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bility Area

검색결과 1,982건 처리시간 0.033초

초등과학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지식수준과 공간지각 능력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level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o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ience)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52-26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out the correlation of level of knowled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o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ienc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3, for 15 weeks, the classes were conducted for 3 hours per week and we find out knowledge Understanding degree and select terms offered by 5th grade science courses 'The solar system and the stars', 'Earth and Moon', 'change of seasons' section and measured space perception ability degre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a questionnaire.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understanding level of knowledge in the field of astronom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wed a low level of knowledge understanding as it goes the upper grades about upper concept in 'The solar system and the stars', 'Earth and Moon', 'change of seasons' section' of astronomy area of elementary science 'Earth and space sector'.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to acquire knowledge of astronomy area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dividually in 'finding solid body' of sub-element of space perception ability. This shows that 'finding solid body' factor is associated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Third, in the section of 'The earth and the Universe' for elementary education, 'Reflection' and 'Finding solid body' which are low-level components of space perception ability were verified that have a corelationship with general grades in the astronomy conception test.

광환경의 차이가 한지형 잔디의 연중 생육 및 광합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Conditions on the Seasonal Growth and Photosynthetic Ability in Several Wintergrasses)

  • 허건양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1-280
    • /
    • 1997
  • The short green period of zoysiagrass has been a problem in using for tur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eck growth response of several wintergrasses under sunny and shady area in Korea. Wintergrasses of 5 species, 27 cultivars introduced from U.S.D.A., were used in this study. After establishment, two fluctuations of top growth were observed which varied according to the species; first, due to drought in May, second, due to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from July to August. Red fescues and perennial ryegrasses showed severe growth retardation in sunny area during summer period. Kentucky bluegrasses and tall fescues maintained good Qualities nearly all the year round arid showed slight disease infections. Kentucky bluegrass 'Kenblue' and red fescue 'Agram' grown under shady area showed higher photosynthetic ability than under sunny area, except the temperature range from 30˚C to 40 ˚C under 40,000 lux light in red fescue 'Agram'. And the phorosynthesis was decreased at the temperature range from 35 ˚C to 40 ˚C. Key words: Wintergrass, Top growth, Visual rating, Photosynthesis, Poa pratensis. Festuca arundinacea, Pestuca rubra. Lolium perenne, Agrostis stolonifera.

  • PDF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The Study on Proper Way for Engineering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ies and Expected Competencies of Engineering Freshmen)

  • 이경희;권혁홍;이정례;이성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57-71
    • /
    • 2010
  •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통하여 획득해야 하는 핵심역량들을 추출하여 공과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는 현재의 역량수준과 기대하는 역량수준을 조사하고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핵심역량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서, '전공능력', '교양능력', '외국어능력', '기초수학능력', '인간소통능력'의 5가지를 공학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되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추출하였다. 이를 연구도구화 한 뒤, C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 584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을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입생들은 모든 역량에서 현재 역량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외국어 역량'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았다. 기대인식수준에 대한 교육요구도 '외국어능력'이 가장 높았고, '전공능력'은 두 번째로 높았다. 둘째, 신입생들의 하위특성을 성별, 고등학교 계열별, 출신고등학교의 지역별, 대학입학전형 유형별, 수능 수리유형별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하위특성별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으로 외국어(영어)교육의 강화, 학습자의 하위 특성에 따른 개인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 전공능력뿐 아니라 교양능력 및 인간소통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관련 프로그램의 강화,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자료 축적을 통한 공학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작업, 공학교육과정과 특별프로그램을 통한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 PDF

보건의료정보관리 전공 학생의 임상실습 수행능력과 실습 만족도 (Clinical Practice Ability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Training of Health-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ajor Students)

  • 송애랑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03-217
    • /
    • 2018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practice ability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training of health-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ajor students. Methods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8 persons from students finished clinical training at medical record (information) team using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correlation with SPSS 22.0 version. Results: Performance of data collection, data management, and data analysis were analyzed in three areas of the job area. In terms of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they were not related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al experience. Conclusions : Research on a virtuous cycle clinical practice program that analyzes the factors by assess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clinical practice in each area of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will be conducted continuously.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를 통해 살펴본 고등학교 수학 평가의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Assessment in Korean High School Mathematics through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Mathematics Domain Changes)

  • 최인선;이세형;문두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37-158
    • /
    • 2023
  • 본 연구는 1993년부터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수학 영역 체제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 우리나라 고등학교 수학교육에서의 평가 방향 정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을 시험 체제, 내용 영역, 행동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시험 체제는 시험 시간, 문항 수 외에 평가 요소와 문항 유형 등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내용 영역 분석을 통하여 교육과정과 평가 영역의 관계성을 확인하고, 평가 영역 설정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행동 영역 분석을 통하여 특정 행동 영역에서 문항 유형의 고착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평가 문항의 유형에 대한 지속적 변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에서의 시대적 요구와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평가의 방향과 그에 따른 제반 사항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에서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을 활용한 정보표현 영역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Learning about The Information Representation Area using Unplugged Learning Method in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 박윤성;한병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79-487
    • /
    • 2009
  • 현재 우리나라 컴퓨터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중 가장 강조하는 부분은 정보소양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여 미래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그러나 현행의 컴퓨터교육은 응용 프로그램 활용 교육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문제해결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높이기 위해 컴퓨터과학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을 컴퓨터과학 영역 중의 정보표현 영역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이 강의식 학습 방법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의적 영역에서도 강의식 학습 방법에 비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 PDF

남.녀 중학생의 식생활관리 단원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 능력 (A Study on Interest and Application Ability in Meal Managem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 이광희;임양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83-39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interest and application ability in meal management chapter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the improvements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aching projects. The subjects were 555 middle school students(275 males, 280 females) in Chunchon area, Kangwon-do.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t-test, F-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wi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terest and application ability according to gender, school years, home economics scholastic achievements, and father's role in preparing meal. The degree of interest and applicat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than male. First grade students showed more interest and higher application ability than the third year. In general, the higher home economics scholastic achievement was,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est and application ability was. The more father's role was in preparing meal, the higher student's degree of interest and application ability wa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interest and the degree of application ability.(r=0.853, p< .001)

  • PDF

시멘트와 거푸집을 이용한 중학교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융합 역량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of a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Cement and Mold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Effect on Convergence Ability for Creativity)

  • 김성수;유현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29-138
    • /
    • 2019
  • 최근까지 메이커 교육의 흐름은 3D 스캐너, 3D 프린터, 피지컬 컴퓨팅 도구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메이커 프로그램 연구들이 주류를 이룬 반면,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즉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하여 직접 손으로 만들 수 있는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다소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기술 교과를 학습하는 학생들을 위해 시멘트와 거푸집을 이용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창의융합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준비 단계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학습단원과 내용요소를 추출하였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교수-학습 자료 타당도 및 창의융합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선정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자료와 창의융합 역량 평가도구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평가단계에서는 창의융합 역량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에게 창의융합 역량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으로는 소통과 협업능력, 타 분야에 대한 지식, 인본주의 요인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수학과 진단평가 및 보정학습 자료 개발 연구 - '변화와 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remedial learning program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the area of change and relation)

  • 최승현;황혜정;남금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409-434
    • /
    • 2013
  • 수리능력은 전문 역량 학습의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직업 세계에의 적응과 경력 개발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역량이다. 따라서 특성화 고둥학교 학생들의 기초 학력을 신장시키고, 나아가 이후 학생들이 직업 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습 지원 체제가 필요하다. 이러한 취지하에,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생 개인별 수준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수리능력 신장을 위한 효율적 보정학습 체제를 구안하고자 하였다. 둘째, 보정학습 대상자 선정, 보정 대상 단계 및 수준 확정, 단계 인증을 위한 진단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학습자 개개인을 위한 맞춤형 보정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직업 세계에서 수리능력의 효과적 활용을 도모하는 실제 중심의 보정학습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다만, 본고에서는 자료 개발의 예로 모든 영역의 내용을 제시하기에는 방대하므로 함수에 해당하는 '변화와 관계' 영역에 중점을 두어 제시하였다.

  • PDF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에 관한 중요도 인식과 능력 차이분석 (Difference analysis of importance perception and ability of communication among dental hygienists)

  • 이선미;전미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91-503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among dental hygienists and provide evidence for the activa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necessary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required in the actual dental field.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27 members attending conservative education in 2020. Results: The following are mean scores of each area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importance: message conversion ability, 3.82 points; interpretation ability, 3.74 points; goal setting ability, 3.51 points; self-expression ability, 3.48 points; and role performance ability, 3.46 points. The ability was interpreted in the following order: interpretation ability, 3.61 points; message conversion ability, 3.56 points; role performance ability, 3.43 points; self-expression ability, 3.32 points; and goal setting ability, 3.10 points. The highest score in terms of importance of awareness was 4.27 points, the highest among interpretive abilities, that is, to 'listen carefully to know what the other person intends to say.' When it comes to communication skills, the highest score was 4.12 points for 'a nod or a facial expression of understanding while listening to each other.' Conclusions: In devel oping a training program related to communication for dental hygienists at the clinical site, the curriculum reflecting seven items that needs improvement should be revised; an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dental hygienists' communication skills will be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