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DMB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3초

계층변조 기반 AT-DMB의 성상비에 따른 LAB 테스트 결과 분석 (Analysis of laboratory test results on the constellation ratio in hierarchical modulation based AT-DMB)

  • 이재홍;배재휘;최승원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721-732
    • /
    • 2009
  • AT-DMB(Advanced T-DMB) 시스템은 기존 T-DMB와 역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에서 전송률을 최대 2배로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AT-DMB 시스템은 T-DMB의 DQPSK 변조신호에 새로운 변조가 적용된 BPSK 또는 QPSK 신호를 향상 계층으로 중첩하는 계층변조를 적용한다. AT-DMB의 계층변조에 새로 추가되는 신호는 T-DMB와 역호환성 유지 및 방송권역 축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크기가 충분히 작아야하는데, 추가되는 크기가 작은 신호는 전송채널에 존재하는 페이딩에 의해 쉽게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AT-DMB의 계층변조에 새로 추가되는 신호에는 오류정정 성능이 우수한 터보 (turbo) 부호를 적용하여 채널왜곡을 보상한다. 이러한 AT-DMB 시스템의 성능검증을 위해, AT-DMB 송 수신기를 구현하여 LAB 테스트를 통해 계층변조 신호의 성상비(constellation ratio)에 따른 AT-DMB 시스템의 수신율 측정결과를 얻었고, 결과분석을 통하여 AT-DMB 시스템의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AT-DMB 서비스 검증을 위한 휴대용 송출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Portable Transmission System for Verifying AT-DMB Services)

  • 배병준;이지봉;송윤정;이수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92-194
    • /
    • 2010
  • AT-DMB 시스템은 계층 변조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모바일 방송 서비스로써 먼저 자리 잡은 지상파 DMB 방송과의 역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 2배의 데이터 전송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AT-DMB 서비스가 상용 방송으로써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상파 DMB와는 차별성을 가지는 AT-DMB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와 상용 AT-DMB 수신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T-DMB 방송 서비스 및 수신기의 개발을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한 AT-DMB 휴대용 송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휴대용 송출 시스템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설계 및 구현하여, 이미 검증된 AT-DMB 수신기로 구현된 기능을 검증한다. 또한 상용 지상파 DMB 수신기를 이용하여 지상파 DMB 시스템과의 역호환성을 유지하는지 확인한다.

  • PDF

AT-DMB 시스템을 위한 계층변조 방식의 성능 분석 (Study on the Performance of Hierarchical Modulation for AT-DMB System)

  • 이상진;이상운;양규태;임종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09-51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T-DMB(Terrestrial-DMB) 방식과 호환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이동환경에서 고전송 효율,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휴대 이동 방송 방식인 AT-DMB(Advanced T-DMB) 시스템을 소개한다. AT-DMB 시스템에 새로 도입된 계층 변조방식은 기존의 데이터 스트림에 부가적인 데이터 스트림을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AT-DMB는 기존의 T-DMB보다 더 많은 유효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고품질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많은 방송 서비스 채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AT-DMB 시스템에서 새롭게 도입된 계층변조 방식과 기존의 T-DMB 시스템과의 성능을 비교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계층변조에 의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AT-DMB 전송 신호 정규화 방안 (Transmission Signal Normalization Scheme for Advanced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이상운;김영수;송윤정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868-875
    • /
    • 2010
  • AT-DMB 는 지상파 DMB를 기반으로 하며, 기존의 지상파 DMB와 역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전송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개발이 되었다. AT-DMB 관련 전송방식 및 계층적비디오서비스 기술개발 및 표준 제정이 완료되었으며,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한 응용서비스 기술들이 개발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AT-DMB 시스템에서 성상비 변화에 따른 전송 신호들의 전력변화를 고찰하고 이를 감소시켜 전송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을 적용하여 AT-DMB의 B 모드 및 Q 모드 모두에서 계층 변조된 신호들의 전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유 공간 빔형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AT-DMB 수신 방법 (AT-DMB Reception Method with Eigen-space Beamforming Algorithm)

  • 이재홍;최승원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22-132
    • /
    • 2010
  • 고전송률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즉 Advanced T-DMB 방송 (이하 AT-DMB)은 기존 T-DMB와 역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전송률을 최대 2 배로 높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개발 되고 있다. AT-DMB 시스템은 T-DMB의 DQPSK 변조신호에 새로운 변조가 적용된 신호를 중첩하는 계층변조를 적용 한다. AT-DMB의 계층변조에는 새로 추가하는 향상 계층신호로 이동성에 강한 BPSK 신호를 더하는 B 모드와 보다 많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QPSK 신호를 더하는 Q 모드가 있다. T-DMB와 역호환성 유지 및 방송권역 축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향상 계층의 신호를 작게 유지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새로 추가된 향상계층 신호는 전송채널에 존재하는 페이딩에 의해 쉽게 왜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향상 계층의 신호에는 기존의 길쌈 부호 보다 에러 정정 능력이 뛰어난 터보 부호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AT-DMB의 경우 기본계층과 향상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QEF(quasi error free) SNR(signal to noise ratio) 차이로 인해 방송권역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별도의 송신 출력의 증가 없이 AT-DMB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빔형성 이득과 다이버시티 이득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고유 공간 빔형성 기법을 적용한 AT-DMB 수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고유 공간 빔형성 기법이 적용된 AT-DMB 수신 방법에 대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고 그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추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AT-DMB 수신기 개발 (Development of AT-DMB Receiver of being possible to provide Additional Services)

  • 김광용;임종수;송윤정;이수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23-125
    • /
    • 2010
  • 3D 영화의 상업적 성공으로 인하여, 기존 컨텐츠와 차별화된 고품질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방송의 특성상 기존 방송망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매체별 채널 용량 증대에 대한 기술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최근에 지상파 DMB 방송과 동일한 주파수 영역 내에서 채널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세대 지상파 DMB (advanced t-dmb, AT-DMB)와 관련된 국내 표준화가 완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T-DMB와의 역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추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AT-DMB 시스템을 간단히 소개하고, 수신기 개발 시 고려해야 할 T-DMB 전송프레임과 AT-DMB 전송 프레임의 차이점과 구조에 대해서 논한다. 특히 추가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수신 플랫폼의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AT-DMB 송출 환경에서 제안된 수신 플랫폼 처리 방법에 따른 수신 테스트 및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대역폭 할당 방식에 따른 T-DMB와 AT-DMB간의 스케일러블 부호화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calable Video Coding between T-DMB and Advanced T-DMB on Bandwidth Allocation Method)

  • 최성진;김진수;김재곤;최해철;유정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13-116
    • /
    • 2007
  • 현재 국내에서는 지상파-DMB(T-DMB)가 거의 모든 대도시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되고 있으나, 한정된 대역폭으로 인하여 최대 CIF급 화면 해상도까지 서비스가 가능하다. 고품질의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계층 변조 전송 기법을 통하여 추가적인 전송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고품질-DMB(Advanced Terrestrial-DMB) 서비스를 SVC(Scalable Video Coding) 기법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대역할당 크기에 따른 품질 특성을 조사 분석한다. 또한, T-DMB와 AT-DMB간의 동적인 대역 할당 방식에 따른 각 계층 간 성능 변화를 영상 시퀀스별로 조사 분석한다.

  • PDF

AT-DMB 시스템에서 채널추정을 이용한 기본계층 수신 성능 향상기법 (Improving the Base-Layer BER performance at AT-DMB using a Channel Estimation)

  • 방극준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9권2호
    • /
    • pp.46-51
    • /
    • 2012
  • AT-DMB 시스템의 신호 전송은 향상계층은 채널등화를 거친 Coherent Detection을 사용하지만 기본계층은 T-DMB와 마찬가지로 차동변복조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같은 구조에서 어차피 향상계층 수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채널추정 결과를 기본계층에 적용하여 기본계층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안하는 방법은 AT-DMB 수신단의 차동복조앞단에서 수신신호에 채널등화를 적용한 후 수신신호 성상도를 가장 가까운 ${\pi}$/4-shift DQPSK 성상도점으로 집중화시킨 후 차동복조를 적용함으로서 코딩을 적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AWGN $10^{-4}BER$ 기준으로 약 2dB 성능향상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데이터 캐로절을 이용한 지상파 DMB 지도서비스 구성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p Service Structure for the T-DMB (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Using Data Carousel)

  • 김정옥;가칠오;유기윤;김용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1호
    • /
    • pp.15-23
    • /
    • 2007
  • 최근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의 지상파 DMB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DMB 서비스는 국제적으로도 도입 초기단계에 있는 신규서비스이지만 이동 중 수신이 가능한 것을 제외하면 기존의 방송과 비교우위에 있는 장점이 없어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와 서비스의 개발이 시급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DMB를 이용한 위치 및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를 착안하고 이를 위한 기본 작업으로 DMB에 적합한 지도서비스 및 지도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비스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성을 제안하였다. 이 같은 제안이 구현된다면 DMB의 우수한 이동성과 저렴한 방송 매체를 사용하는 장점으로 기존 방송서비스와 차별화된 핵심 컨텐츠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Advanced T-DMB 기술

  • 이광순;임종수;이수인
    • 정보와 통신
    • /
    • 제25권4호
    • /
    • pp.56-61
    • /
    • 2008
  • 본고에서는 동일 주파수 대역폭에서 T-DMB(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가용 채널용량을 확장하기 위해 개발중인 Advanced T-DMB(AT-DMB)의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AT-DMB는 계층변조, MPEG-4 SVD(scalable video coding) 및 MPEG surround 오디오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 T-DMB와의 역호환성을 보장하면서 다채널 혹은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AT-DMB 기술 개발이 완료되어 상용서비스가 실시될 경우, 증대된 서비스 채널을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모바일(mobile) 방송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이며, 나아가 T-DMB 해외 시장 확산에도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