Second, as a result of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groups of high hope of rural adolescents were lower in depression and anxiety than groups of low hope, but were higher in academic records and procrastination.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아동의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in Relation to Children's Academic Procrastination: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s a Mediator)

  • 이보미;신나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4호
    • /
    • pp.477-488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of autonomy support from mothers and teachers in relation to academic procrastination. It also examined the role of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mediating these effects. The sample comprised 372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eoul, Korea. Each completed a questionnaire regarding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ereas mothers' autonomy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academic procrastination, teachers' support did not. In other words, children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autonomy support from mothers tended to exhibit less academic procrastination. Regarding indirect paths, children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displayed greater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corresponded to lower level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discussion highlights the vital roles of autonomy support from mothers and teachers in enhancing children's feelings of effective self-regulated learning and encouraging them to complete academic tasks.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considered not only outward behavioral factors but also the underlying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delaying behavior that underpin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and autonomy support of mothers and teacher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중학생의 내부통제성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율적 동기와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Internal Control on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Roles of Autonomous Motivation and Parental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 서승희;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429-44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internal control, autonomous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perceived parental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while verifying the moderating roles of autonomous motivation and parental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The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371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internal control, autonomous motivation, and parental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were measured using the Procrastination Inventory (Aitken, 1982) revised by Jeon and Park (2014),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 (Ko, 2014), the Academic Self-Regulation Questionnaire (Ryan & Connell, 1989) revised by Kim (2002), and the Scale of Kang (2003),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 Process Macro Model 2 (multiple additional modul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l control, autonomous motivation, and perceived parental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directly affected the students's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al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was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role of autonomous motivation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academic procrastination it is important to improve internal control by helping middle school students become confident enough to believe that they have the ability to change their behavior and achieve their aims. At the same time, parents need to be interested in the process rather than only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ir children and support their autonomy.

대학생의 자기통제, 시간관리행동과 SNS 중독 경향성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control, Time management behavior, SNS addiction pronenes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college students)

  • 유정은;고현수;신의규;박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819-826
    • /
    • 2024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통제, 시간관리행동과 SNS 중독 경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업지연행동을 개선하기 위한 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4년 2월 6일부터 2024년 4월 19일까지 연구 참여 동의를 하고 설문에 응답한 167명의 설문을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업지연행동은 자기통제(r=-.570, p<.001)와 시간관리행동(r=-.544, p<.001)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SNS 중독 경향성(r=.367, p<.001)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업지연행동의 영향요인은 시간관리행동(β=-.461, p<.001), 자기통제(β=-.359, p<.001), SNS 중독 경향성(β=.199, p<.001)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52%이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시간관리행동 향상을 위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겠다.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의해 조절된 투지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Grit Moderated by Gender)

  • 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11-6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의해 조절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투지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업지연행동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투지는 학업지연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는 성별에 의해 조절되었다. 즉, 남성이 여성보다 투지의 매개효과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실천과 유지에 있어 투지의 역할과 중요성을 논의하였고, 성별에 따른 건강증진 행위의 실천 방안과 학업지연행동의 대처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주의력결핍, 학습환경,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excessive smartphone use on attention deficit,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health college students)

  • 임인철;장경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29-137
    • /
    • 2017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주의력결핍, 학습환경과 학습지연행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을 파악하고자 2017년 3월 6일부터 6월 12일까지 부산광역시 보건계열 25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사용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다사용정도, 주의력결핍, 학습환경, 학업지연행동 정도는 스마트폰의 하루 사용시간, 스마트폰 중독 인식과 수업시간 개인사용 경험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01).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주의력결핍(r=0.870, p<0.01), 학습환경(r=0.812, p<0.01), 학업지연행동(r=0.772, p<0.01)과 정적상관을 보였고, 주의력결핍은 학습환경(r=0.918, p<0.01), 학업지연행동(r=0.798, p<0.01)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학습환경은 학업지연행동(r=0.777, p<0.01)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미치는 영향요인은 주의력결핍(p<0.001), 학업지연행동(p<0.01)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예방과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으로 보건계열 대학생의 건강한 학습환경 조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 현황과 교육적 함의 (Self-Regulated Learning of Adolescents: Its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 박승호;서은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135-152
    • /
    • 2008
  •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우리가 고려해야 할 심리적 측면과 사회·정책적 측면이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기조절학습의 최근 연구들의 초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영역별 주요 관심사를 살펴보았다. 초인지적 영역에서는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에서 인지전략과 초인지전략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특히 읽기학습에서 자기조절기능으로 간주되는 이해점검 초인지전략의 연구동향을 고찰하였다. 동기영역의 연구결과들은 자기효능감과 목표지향성의 최근 연구 동향을, 행동영역의 연구결과들은 시간 관리와 지연행동의 최근 연구 동향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이러한 연구동향이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 향상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동기영역에서는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수행목표지향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을 언급하였다. 행동영역에서는 청소년들의 시간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교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