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P binding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8초

Vibrio fluvialis oligopeptide permease (oppA) 유전자 deletion에 의한 생리적 특성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Properties in Vibrio fluvialis by the Deletion of Oligopeptide Permease (oppA) Gene)

  • 안선희;이은미;김동균;홍경은;박은미;공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1-135
    • /
    • 2006
  •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nitrogen source는 di-, tri-, oli- go-peptide 또는 amino acid의 형태로 세포내로 uptake되어 대사과정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peptide는 특이한 transport system에 의해서 이동되고 있는데 oligo peptide(Opp) transport system에는 binding protein, permease protein, energy 생성을 위한 ATP 분해에 관여하는 protein 이 관여하고 있으며 염색체 상에서 이들 단백질들은 operon 형태의 유전자로부터 발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gram 음성 세균이며 수해양 서식 세균인 V, fluvialis로부터 얻어진 Opp operon 유전자 가운데 oligopeptide binding protein을 coding하고 있는 oppA 유전자가 deletion된 mutant를 사용하여 여러 환경변화에 따른 생육을 wild type과 비교한 연구 결과 이다. 생육을 위한 완전배지인 brain heart infusion (BHI) 배지와 최소배지인 M9 minimal 배지를 사용한 결과 OppA protein의 생성 결핍에 따라 초기 및 대수증식기 과정 중에는 mutant의 생육이 늦어지고 있으나 Opp system이 아닌 다른 peptide전달 경로로 추정되는 system을 이용하여 대수 증식기 후반에서는 wild type과 거의 같은 생육 형태를 보여 주고 있었다. pH의 변화에 따른 생육은 pH 7에서는 생육정도가 비슷하였으나 약알칼리 부근에서는 oppA mutant의 생육이 wild type에 비하여 낮아지고 있었다. 또한 5 mM $H_2O_2$를 사용하여 $OD_{600}=1.2$농도의 세포들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 두 균 모두 높은 생존율을 보여 주었으며 이는 대수증식기 세포들을 사용한 결과와는 매우 다른 형태를 보여 주고 있었다. 항생제 내성에 대한 연구에서는 mutant가 streptomycin과 tetracycline 에 대해서는 wild type과는 다르게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생육이 되고 있지 않으나 polymyxin B에 대해서는 wild type과 같이 $10{\mu}g/ml$의 농도에서도 잘 자라고 있었다.

잎들깨 수량과 단백질체 발현에 미치는 UV-B의 영향 (Effect of Elevated Ultraviolet-B Radiation on Yield and Differential Expression of Proteome in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 홍성창;황선웅;장안철;신평균;장병춘;이철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3
    • /
    • 2006
  • 비닐하우스는 노지보다 UV-B 선량이 적고 외기와 차단되어 노지와 다른 생육환경 하에서 작물이 생육하게 된다. 본 연구는 UV-B 저선량 상태인 비닐하우스 재배 잎들깨에 UV-B를 처리하여 수량과 생리변화를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UV-B는 형광램프를 이용하여 잎들깨 수관으로부터 150, 120, 90 cm에서 처리하여 각각 노지자연량, 노지자연량+50% 증가량, 노지자연량+100% 증가량을 다른 광의 간섭이 없는 밤 9시부터 2시간씩 30일간 처리하였다. UV-B 처리에 의한 잎들깨 수량은 비닐하우스, 노지 자연량 150% 증가량, 노지자연량, 노지자연량+100% 증가량 처리 순이었다. 7월 20일의 자연 UV-B 선량은 노지 13.6 kJ/일, 비닐하우스 4.9 kJ/일로 비닐하우스의 UV-B 선량은 노지보다 64% 감소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UV-B가 균일하게 처리된 잎들깨의 단백질을 추출하여 2차원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이미지분석하여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 UV-B에 의해 33개의 단백질 발현이 변화되었으며 이중 10개가 동정되었다. 동정된 단백질의 기능별로 분류하면 광합성과 관련된 것이 40%,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방어와 관련된 것이 60%였다. UV-B에 의해 발현이 감소한 단백질은 광합성과 관련된 ATP synthase CF1 alpha chain이었고 발현이 증가한 단백질은 DNA recombination and repair protein recF, Heat shock protein 21, Catalase, Galactinol synthase, S-adenosyl-L-methionine, Calcium-dependent protein kinase(CDPK)-like 로 주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방어와 관련된 단백질들로서 UV-B는 잎들깨 세포내 DNA와 광합성기구를 손상시켜 광합성에 저해적으로 작용하여 수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s of Fattening Period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Lipogenic Gene Expression in Hanwoo Steers

  • Kwon, Eung Gi;Park, Byung Ki;Kim, Hyeong Cheol;Cho, Young Moo;Kim, Tae Il;Chang, Sun Sik;Oh, Young Kyoon;Kim, Nam Kuk;Kim, Jun Ho;Kim, Young Jun;Kim, Eun-Jib;Im, Seok Ki;Choi, Nag-J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2호
    • /
    • pp.1654-1660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fattening periods i.e. 25, 27 and 29 months of age (25 mo, 27 mo and 29 mo), on feed consumption, body weight gain, carcass parameters, and lipogenic gene expression in 45 Korean native steers (Hanwoo). Daily DM intake was higher in steers on 29 mo compared with those on 25 mo or 27 mo. Daily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steers on 25 mo compared with those on 27 mo or 29 mo during fattening and overall experimental periods. Therefore, feed conversion ratio was lower in 25 mo compared with 27 mo or 29 mo during the fattening and whole experimental periods. As expected, slaughter and carcass weight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29 mo>27 mo>25 mo. Carcass yield grade was relatively lower in 29 mo reflecting higher back fat thickness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while carcass quality grade was not largely influenced by the treatments. By investigation with an ultra-sound scanning technique, the marbling score was significantly and numerically higher in 25 mo compared with 27 mo or 29 mo. The mRNA levels of stearoyl-CoA desaturase (SCD) gene were gradually increased in the late fattening stages (p<0.01) and mRNA of acetyl-CoA carboxylase (ACC), ATP citrate lyase (ACL) and glucose transporter 4 (GLUT4) gene were highly expressed in 29 mo compared with 25 mo and 27 mo (p<0.05). However, gene expressions of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4 (FABP4) and lipoprotein lipase (LP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Thus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t fattening period has no major effect on carcass characteristics, although 25 mo had a lower carcass weight compared with 27 mo or 29 mo.

쓴메밀 새싹 추출물의 히스톤 아세틸화 효소 활성 저해에 의한 비알코올성 지방간 억제 효능 (Effect of Tartary Buckwheat Sprout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rough Anti-Histone Acetyltransferase Activity)

  • 황진택;남태규;정민유;박재호;최효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69-17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쓴메밀 새싹 추출물(TBS)을 대상으로 histone acetyltransferase(HAT) 활성 저해능을 평가하고 oleic acid와 palmitic acid(OPA)를 이용하여 HepG2 세포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도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HeLa 세포의 nuclear extract(NE)를 HAT의 source로 하여 in vitro에서 TBS에 의한 HAT 활성 저해능을 평가한 결과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HAT 활성이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대표적인 HAT 단백질인 p300과 CBP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HAT 억제능을 평가한 결과 TBS 처리에 의하여 두 단백질 모두 활성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TBS는 p300의 활성을 특이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HepG2 세포에 $400{\mu}M$의 oleic acid 및 $100{\mu}M$의 palmitic acid와 함께 $200{\mu}g/mL$, $500{\mu}g/mL$의 TBS를 처리한 후 NE를 이용하여 세포 내 HAT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역시 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세포 내 HAT 활성이 저해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TBS에 의한 HAT 활성의 억제는 세포 내 다양한 단백질들의 아세틸화 저해와 지질축적에 의하여 아세틸화 변형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histone H3K9, H4K8의 아세틸화 및 H3K36의 아세틸화를 감소시켰으며, 세포 내 지질합성과 관련된 대표적 유전자인 SREBP1c, ACLY, FAS의 전사 활성 역시 저해함을 관찰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를 통하여 OPA에 의하여 HepG2 세포 내에 축적되었던 지질은 TBS의 처리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때 처리된 OPA와 소재에 의한 세포 내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는 TBS에 의한 HAT 활성의 저해가 히스톤 단백질의 아세틸활 변형을 억제하고 이를 통하여 지방 합성 관련 유전자들의 전사 활성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세포 내 지질축적을 방지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TBS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예방에 좋은 천연물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인삼사포닌 분획이 Escherichia coli K-12의 성장과 Siderophore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Growth and Siderophore Formation in Eseherichia coli K-12)

  • 조영동;이용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02-107
    • /
    • 1983
  • The effects of saponin, one of major components (Panax ginseng C.A. Meyer), on the growth of E. coli K-12 and the formation of siderphore was observ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When E. coli was grown on medium containing 1${\times}$10-5%-11${\times}$10-1% of the saponin, the rate of growth was stimulated at 10-1% of the saponin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control. 2. When E. coli K-12 was grown on medium containing 1${\times}$10-1% of the saponin, the amount of siderphore was two times as much as the control. 3. The growth of E. coli was observed to be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siderophore when siderophore was added to medium. 4. The effect of saponin on the formation of siderophore in vitro was observed to reach maximum at 1${\times}$10-3% of the saponin. Such results suggest that the growth rate of E. coli K-12 could be enhanced by ginseng saponin fraction through stimulation of siderphore formation. We have described the fast growth of E. coli, K-12 and B. subtilis, rapid uptake of 14C-glucose, and high level of other metabolites such as lipids and proteins of E. coli, and B. subtilis in medium containing saponing fraction compared to that of microorganisms without saponin fraction.1∼3Such differences were claimed to be due to rapid uptake of 14C-glucose by widened periplasmic region throught unknown mechanism in the prescence of saponin fraction in medium3 and have raised a question whether there is another possible factor, siderophore4(Greek for iron bears), since microorganisms must secure a sufficient amount of iron for normal growth. These are known to be synthesized by the cells under iron-deficient condition and in most case, excreted into the medium5, where they can complex and solubilize any iron present there.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se complexes are then taken into the cells presumably by specific transport systems, thus providing iron for cell metabolism. Within the group of enteric bacteria, only three species (E. coli, S. typhimurium, and A. aerogense) have, so far, been studied in a ny detail. The main iron-binding compound produced by these species is enterochelin, and its role in iron transport is now well established. And biosynthesis of enterochelin from 2, 3- dihydroxybenzoate and serine in the prescence of magnesium ions and ATP was reported6. 2, 3-dihydroxybenzoate was also shown to involve isochorismate and 2, 3-dihydro-2, 3-dihydroxybenzoate as intermediate.7∼11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growth, the level of enterochelin formation in vivo and the conversion of 2, 3-dihydroxybenzoate and serine into entrochelin in vitro, and entrochelin obtained on the growth in relation to possible explanation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the rapid growth of E. coli, K-12.

  • PDF

Proteomics를 이용한 콩의 발아 전 침종처리에 따른 단백질 발현 양상 비교 분석 (Characterization of Protein Function and Differential Protein Expression in Soybean under Soaking Condition)

  • 조성우;김태선;권수정;;이철원;김홍식;우선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14-122
    • /
    • 2015
  • 침종 기간과 침종 후 발아의 유무에 따른 단백질 발현을 이차원전기영동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양상을 확인하고 비교 분석한 결과, 침종 기간과 침종 후 발아의 유무에 따른 단백질 발현 양상은 전반적으로 매우 유사하였으며, 주요 단백질의 발현에는 차이가 없었다. 침종 기간에 따른 품종별 단백질 발현 양상은 침종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단백질 발현정도가 점차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시품종들 중 황금콩, 단엽콩, Peking이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침종 4일후에 단백질 발현정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침종 후 발아 유무에 따른 단백질 발현양상은 소수의 단백질 spot들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모든 공시 품종들에서 발아한 종자에서의 단백질 발현정도는 미발아 종자에서보다 높게 확인되었다.

Endoplasmic recticulum stress와 관련된 유전자기능과 전사조절인자의 In silico 분석 (In Silico Analysis of Gene Function and Transcriptional Regulators Associated with Endoplasmic Recticulum (ER) Stress)

  • 김태민;여지영;박찬선;이문수;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59-1163
    • /
    • 2009
  • ER stress에 관련된 유전자의 기능변화와 전사조절인자 분석하기 위해 ER stress를 유도한 간세포에서 expression microarray로 유전자 발현을 확보한 후 GSECA로 분석하였다. ER stress가 유도되면, ER에 주어지는 과도한 부하를 감소시키는 기능들이 증가하는 반면, ER stress가 더 증가함에 따라 ATP 생성이나 DNA repair, 더 나아가 세포분열의 기능이 감소하는 등 세포가 damage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ER stress에 관련된 전사조절인자로는 FOX04, AP-1, FOX03, HNF4, IRF-1, GATA 등의 전사조절인자들이 ER stress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는 유전자들의 promoter에 공통적으로 존재하였으며, E2F, Nrf-1, Elk-1, YY1, CREB, MTF-1, STAT-1, ATF 등의 전사인자들이 발현이 감소하는 유전자들의 promoter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여, 이들의 전사인자들이 ER stress에 의한 유전자의 발현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조절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Escherichia coli 에서 리보솜 조립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들 (Non-ribosomal Ribosome Assembly Factors in Escherichia coli)

  • 최은실;황지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915-926
    • /
    • 2014
  • 리보솜은 mRNA상의 유전정보를 단백질로 번역하는 세포에 필수적인 거대복합체이다. 이러한 리보솜은 리보 핵산단백질 복합체로, rRNA와 리보솜 단백질로 이루어져있다. 리보솜 조립과정은 리보솜 단백질 이외에도 많은 조립인자들이 각 구성요소의 조립을 도움으로써 이루어진다. 세포 내 리보솜 조립과정에 참여하는 조립인자들로 GTPase, ATPase, 샤페론, RNA helicase, 수식효소 등 다양한 단백질들이 알려졌다. 리보솜 조립과정 중 이러한 조립인자들은 리보솜 단백질 또는 rRNA의 수식에 참여하거나, 리보솜 단백질들과 rRNA의 조립 등을 돕는다. 이러한 리보솜 조립인자들에 관한 유전학적, 구조적, 생화학적 실험결과들이 많이 존재하지만 정확한 리보솜 조립과정과 이러한 조립인자들의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E. coli의 리보솜 조립과정을 돕는 단백질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부신백질형성장애증 섬유모세포에서 발프로산의 항산화능 (Valproic Acid Reduces Reactive Oxygen Species in Fibroblast of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 강준원;전철구;장지호;강훈철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5-50
    • /
    • 2015
  • 목적: X-ALD는 Xq28에 위치한 ABCD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긴사슬지방산이 신경 조직과 부신에 축적되어 일어나는 퇴행 뇌질환이며, 소아기 대뇌형의 경우 빠르고 심한 임상 경과를 보인다. 이 과정에서 산화스트레스도 조직 손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수이식이나 로렌조 기름 등이 치료 방법으로 이용되나 치료의 위험성과 효과에서 한계를 보이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X-ALD 환자에게 채취한 섬유모세포를 이용하여, X-ALD의 치료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VPA의 효과를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X-ALD 환자의 피부에서 채취한 섬유모세포와 정상인의 피부에서 채취한 섬유모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된 섬유모세포에 VPA를 처리한 후 RNA발현 정도를 통해 ABCD2 발현을 확인하고 유동세포계측법으로 활성산소종을 측정하였다. 결과: VPA을 처리한 후 정상과 X-ALD 섬유모세포 모두에서 ABCD2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특히 X-ALD 섬유모세포에서 ABCD2 유전자 mRNA 발현이 2.22배로 정상의 1.76배보다 더 증가하였다. 유동세포계측법으로 활성산소종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에서 13.7, VPA를 처리한 군에서는 각각 0.25 mM에서 8.67, 0.5 mM에서 9.37, 1 mM에서 5.83을 나타내었다. 결론: X-ALD 환자에서 VPA의 항산화능을 이용하여 신경손상을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실제 환자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Hepatic microRNAome reveals potential microRNA-mRNA pairs association with lipid metabolism in pigs

  • Liu, Jingge;Ning, Caibo;Li, Bojiang;Li, Rongyang;Wu, Wangjun;Liu, Hongl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9호
    • /
    • pp.1458-1468
    • /
    • 2019
  • Objectiv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abolic organs, the liver plays vital roles in modulating the lipid metabolism. This study was to compare miRNA expression profiles of the Large White liver between two different developmental periods and to identify candidate miRNAs for lipid metabolism. Methods: Eight liv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White Large of 70-day fetus (P70) and of 70-day piglets (D70) (with 4 biological repeats at each development period) to construct sRNA libraries. Then the eight prepared sRNA libraries were sequenced using Illumina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on HiSeq 2500 platform. Results: As a result, we obtained 346 known and 187 novel miRNAs. Compared with the D70, 55 down- and 61 up-regulated miRNA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ially expressed (DE). Gene ontology and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enrichment analysis indicated that these DE miRNAs were mainly involved in growth, development and diverse metabolic processes. They were predicted to regulate lipid metabolism through adipocytokine signaling pathwa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phosphatidylinositol 3 kinase/protein kinase B, and Notch signaling pathway. The four most abundantly expressed miRNAs were miR-122, miR-26a and miR-30a-5p (miR-122 only in P70),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lipid metabolism. Integration analysis (details of mRNAs sequencing data were shown in another unpublished paper) revealed that many target genes of the DE miRNAs (miR-181b, miR-145-5p, miR-199a-5p, and miR-98) might be critical regulators in lipid metabolic process, including acyl-CoA synthetase long chain family member 4, ATP-binding casette A4, and stearyl-CoA desaturase. Thus, these miRNAs were the promising candidates for lipid metabolism. Conclusion: Our study provides the main differences in the Large White at miRNA level between two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It supplies a valuable database for the further function and mechanism elucidation of miRNAs in porcine liver development and lipid metabo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