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 Makeup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Interactive Pixel-unit AR Lip Makeup System Using RGB Camera

  • Nam, Hyeongil;Lee, Jeongeun;Park, Jong-Il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1042-1051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R (Augmented Reality) lip makeup using bare hands interactively using an RGB camera. Unlike previous interactive makeup studies, this interactive lip makeup system is based on an RGB camera. Also, the system controls the makeup area in pixels, not in polygon-units. For pixel-unit controlling, the system also proposed a 'Rendering Map' that can stor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touched hand relative to the lip landmarks. With the map, the part to be changed in color can be specified in the current frame. And the lip color of the corresponding area is adjusted, even if the movement of the face changes in the next frame. Through user experiments, we compa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our makeup method with the conventional polygon-unit method.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enhances the quality of makeup with a little sacrifice of computational complexity. It is confirmed that natural makeup similar to the actual lip makeup is possible by dividing the lip area into more detailed areas. Furthermore, the method can be applied to make the face makeup of other areas more realistic.

가상 뷰티 메이크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연구 (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Virtual Beauty Makeup Applications)

  • 우지혜;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459-464
    • /
    • 2020
  • 본 연구는 발색이나 제형에 대한 테스트가 중요한 뷰티 산업에서 가상 메이크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한 연구이다. 최근 AR과 AI를 활용한 뷰티 스마트 스토어와 뷰티 애플리케이션의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가상 메이크업은 실제 제품을 테스트하는 것과 차이가 있어서 사용자 측면의 연구를 통한 니즈 도출이 필요하다. AR 활용한 사례와 AI 활용한 사례를 분류하여 사용자 선호도 비교를 위해 감성 인터페이스 모델을 기반으로 6가지 요인의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를 보이는 항목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는 가상 메이크업 기능을 편하게 느꼈으나 신뢰성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사용자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두 유형의 비교를 통해 가상 메이크업의 주요 경험 요인과 니즈를 파악하였다는 데 의미를 둔다. 이를 바탕으로 가상 메이크업의 선행 연구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결혼유무에 따른 증강현실(AR) 메이크업 체험이 여성 소비자 행동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n Female Consumer Behavior and Purchase Intention : The experience of AR makeup based on marital status)

  • 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49-57
    • /
    • 2020
  • 시간이 지남에 따라 뷰티산업은 성숙한 산업으로 접어들게 되면서 변화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게 되었다. 현실적으로 뷰티산업 중에 가상체험 마케팅(Virtual ExperimentalMarketing)을 위한 AR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다.미국의 FACEBOOK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도 AR에 투자를 많이 하고 있다. 현재 증강현실을 활용한 모바일 앱은 소비자들에게 많이 소개된 유형이므로 AR앱을 체험 마케팅의 트렌드를 쫓고 있다. 따라서 증강현실 기법을 사용하는데 모바일 AR앱을 통한 체험콘텐츠에 있어서 미혼과 기혼 여성을 중심으로 증강현실을 접목한 메이크업 체험이 여성 소비자들의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소비자가 느끼는 체험의 만족도를 매개로 구매의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신기술인 증강현실 마케팅이 활발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총체적인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메이크업이 접목된 증강현실의 개발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Augmented Reality (AR)-Based Smartphone Application as Student Learning Media for Javanese Wedding Make Up in Central Java

  • Ihsani, A.N.N.;Sukardi, Sukardi;Soenarto, Soenarto;Krisnawati, M.;Agustin, E.W.;Pribadi, F.S.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9권4호
    • /
    • pp.248-25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n application as a learning medium that can be used by students to prepare Solo bridal paes. This application can be used by make-up beginners who are learning about Solo bridal paes.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method with a randomized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The paes application can be used as a medium in Solo bridal makeup learning, because it is highly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prepare Solo bridal paes. This application is also considerably practical because it can be installed on smartphones.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a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classes.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class could prepare paes neatly, and their shapes were proportional to the face of the model.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as a medium to teach Solo bridal makeup, especially for making paes, is an innovation in the world of education. This application can help students make paes.

메타버스를 이용한 뷰티 브랜드 경험 사례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Beauty Brand Experience Case Using Metaverse)

  • 김나영;김규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85-190
    • /
    • 2022
  • COVID-19 이후 산업 전반에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언택트 서비스로 메타버스가 주목받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 뷰티 브랜드를 대상으로 메타버스를 이용한 브랜드 경험 마케팅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 그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마케팅, 뷰티 브랜드 마케팅 관련 선행 연구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 SK-II와 크리스찬 디올은 VR기술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에게 브랜드 제품과 관련된 콘텐츠와 경험을 제공하고, 로레알, 세포라, 라네즈는 AR기술을 사용하여 가상 메이크업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등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체험 마케팅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체험마케팅은 고객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소비트렌드에서 중요한 Z세대를 겨냥하기 위해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가 뷰티 브랜드의 메타버스 및 체험 마케팅에 있어 관련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뷰티 분야에서도 메타버스 마케팅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호남 산간지역 정주생활권 마을숲의 비교 - 전북 진안군과 경남 함양군 지역을 사례로 - (Comparison of the Village Grov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Mountainous Settlement Region - Centered on Jinan and Hamyang Region -)

  • 박재철;정경숙;김영숙;장혜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17
    • /
    • 2002
  • This paper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llage groves in the Jinan settlement region and the Hamyang settlment region in Honam and the Youngnam mountainous reg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fty-one village groves in the Jinan legion were found and 40 village groves were found in the Hamyang region. It was established that the village groves in the Jinan region of Honam province were conserved better than those of Hamyang region of Youngnam province. In the Jinan area, the village groves were principally found in the Jinan-eup and the Hamyang regions, primarily in Seosang-myun and Aneui-myun. So it was determined that the village groves were distributed inequitably in the two regions. In L / W ratio, the Jinan region is 3.6 and Hamyang region is 2.0 Jinan is 1.8 times greater than Hamyang.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Jinan is stronger than Hamyang in linear function of the village groves. Stone stooge for complementation function was found in 11 village groves in the Jinan region and 6 village groves in Hamyang. So the percentage of the remaining stone storage is 15-20 % of all village groves. Regarding grove makeup, the village gloves in Jinan region is deciduous forest principally. In contrast, the groves of Hamyang are principally coniferous forest. The dominant tree of the Jinan-gun region is Zelkova serrata, but in Hamyang it is Pinus densiflrora. By number, Hamyang region has two times the trees than Jinan region. In density of stand, the Hamyang region is 76.2% higher than Jinan region. In height and diameter of trees, the Jinan region is greater than the Hamyang region. It was identified that RSI of both region is 40%. So in density of trees, both region are sparse. This paper has a limit in ideiltiting the differences between Yolmg-nam ar\ulcorner Hnam village groves because comparative review only examined two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