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Librarians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6초

주제전문사서제의 도입 여부가 도서의 선정과 대출에 미치는 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Book Selection and Circulation After Introducing to Subject Librarian)

  • 노동조;남민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9-247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 주제전문사서제에 의한 도서선정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주제전문사서제도가 도입되기 이전과 이후에 선정된 개별 도서에 대한 대출 현황을 조사하여 그 효과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사대상이 된 S대학교 도서관에서 주제전문사서제도를 도입한 2005년 9월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 3년씩 총 6년 동안에 선정된 도서 186,435권에 대한 총 대출 현황(622,213권)을 t-test와 ANOVA를 통하여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제전문사서제의 도입 이후에는 사서에 의한 도서선정의 비율이 높아졌다. 둘째, 주제전문사서제의 도입 이전과 비교하여 도입 이후에는 교수와 사서에 의해 선정된 국외서에 대한 대출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주제전문사서제의 도입 이전과 비교하여 도입 이후에는 교수가 선정한 도서에 대한 대출 횟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학문분야가 많아진 반면, 학생이 선정한 도서는 대출횟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분야가 많았다.

대학도서관 사서의 근거기반실무 지식과 조직문화 인식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nowledge of Evidence Based Practi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Innovation Behavior of University Librarians)

  • 김갑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29-154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가 지각하는 근거기반실무 지식과 조직문화 인식유형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거기반실무 지식은 조직문화 인식, 혁신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근거기반실무 지식이 높을수록 관계지향, 혁신지향, 업무지향의 조직문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거기반실무 지식은 연령, 교육 정도, 고용 유형, 직위, 학술지의 정기적 읽기, 학술대회 참여 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혁신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연령과 학술대회 참가 여부 이었다. 근거기반실무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육정도, 학술지의 정기적 읽기로 나타났다. 혁신행위의 인식은 연령과 학회참석과 유의적 관계가 있었다. 대학도서관 사서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근거기반실무 지식, 혁신지향 조직문화, 위계지향 조직문화로 나타났다. 특히, 위계지향 조직문화 인식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혁신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소통과 협력의 혁신적 조직문화를 조성하며, 근거기반실무 적용을 위해 사서의 연구활용능력을 강화하고, 연구 관련 활동을 촉진하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이 조직 및 도서관계 차원에서 필요하다.

대학도서관 방문 프로그램을 통한 대학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연계 방안 (Cooperative Link between the Academic and School Libraries through Academic Library Visiting Program)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9-75
    • /
    • 2006
  • 정보사회에서 대학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신장이라는 공통의 목적을 갖는다. 따라서 대학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을 매개로 연계가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대학과 학교도서관의 연계 방안으로 대학도서관 방문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제안한다. 학교도서관의 입장에서 이 프로그램은 자료와 사서교사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서관 기반 학습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대학도서관의 입장에서는 지역사회개방에 따른 자료부족 문제, 사서의 업무 증가 문제. 열람석 부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서의 교육적 역할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Automation of Academic Libraries and Web Development: A Reverie or Reality

  • Emasealu, Helen Uzoez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43-56
    • /
    • 2019
  • The intricacies of web development have orchestrated a paradigm shift in academic libraries. The study explored literature on the status of automation of academic libraries and web development in Nigeria. It was established that the functions of library management software are abysmally under-utilized in academic libraries in Nigeria, thus, progression of automation projects remain a swinging pendulum. The paper, therefore, recommends that librarians should acquire the relevant training and plan strategically for all automation projects aimed at incorporating the intricacies of the web and ICTs into library services to fully utilize the functions of the library management systems in line with web developmental stages, thus, be able to compete globally.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과 전략적 계획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evelopment Plans and Strategic Plans of Academic Libraries in Korea and Overseas)

  • 이용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61-66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과 선진국 대학도서관의 전략적 계획을 비교하여 국내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주요 대학의 도서관 발전계획과 전략적 계획을 수집하여 비교하고 루브릭 평가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은 당면 과제와 개별 업무 위주로 작성되는 경향이 짙고 사명과 비전의 제시가 미흡한 반면, 선진국 대학도서관의 전략적 계획은 사명과 비전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그러한 틀에서 목적과 목표 및 세부업무를 설정함으로써 도서관의 장기적 발전을 견인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연구는 결론으로 국내 대학도서관에서의 사명과 비전의 천명, 사서 중심의 태스크포스 결성, 사명과 비전과 세부 계획의 연계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할 때 기초적인 고려사항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향후 연구로 전략적 계획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국내 대학도서관에 대한 사례연구, 국립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에서의 발전계획과 전략적 계획의 비교연구 등이 필요하다.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Work Stress Measurement Tool for Academic Librarians)

  • 이종윤;조현양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1-205
    • /
    • 2013
  •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업무수행 과정에서 받고 있는 직무스트레스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실증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국내 외 대표적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분석하여 종합하고, 질적 연구방법 중 심층면접법을 도입하여 대학도서관 사서가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스트레스 요인을 추적하였다. 또한 두 척도를 종합한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동료관계 갈등요인', '상하관계 갈등요인', '업무보상 평가요인', '감정노동 요인', '물리적 환경요인', '고용안정성', '심리적 직무요구요인', '의사결정 및 책임요인', '업무복잡성 요인', '업무경계 갈등요인', 그리고 '신체적 직무요구요인' 등 11개 요인, 46개 문항으로 구성된 사서를 위한 직무스트레스 척도가 개발되었다.

국내 학술지 웹DB 구독료 현황과 오픈액세스에 대한 사서의 인식 (What is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s for the Open Access of Korean Journals?)

  • 정경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65-382
    • /
    • 2008
  • 우리나라 학술지 오픈액세스는 어떤 논의의 출발점을 가지고 진행되어야 할까? 본 논문은 오픈액세스 촉발점이 되었던 서구의 학술지 위기 현상이 국내에도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국내 대학도서관 에서 우리나라 학술지 웹DB 가격의 상승률과 이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지난 십년간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 국내 학술지 웹DB의 가격은 적게는 1.3배에서 많게는 34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의 웹DB 가격이 아주 비싸다고 인식하는 사서는 많지 않았으며, 향후 도서관에 위기가 될 정도로 그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사서들은 설문응답자의 35%정도였다. 이러한 현황에 비추어볼때 적어도 국내의 오픈액세스는 '학술지 위기'가 주된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보다는, 그것의 또 다른 가치인 공공의 선, 사회정의의 차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도서관경영에 있어서 의사결정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cision making system in library management with an analysis on the case study of university library in Seoul)

  • 이우범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0권
    • /
    • pp.163-222
    • /
    • 1991
  • This dissertation are studying the conceptual structure of decision making situation in libraries, by analyzing the library function, decision makings of library and then seeking economic and efficient alternative decision making by programming the· decision making situations, and finally, introducing how to appl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or decision making support system. For this purpose, in order to analyzing necessary factors for the decision making system, the questionnaire used Lickert method were distributed to 400 librarians of 36 universities in Seoul by means of mail. 193 librarians, $48\%$ of the questionnaire, are returned are studied by using 'SYSTAT' statistical software to figure out the factors of the decision making system. This dissertation was put six hypotheses and tested with the returned questionnaire. The following five result can be asserted. First, to the higher degree of the librarians' participation in the important library decision makings, the quality of formal library services are improved regardless of seniority of the work. Secondly, the t-test results show that all of t-test scores of seniority of the work, educational background, and responsibilities of the work are exceeding significant level and perception of decision making was prov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seniority of the work, educational background, and responsibilities of the work in libraries. Thirdly, as the results of factor af factor analysis, the encouragement on participation in the library academic activities, the extent to get useful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s of library and the improvements of library works were grouped by similar posibilities of distribution and therfore the academic activities,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the improvement of library performances is proved to be interrelational each other. Fourthly, the fifth hypothesis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ision making situation and types of advisor by it was more or less interrelational, but their relationship was not seen some significancies. Lastly, as the dynamic organization of library management forming a special commitee or a project team with librarian can improve the extent and quality of the librarian's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 making of library works, and thus library will become to performance more rational and effective library management.

  • PDF

도서관. 정보학교육의 공통핵심영역에 관한 연구

  • 송영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97-126
    • /
    • 1981
  • The professional duties of librarians and other information workers involve a generalized body of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the so-called, 'common core') which is a n.0, pplicable worldwide without regard to national boundaries, levels of economic and technical development or cultural context. The current study is an attempt to validate and su n.0, pport this common core concept through a detailed examination of its important role in the sound develop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oth as a learned subject and as a profession. Following an initial overview of generally agreed upon core areas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librarians and information specialist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manifold social changes rapidly being effected by computer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ocus shifts to the proliferation of academic homes for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core areas in information science. Of note her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science as a broadly accepted social science discipline and the evolving core curriculum in library schools. To this regard the fact that the popularization of computer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increasingly blurring the once-sharp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librarians and information specialists naturally favors common core concept. Major figur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such as Shera, Saracevic and Foskette su n.0, pport this concept and have already identified its theoretical infrastructure. Finally, UNESCO and IFLA are also stressing the common core cure curriculu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oth as guidelines for the Third World and as a means to achieve universally accepted academic standards. In conclusion, the search for a comprehensive common core curriculu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s still in the elementary stages. The task of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this common core is among the most crucial responsibilities facing today's educators and professionals for the successful elaboration of a common core would enable us to attain three highly desirable professional goals: 1) To determine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 To serve as the base for further professional education and specialized research. 3) To offer enhanced o n.0, pportunities for integrat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programs by providing a genuine two-way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s.

  • PDF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과 방향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Essence and Direction of th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 곽동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69-83
    • /
    • 2011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과 방향에 대해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정보학 교육의 도입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둘째, 문헌정보학계와 도서관 현장의 문제점들을 분석하며, 셋째, 이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과 발전 방향 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을 도서관이란 '시설'보다는 '시설로서의 성격'에 초점을 맞춰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나아가 한국도서관협회가 중심이 되어 문헌정보학계와 도서관 현장을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한국적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을 정립하고, 전문직 사서 양성을 위한 표준교과과정을 확립하며, 사서양성기관의 정비 및 사서자격제도의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