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 모델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31초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터널시공에서 현장 적용성 (Site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Tunnel Construction)

  • 송주현;채휘영;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8호
    • /
    • pp.25-33
    • /
    • 2012
  • 터널 설계 시 해당지반에 관한 정보를 정확히 반영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하지만 다양한 지형 및 지질조건을 모두 고려한 지반조사 및 시험 등은 경제적, 기술적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실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한정된 정보에 의하여 해석 및 설계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심지 및 산악지역 터널공사 시, 보다 정확한 안정성 검토 및 거동 예측을 수행하여 선정 결과에 대한 현장 적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인공신경망 이론의 적용을 통하여 기존 거동예측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먼저, 현장 데이터를 확보하여 인공신경망 중 다층퍼셉트론을 연구에 적합한 구조로 구축하고, 역전파 알고리즘으로 학습시켜 적용하였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현장적용성의 학습을 위한 자료는 터널의 지보패턴, RMR, Q, 암종, 굴진장, 굴착형태, 굴착경과일 등 터널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를 고려하여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고 선별된 계측자료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하였다. 학습이 완료된 인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터널시공현장의 굴착경과일에 따른 천단변위, 내공변위, 지중변위, 록볼트축력을 예측하고 현장 계측치와 비교분석을 통하여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터널 시공 시 현장적용성을 확인하였다.

LSTM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자동차 A/S센터 수리 부품 수요 예측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Demand Prediction Model for Repair Parts of Automotive After-sales Service Center Using LSTM Artificial Neural Network)

  • 정동균;박영식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1권3호
    • /
    • pp.197-220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ies the demand pattern categorization of repair parts of Automotive After-sales Service(A/S) and proposes a demand prediction model for Auto repair parts using Long Short-Term Memory (LSTM)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The optimal parts inventory quantity prediction model is implemented by applying daily, weekly, and monthly the parts demand data to the LSTM model for the Lumpy demand which is irregularly in a specific period among repair parts of the Automotive A/S service.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classified the four demand pattern categorization with 2 years demand time-series data of repair parts according to the Average demand interval(ADI)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CV2) of demand size. Of the 16,295 parts in the A/S service shop studied, 96.5% had a Lumpy demand pattern that large quantities occurred at a specific period. lumpy demand pattern's repair parts in the last three years is predicted by applying them to the LSTM for daily, weekly, and monthly time-series data. as the model prediction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MAPE, RMSE, and RMSLE that can measure the error between the predicted value and the actual value were used. Findings As a result of this study, Daily time-series data were excellently predicted as indicators with the lowest MAPE, RMSE, and RMSLE values, followed by Weekly and Monthly time-series data. This is due to the decrease in training data for Weekly and Monthly. even if the demand period is extended to get the training data, the prediction performance is still low due to the discontinuation of current vehicle models and the use of alternative parts that they are contributed to no more demand. Therefore, sufficient training data is important, but the selection of the prediction demand period is also a critical factor.

머신러닝 기법의 산림 총일차생산성 예측 모델 비교 (Predicting Forest Gross Primary Production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 이보라;장근창;김은숙;강민석;천정화;임종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9-41
    • /
    • 2019
  • 산림생태계에서 총일차생산성(Gross Primary Production, GPP)은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의 생산성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계절, 건강성, 탄소 순환 등을 대표하는 지표이다. 총일차생산성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에디공분산 타워 자료나 위성영상관측자료를 이용하기도 하고 물리지형적 한계나 기후변화 등을 고려하기 위해 기작기반모델링을 활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총일차생산성을 포함한 산림 탄소 순환의 기작기반 모델링은 식물의 생물, 생리, 화학적 기작들의 반응과 지형, 기후 및 시간 등과 같은 환경 조건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비선형적이고 유연성이 떨어져 반응에 영향을 주는 조건들을 모두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 생산성 추정 모델을 에디공분산 자료와 인공위성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한 모델들로 구축해 보고 그 사용 및 확장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설명변수들로는 에디공분산자료와 인공위성자료에서 나온 대기기상인자들을 사용하였고 검증자료로 에디공분산 타워에서 관측된 총일차생산성을 사용하였다. 산림생산성 추정 모델은 1) 에디공분산 관측 기온($T_{air}$), 태양복사($R_d$), 상대습도(RH), 강수(PPT), 증발산(ET) 자료, 2) MODIS 관측 기온(T), 일사량($R_{sd}$), VPD 자료(개량식생지수 제외), 3) MODIS 관측 기온(T), 일사량($R_{sd}$), VPD, 개량식생지수(EVI) 자료를 사용하는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구축하여 2006 - 2013년 자료로 훈련시키고 2014, 2015년 자료로 검증하였다.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support vector machine (SVM), random forest (RF),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를 사용하였고 단순 비교를 위해 고전적 방법인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LM)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에디공분산 입력자료로 훈련시킨 모델의 예측력은 피어슨 상관계수 0.89 - 0.92 (MSE = 1.24 - 1.62), MODIS 입력자료로 훈련시킨 모델의 예측력은 개량식생지수 제외된 모델은 0.82 - 0.86 (MSE = 1.99 - 2.45), 개량식생지수가 포함된 모델은 0.92 - 0.93(MSE = 1.00 - 1.24)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림총일차생산성 추정 모델 구축에 있어 MODIS인공위성 영상 정보 기반으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높은 활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마이크로/나노 채널에서의 비평형 전기삼투 유동 모사를 위한 수치모델 (A Numerical Model for Non-Equilibrium Electroosmotic Flow in Micro- and Nanochannels)

  • 곽호상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4년도 추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161-164
    • /
    • 2004
  • A finite volume numerical model is developed for simulating non-equilibrium electroosmotic flow in micro- and nanochannels. The Guoy-Chapman model is adopted to compute the flow and electric potential. The Nernst-Planck equation is employed to trace unsteady transports of ionic species, i.e., time-dependent net charge density. A new set of boundary conditions based on surface charge density are designed rather than using the conventionally-employed zeta potential. A few issues for an efficient computation of electroosmotic flows are discussed. Representative computational examples are given to illustrate the robustness of the numerical model.

  • PDF

교육훈련생의 숙련 등급을 고려하는 콘텐츠 추천 시스템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considering skill level of trainees)

  • 황상호;손창식;진상현;강원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09-611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교육 훈련생의 교육 상태에 맞는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교육 콘텐츠 추천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의 텍스트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등급별로 분류하는 콘텐츠 분류 기능부분과 교육 훈련생의 등급 및 교관 등에 의해 설정되는 필터링 정보를 활용하여 교육 훈련생에 맞는 콘텐츠 추천리스트를 생성하는 콘텐츠 추천 기능으로 구성되어있다. 실험에서는 콘텐츠 분류기능에 대한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고, ANN 평가모델로 평균 65%의 정확도를 보였다.

머신러닝을 통한 건축 도시 데이터 분석의 기초적 연구 - 딥러닝을 이용한 유동인구 모델 구축 - (Machine Learning Based Architecture and Urban Data Analysis - Construction of Floating Population Model Using Deep Learning -)

  • 신동윤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22-31
    • /
    • 2019
  • In this paper, we construct a prototype model for city data prediction by using time series data of floating population, and use machine learning to analyze urban data of complex structure. A correlation prediction model was constructed using three of the 10 data (total flow population, male flow population, and Monday flow population), an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data. The results of the accuracy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edicted model of the floating population predic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ed floating popula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commerc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efficient and objective design in the planning stages of architecture, landscape, and urban areas such as tree environment design and layout of trails.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dynamic population prediction using multivariate time series data and collected location data will be able to perform integrated simulation with time series data of various fields.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계학습 앙상블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Ensemble Mode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이근원;원윤정;송영범;조기섭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211-217
    • /
    • 2021
  • To predict mechanical properties of secondary hardening martensitic steels, a machine learning ensemble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architecture, some kinds of methods was considered to optimize the model. In particular, interaction features, which can reflect interactions between chemical compositions and processing conditions of real alloy system, was considered by means of feature engineering, and then K-Fold cross validation coupled with bagging ensemble were investigated to reduce R2_score and a factor indicating average learning errors owing to biased experimental database.

문화유산 3차원(3D) 디지털 기록의 보존방향 (Preservation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Three-Dimensional (3D) Digital Records)

  • 안아영
    • 한국기록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록관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3-47
    • /
    • 2019
  • 문화유산 분야에서 일찍이 문화유산을 보존 복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3차원(3D)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문화유산의 원형을 기록하여 왔다. 하지만 문화유산 3차원(3D) 디지털 기록은 점군 데이터 취득부터 3차원(3D) 모델 제작까지 복잡한 단계를 거쳐 생산되는 대용량의 디지털 기록으로, 장기 보존 문제를 피할 수 없다. 국제적으로 관련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국내외 선행연구와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문화유산 3차원(3D) 디지털 기록의 보존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기상환경데이터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미세먼지농도 예측 모델 (An Estimation Model of Fine Dust Concentration Using Meteorological Environment Data and Machine Learning)

  • 임준묵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3-186
    • /
    • 2019
  • Recently, as the amount of fine dust has risen rapidly, our interest is increasing day by day.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remove fine dust. However, it is best to predic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minimize exposure to i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athematical model that can predic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us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weather and air quality, which is provided in real time in 'Air Korea (http://www.airkorea.or.kr/)' and 'Weather Data Open Portal (https://data.kma.go.kr/).' In the mathematical model, various domestic seasonal variables and atmospheric state variables are extrac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arameters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re extracted, and using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SVM (Support Vector Machine), which ar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e proposed a prediction model. The proposed model can verify its effectiveness by using past dust and weather big data.

음성발생 모델로부터의 G-peak를 이용한 음성에너지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ergy Extraction Using G-peak from the Speech Production Model)

  • 배명진;임재열;안수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381-386
    • /
    • 1987
  • By the speech production model, the first positive peak in a pitch interval of the voiced speech is mainly affected by the glottis and the first formant component, known as a typical energy source of the voiced speech. From these characteristics, the energy parameter can be replaced by the area of the area of the positve peak in a pitch interval, which parameter is generally used for classification of speech signals. In this method, the changed energy parameter is independent of window length applied for analysis, and the pitch can be extracted smultaneously. Furthermore, the energy can be extracted in the pitch period un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