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Motivation

검색결과 555건 처리시간 0.031초

NCS환경에서 ICT분야 교육에 ARCS 동기이론이 상호작용성과 학습몰입을 통해 학업성취도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NC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transfer ARCS motivation theory in ICT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interactive and immersive learning)

  • 박동철;권두순;황찬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79-200
    • /
    • 2015
  • Recent national policie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o develop teaching-oriented education in the field of industry and learning is taking place. Plan to take advantage of the Internet and multimedia class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ways to leverage the integration appearing in various 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usal influence on the ARCS motivation theory can determine the basic psychology of human motivation factors and the desires of a typical human nature theory dealing with the psychological needs of interactivity and immersion is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transfer and to validate the demonstration. By apply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ector i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training program modules from a field study conducted at the NCS with a clear empirical and empirical research through the synchronization to the learner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과 주제중심학습(Subjective Based Learning) 간의 학습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태도 및 동기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of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Attitude and Motivation between PBL and SBL Groups)

  • 송영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5-62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attitude and motivation between Problem Based Learning and Subjective Based Learning. Method: The research was performed between September and December, 2005 and 2006,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PBL packages and their applic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3.0. An independent t-test, $X^2$-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two groups on each of the measures. Resul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articipants i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PBL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attitude and motivation.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student outcomes of the PBL approach compared to the SBL approach. PBL needs to be extended over individual nursing courses for the unification of related courses and a curriculum.

고등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 형성과정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A Study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STEM career motivation formation: An approach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 정영희;신세인;이준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1호
    • /
    • pp.36-59
    • /
    • 2017
  • 인문계고등학생의 이공계 진로동기를 진단하고 상태를 알기 위해 진로동기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근거이론 접근을 사용하여 인문계고등학생의 입장에서 진로동기 형성과정을 밝힘으로써 맥락에 적합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공계 교과 담당교사에게 이공계 직업을 결정하고 직업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려고 노력한 경험이 있는 학생을 추천해달라고 부탁하여 인문계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21명, 여학생 21명 총 4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319개의 개념과 56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인문계고등학생의 이공계 진로동기 형성과정은 '이공계관련 직업을 생각하게 된 계기'라는 인과적 조건과 '학교 안팎의 이공계관련 교육과 경험'이라는 맥락적 조건의 영향을 받아 '자기이해와 이공계 직업이해'이라는 중심현상에 대해 '사회적 지지와 장애물'의 중재적 조건의 영향을 받으면서 '이공계 직업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의 전략을 사용하여 '이공계 진로에 대한 만족감'의 결과로 나타났다. 과정분석, 핵심범주, 유형분석을 통하여 진로동기 관련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 나라 상황에 맞는 진로동기이론과 학교 안팎의 진로교육의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실질적인 이공계 진로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비유아교사의 인지전략과 자기결정성 동기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Strategies and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 이혜주
    • 아동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5-69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cognitive strategies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ypes. Cognitive strategies were measured by 3 variables surface, deep,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was measured by 7 variables; intrinsic motivation(IM) to know, IM to accomplish, IM to experience stimulation, external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and amotivation.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Pintirch & DeGroot, 1990) and the Academic Motivation Scale(Vallerand et al., 1992, 1993) were administered to 82 subjects.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Finding wer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M to know and IM to accomplish. IM to accomplish positively predicted surface, deep,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identified regulation positively predicted deep cognitive strategy. Amotivation negatively predicted deep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 PDF

이공계 학사경고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동기 및 학습전략 차이 분석 (Analyze the Affective and Learning Strategy Difference of Engineering Students under Academic Probation and other College Students)

  • 김옥분;조영복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5-3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 재학 중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 그리고 학사경고를 경험하지 않은 일반 학생의 동기와 학습전략의 차이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A대학 공과대학 학생으로 이들은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학습전략 검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총 553명이며 이 가운데 학사경고 학생은 22명, 일반학생은 531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검사인 한국 가이던스의 MLST(Multi-dimensional Learning Strategy test) 학습전략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두 집단 간 동기와 학습전략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의 경쟁 동기 점수가 일반 학생들 보다 낮았으며 학사경고 학생들의 시간 관리와 노트필기 요인의 점수가 일반 대학생 보다 낮았다.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ELL curriculum participation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flow,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양재훈;조보람;황인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55-67
    • /
    • 2020
  • 본 연구는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에 K대학교 재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 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여학생의 경우에만 학습몰입,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학년별 분석에서는 2학년은 학습몰입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3학년은 모든 변인에, 4학년은 학업적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넷째, 참여학생 인터뷰를 통해 참여소감과 개선점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CELL교육과정의 효과를 살펴보고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감성을 통한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과 디자인 학습 동기유발 훈련과정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process and the Motivation of study design through Individual Sensibility)

  • 박종현;이종렬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1-30
    • /
    • 2010
  • Students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design, form and design of the new learning process, and in the design of a very premiere. Perhaps one way of theoretical training and strict discipline academy will probably already be familiar with. In addition to academic activities rather passive liberal arts students, learning basic academic skills than students, vocational students lag is most. However, these have been popular with young sensibility popular consensus here and he has the potential to move actively. This is very sporadic but does not control the many, it's even the potential fragmentation of consciousness, because they themselves do not know a lot of parts. Therefore, the power embodied in the design process and disclose the outside, it fits in the design field to produce results. And designed to improve learning ability and motivation to want to promote. Accordingly, this research through the following four methods to test the methodolog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d try to find solutions to problems. (1) Outside the student's latent ability to express emotion should be. (2) Students' interests are actively utilized in the design classes. (3) Analysis of individual interests and ideas, and how to take advantage of the design process that is induced. (4) The final work should express your own personality into the design. Through this,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and a positive vision of the direction of design is proposed.

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Structural Analyses on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Motivation on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Learning Environments with e-Learning Contents)

  • 강민석;임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014-1023
    • /
    • 2013
  •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온라인을 통한 교육 콘텐츠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로 인해 사이버대학 등 새로운 형태의 대학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사이버대학의 교육 콘텐츠는 오프라인 대학의 수업과 다소 상이한 모습을 지니며, 이에 따라 학습효과 제고를 위해서 여러 변인들이 새롭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의 구조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는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의 경우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의 경우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구조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ller의 ARCS 동기모델이 비즈니스 전공영어 수업에서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Effects of Keller's ARCS Motivational Model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usiness Major English Class)

  • 김부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213-221
    • /
    • 2020
  • 본 연구는 Keller의 ARCS 동기모델을 비즈니스 전공영어 수업에 적용하여 ARCS 모델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과 2019년 2학기에 비즈니스 전공영어를 수강한 경영학 전공 27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필기시험 결과가 사용되었다. ARCS 모델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 강의식 수업이 이루어진 비교집단의 결과는 비즈니스 전공영어에 ARCS 모델을 적용한 교수·학습법이 학습 동기유발 요소인 주의집중, 관련성, 만족감,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으며 비즈니스 영어와 비즈니스 내용 두 영역의 학업성취도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 수가 적은 비즈니스 전공영어 수업에서 ARCS 모델이 긍정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 한 사례가 될 수 있다.

청소년기 영재들의 학업 태도에 대한 국제 비교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Academic Attitudes for Gift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문정화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867-883
    • /
    • 2010
  • 교육자가 동기, 목표지향, 학업태도 등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영재들의 긍정적인 학습 공동체를 수립하는데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에서 최소한 수학 한 과목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5, 6, 7학년 영재 학생들의 학업 태도 및 동기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2004년에 개발된 McCoach와 Siegle의 <학업태도 평가조사: 개정판>의 모든 하위요소를 국가 간, 남녀 간 비교 연구했다. 전체 507명 (한국 278명, 미국 229명)중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동기/자기규율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미국 학생들이 한국학생들보다 학교, 학업관련 자기인식, 목표지향, 그리고 동기의 하위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교사에 대한 태도 요인은 국가 또는 성별에서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