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Motivation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26초

토의·토론을 활용한 과학 실험 수업이 과학학습동기,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Utilizing Discussions and Debates in Science Laboratory Classe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 엄장희;배진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2호
    • /
    • pp.110-125
    • /
    • 201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using discussions and debates in science laboratory classe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th grade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cience laboratory classes using discussions and debates while students in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common laboratory classes with a teacher-directed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y using discussions and debates in science laboratory classes, there were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by using discussions and debates. Even so, in the narrative survey of the students'reactions after the class,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ponded that it was much easi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cientific concepts when they used discussions and debat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how to use discussions and debates effectively by introducing them at different time or in different ways, rather than considering that discussions and debates have no effect on science achievement. These findings provide science teachers and researchers pedagogical implications about utilizing discussions and debates in science classes.

교구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예비 초등교사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gramming Education Using Hands-on Robot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 양권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75-584
    • /
    • 2014
  • 최근 소프트웨어 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을 담당해야 할 교육대학교 재학생 대다수는 프로그래밍의 기본 원리에 대해 이해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관심 또한 부족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교구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과 스크래치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예비교사들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교구로봇을 통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학습동기, 학업성취도와 스크래치를 통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학습동기, 학업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교구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아리 활동이 학습동기 및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 학생을 중심으로) (Influence on Academic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by Dong-A-Ry Activity (in students o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 강현숙;김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85-18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경기지역의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아리 활동이 학습효과와 학교생활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약 3개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방식에 의해 설문지을 통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동아리 활동을 살펴보면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통학시간 및 성적 등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동아리 활동이 미치는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동아리 활동을 하는 대학생일수록 학교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경제형편, 통학시간, 성적 및 전공 선택의 유형에 따라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동아리 활동은 학습동기 구성요인 중 수업동기 요인, 계속동기 요인, 비본질동기 요인, 본질동기 요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본질동기 요인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없다. 4. 동아리 활동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이 단순한 정신적물질적 보상의 개념이 아니라 자기가 배운 분야를 실제적인 적용의 한 부분으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

문제중심학습(PBL)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about Problem-based Lear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Skills, Academic Self-efficacy,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 강승주;김은주;신해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3-41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를 통해 확인하고자 시도된 융합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 J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학과 2학년 학생 51명이었으며, 연구설계는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의 원시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 PBL수업 후 문제해결능력(t=-3.30, p=.002)과 학습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t=3.004, p=.004)되었으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PBL이 간호대학생의 학습 역량을 향상시킴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PBL의 설계 시,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변수의 확인을 위한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자율실습에서 형성적 피드백이 간호대학생의 실습만족도, 학습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ormative Feedback Practice on Practice satisfacti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elf efficacy)

  • 최동원;박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305-313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율실습에서 형성적 피드백을 적용한 후 학생의 실습만족도, 학습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인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대학생 37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교수자에 의한 형성적 피드백을, 전북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대학생 41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동영상 촬영 후 동료피드백을 적용하였다. 중재를 적용하기 전과 후에 자료수집을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습만족도(t=-2.79, p=.007)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t=2.30, p=.024)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학습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기존에 동영상 촬영 후 동료피드백을 제공하는 것보다 교수자에 의한 형성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교수자들은 자율실습에서 간호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술기 습득을 위하여 형성적 피드백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주변인의 영향에 따른 근로자의 음주 동기 및 음주 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tivation for Alcohol Use and Drinking Behavior of Employees by Social Pressure)

  • 김희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7-204
    • /
    • 2007
  • Purpose: This paper is to analyze motivation and behavior of alcohol use of employees, and effects of social pressure on alcohol use of employee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with 341 employees in Industrial Complex.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6, 2007 to July 11, 2007.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through Frequency, ANOVA, One-way ANOVA test. Result: Social motivation showed the highest mean among motivation of alcohol use, man showed higher mean than woman on confirmity motivation and affirmation motivation. Dangerous alcohol use showed the highest mean among behavior of alcohol use, man showed higher mean than woman on behavior of alcohol use. Effects of peer showed higher mean than effects of family, generally the more high effects of peer is, the more higher confirmity motivation, dangerous and dependent alcohol use showed. Conclusion: Therefore, to decrease alcohol use of employees must be prepared an alternatives to change drinking culture and recognition, and developed for working man and individual workplaces.

  • PDF

과학영재고등학생의 과학과 영어과목에서의 학습전략 사용 및 동기의 차이와 학업수행과의 관계 (Relationship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used in Both Science and English Classes and Motivation to Academic Performance by Science-gifted High School Students)

  • 성현숙;김일;김영상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95-117
    • /
    • 2009
  • 본 연구는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과학과 영어과목에서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동기에서의 차이와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과학영재 고등학교 1학년 144명이었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는 영어과목보다 과학과목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에 해당하는 인지전략, 초인지 전략, 자원관리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고 동기 또한 유의미하게 높았다. 과학영재가 사용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은 물리학점의 개인차를 전혀 설명해주지 못하였고 동기의 변인 중 과제가치만이 물리학점 분산의 2퍼센트를 설명해 주었다. 영어과목에서는 초인지 전략이 영어학점 분산의 8퍼센트를 설명해주고 자원관리전략 중 시간 및 공부환경조절이 15퍼센트를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기의 변인 중 자기효능감이 영어학점 분산의 30퍼센트를 설명해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동질그룹인 과학영재가 교과목에 따라 어떠한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동기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지를 시사해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인 학업수행을 위해 어떠한 점이 교수학습과정에서 도모되어야 하는지 그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과학영재의 인지특성 및 성격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Cognitive Ability and Personality as Predictors of Academic Performance: Science Gifted Students)

  • 이영주;채유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523-53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의 학업성취도와 인지적 특성, 성격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성격적 변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학생 125명의 학업성적, 학습능력검사(인지능력 변인)와 성격검사(NEO 성격변인)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와 인지 및 성격요인들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도는 집중력, 실행력, 학습동기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서는 성취도가 '상'인 그룹의 영재들은 성실성(r=.439, p<.01)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중'인 그룹의 영재들은 실행력(r=.380, p<.01)과 학습동기(r=.376, p<.01)가 높을수록, 그리고 외향성(r=-.248, p<.01)이 낮을수록 학업성취가 높았다. 그리고 학업성취도가 '하'인 그룹에서는 집중력(r=.367, p<.01)이 낮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인지능력의 실행력과 성격요인의 외향성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서는 학업성취도가 '상'인 그룹의 경우 성실성, '중'인 그룹은 실행력과 학습동기, 그리고 '하'인 그룹은 집중력이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교수피드백을 적용한 성찰일지 작성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태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Writing Reflection Journal with Teaching Feedback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김진영;김은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503-5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 피드백이 제공된 성찰일지 작성이 학습동기, 학습태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8년-2019학년도 건강사정 및 실습수업을 이수한 간호대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교수피드백이 적용된 성찰일지 작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학습태도는 사전점수를 공변량 처리하여 공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동기(t=2.10, p=.037), 학습태도(t= 4.54, p=.034)에서 시행군과 대조군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의 교과목에 교수의 피드백이 제공된 성찰일지 작성을 적용한다면 학습동기, 학습태도 향상을 가져온다고 할 수 있겠다.

간호대학생의 임상 시뮬레이션 학습동기가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clinical simulation learning motivation on nursing student learning achievement: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immersion)

  • 고은정;김은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3-123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immersion in clinical simul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clinical simulatio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184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who participated in clinical simulation between September and December 2022.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an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immer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Results: Among the subvariables of nursing student learning motivation, task value and self-efficac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respectively, β=.36, p=.001; β=.31, p<.001) and learning achievement (respectively, β=.48, p<.001; β=.38, p<.001). With the input of learning motivation variables, the direct effect of learning immersion on learning achievement was significant (β=.20, p=.003), and the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task value and self-efficacy on learning achievement was reduced after controlling for learning immersion,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respectively, β=.41, p<.001; β=.32, p<.001). The bootstrapping test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immersion was also significant (task value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0.02~0.20; self-efficacy 95% CI, 0.01~0.12).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imulation educators should consider learners' motivation and immersion when organizing and operating clinical sim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