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direction of Assessment in Korean High School Mathematics through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Mathematics Domain Changes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를 통해 살펴본 고등학교 수학 평가의 방향 탐색

  • Received : 2023.06.01
  • Accepted : 2023.06.24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hifts in the mathematics domain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since its inception in 1993, with the intent of identifying improvements for the future. The goal is to provide insights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assessment in Korean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To this end, we focused on the test system, content area, and behavioral area within the CSAT mathematics domains. Key findings include: first, the test structure influences the assessment factors and item types, in addition to the examination time and number of items. Second, by analyzing the content area, we established a correlation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ssessment area, and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etting the assessment area.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behavioral area tended to the item-type fixation, demonstrating the necessity of the ongoing modifications in evaluation item types. Building up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direction of an evaluation that considers the evolving demands and shifts within mathematics education.

본 연구는 1993년부터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수학 영역 체제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 우리나라 고등학교 수학교육에서의 평가 방향 정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을 시험 체제, 내용 영역, 행동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시험 체제는 시험 시간, 문항 수 외에 평가 요소와 문항 유형 등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내용 영역 분석을 통하여 교육과정과 평가 영역의 관계성을 확인하고, 평가 영역 설정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행동 영역 분석을 통하여 특정 행동 영역에서 문항 유형의 고착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평가 문항의 유형에 대한 지속적 변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에서의 시대적 요구와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평가의 방향과 그에 따른 제반 사항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호경(2008) 문헌분석을 통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의 개정 방향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3), 467-481.
  2. 교육과학기술부(2011).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8].
  3. 교육부(1992a). (제6차) 고등학교 교육과정(I). 교육부 고시 제1992-19호.
  4. 교육부(1992b). (제6차) 고등학교 수학과 해설. 교육부.
  5. 교육부(1997a).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8].
  6. 교육부(1997b). (제7차) 고등학교 수학과 해설. 교육부.
  7. 교육부(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8. 교육인적자원부(2007a).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8].
  9. 교육인적자원부(2007b). (2007 개정) 고등학교 수학과 해설. 교육인적자원부.
  10. 국립교육평가원(1992). 대학수학능력시험 실험평가 문제집. 국립교육평가원.
  11. 국립교육평가원(1993). 199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계획. 국립교육평가원.
  12. 김홍유, 이종구(2009). 한국 대학입학제도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탐색적 연구. 유라시아연구, 6(2), 109-133. https://doi.org/10.31203/AEPA.2009.6.2.006
  13. 문교부(1988). (제5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88-7호.
  14. 이광상, 임해미, 최인선, 김성경(2021). 수학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우사.
  15. 임미인, 김혜미, 남지현, 홍옥수(2021). 인공지능(AI) 활용 초등수학수업 지원시스템의 교수.학습 적용 방안 모색. 학교수학, 23(2), 251-270.
  16. 전영주(2013).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수리) 영역 변천사.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26(2), 177-195. https://doi.org/10.14477/jhm.2013.26.2_3.177
  17. 최인선(2022). 수학교실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 탐색: 중학교 통계 단원 시나리오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5(2), 149-174. https://doi.org/10.30807/KSMS.2022.25.2.003
  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4).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 -수리 영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5). 대학수학능력시험 10년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4). 대학수학능력시험 20년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3).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학습방법안내. 수능 CAT 2023-2-1.
  22. 허남구(2022). 2015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관점에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1), 701-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