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PHIBIA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47초

섬강수계 부착규조의 유입능 특성: 자연기질과 인공기질의 비교 (Relative Immigration Activity of Epilithic Diatom in Sum River : Comparison of Natural and Artificial Substrate)

  • 윤성애;김난영;변명섭;김백호;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2권1호
    • /
    • pp.124-133
    • /
    • 2009
  • 남한강 상류인 섬강수계의 부착규조 군집 및 출현종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천방향으로 수계 내 7개 지점을 선정하고, 자연기질과 인공기질에서 부착규조의 유입능(RIA) 및 기초환경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부착 규조 군집 종은 모든 기질에서 N. amphibia, Nav. subminuscula, C. minuta 등이 우점하였고, N. amphibia, C. minuta는 전 지점에 고르게 분포하였다. 조사기간 중 가장 높은 유입능을 보인 종은 Nav. subminuscula, C. silicula로 RIA 15 이상이었다. 모든 조사지점에서 높은 유입능을 보인 종은 복배선 형태를 보였으며, 각 기질에서 55% 이상의 높은 밀도를 나타냈다. 비교적 높은 유입능을 보인 N. fonticola, G. quadripunctatum은 각각 주변수의 영양염(p<0.05)과 20일 동안 배양한 인공기질에(p<0.05)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섬강수계의 부착규조 유입능은 조류밀도와 영양염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인공기질의 배양기간은 20일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춘남굴과 노동굴의 생물분포 밀도와 이의 보전책

  • 임기영
    • 동굴
    • /
    • 제5권6호
    • /
    • pp.20-22
    • /
    • 1980
  • 동굴 속이라는 특수환경 속에 사는 동물을 우리는 동물생물(Gavernicole)이라 부르며, 이 동굴생물은 i)외래성(trogloxene) : 개구리(Amphibia) 따위의 양서류와 파리(Piptera) 등. ii) 호동굴성(troglophile) : 푸라나니아(Tricladia), 거미류(Araneido) 박쥐(Chirptera) 등. iii) 진동굴성(troglobiont): 새우류(Amphipoda), 톡톡이(Collembala), 좀류(Thysanura), 노래기(Aiplopada) 등. 3가지로 분류하고 있다.(중략)

  • PDF

모악산 도립공원의 양서류 다양성 및 서식환경 분석 (The Analysis of Amphibia Biodiversity and Habitat in the Moak Provincial Park)

  • 정규회;심재한;송재영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278-281
    • /
    • 2001
  • 모악산 도립공원의 양서 ${\cdot}$ 파충류에 대한 생태측정 및 서식환경 분석을 하였다. 이 중 서식환경은 활엽수림, 침엽수림, 식재림, 그리고 기타지역(웅덩이, 호수, 논, 하천 및 강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양서류는 총 1목 4과 8종이 관찰 및 채집되었다. 양서류의 생물다양성 지수 조사는 종 풍부도가 1.270, 다양도는 1.77, 그리고 균등도가 0.853으로 나타났으며 서식환경을 살펴보면, 활엽수에서 42.1.%rk 관찰되었으며, 침엽수에서 11.3% 식재림에서 1.6%, 그리고 기타지역에서 45.0%가 관찰되었다.

  • PDF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지역의 양서.파충류상 (Herpetofauna of Kojedo in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1-388
    • /
    • 1999
  • 1998년 5월 3일부터 11월 8일까지 한려해상국립공원 중 거제도 일대에서 양서류 및 파충류상을 조사한 결과 양서류는 총 2목 5과 9종, 파충류는 1목 3과 9종이 관찰되어 덕유산 주왕산 설악산 국립공원 등, 타 국립공원의 생물상보다 상대적으로 풍부한 결과로 나타났다. 특정야생동물로 도롱뇽, 두꺼비, 산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 무자치, 능구렁이, 실뱀, 살모사와 까치살모사 등 9종의 양서류 및 파충류를 관찰 및 탐문으로 조사할 수 있었다. 또한 외래종인 황소개구리가 1개 지역에 집중 분포하였는데 국립공원구역에 더 이상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되었다.

  • PDF

도롱뇽(Hynobius leechii) 정충의 미세구조(Amphibia, Urodela) (Ultrastructure of Spermatozoa in Urodeles, Hynobius leechii (Amphibia: Urodela))

  • 김구환;박원학;이영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1호
    • /
    • pp.111-121
    • /
    • 1995
  • The ultrastructure of spermatozoa in Hynobius leechii was examined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urodeles and anurans. The perforatorium and the tail show most of the common feature of urodeles. However, there were several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an acrosome, nucleus, neck, axial rod and mitochondria related to the nucleus. The acrosome was trifoliate in transverse sections and the perforatorium consisted of two different concentric parts with a fine sharp point in a subacrosomal lumen. The nucleus consisted of two different regions of chromatin area and nuclear ridge. The nuclear ridge was composed of several bundles of five to ten minute tubular subunits of 19 nm diameter in this species, while in higher urodeles it was well developed in multi layers. The protoplasmic bead was separated by a cytoplasmic canal except the connection with only the distal portion of the nucleus. The neck was a short cylinder and contained pericentriolar material with transverse striations. In Hynobius the ring was not elongated to the tail and the mitochondria were distributed only in the protoplasmic bead around the nucleus as in Cryptobranchus, while in higher groups of urodeles it elongates to the length of the middle piece and the mitochondria follow the ring. The ring elongation may be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mitochondria. Hynobiidae and Cryptobranchidae are closely related based on structure of neck, the axial rod and location of mitochondria, although they are different in the composition of the axial rod.

  • PDF

Genetic Diversity and Speciation of Rana rugosa (Amphibia; Ranidae)

  • Yang, Suh-Yung;Min, Mi-Sook;Kim, Jong-Bum;Suh, Jae-Hwa;Kang, Young-Ji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1호
    • /
    • pp.23-30
    • /
    • 2000
  • Horizontal starch gel electrophoresis for 29 populations (n=543) of the wrinkled frog, Rana rugosa, from Korea and Japan was peformed to assess the degree of genic variation and genetic diversity, and to understand the biogeographic pattern of distribution and speciation. A sum of 22 presumptive loci was screened from 17 enzymes and general proteins. Four loci, Aco, Est-3, Me-2, and Pgm, demonstrated high levels of polymorphism. The degree of average genetic variation of R. rugosa was P=22.7% (9.1-40.9%), Ho=0.086 (0.048-0.165) and He=0.090 (0.042-0.168).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Chongsong, Yongchon, Ulsan, Kyongju, Pohang, yongdok and Ulchin), a few unique alleles in the Mpi locus were detected and their biogeographic implications were considered. The degree of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the Korean populations was moderate (S=0.900), whereas the degree of genetic diversit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opulations was notably high (S=0.687, D=0.293). This result corresponds with the data obtained by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 (Lee et al., 1999) suggesting that the Korean and Japanese R. rugosa might have evolved a specific level of genetic differentiation since their geographic isolation.

  • PDF

수생관속식물의 라디칼 소거능과 남세균 생장에 대한 억제활성 비교 (A Comparis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yanobacteria Growth Inhibition of Aquatic Vascular Plants)

  • 권성호;나혜련;정종덕;백남인;박상규;최홍근
    • 생태와환경
    • /
    • 제45권1호
    • /
    • pp.11-20
    • /
    • 2012
  • 수생식물이 가지고 있는 타감물질과 타감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남세균($Microcystis$ $aeruginosa$)에 대한 생장억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물여뀌($P.$ $amphibia$)와 마름($Trapajaponica$), 이삭물수세미($Myriophyllum$ $spicatum$), 순채($Brasenia$ $schreberi$)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순채, 마름, 물여뀌, 이삭물수세미 등은 남세균에 대한 높은 생장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반면 순채를 제외한 다른 수생식물의 추출물은 대장균의 생장에 대한 억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수생식물 추출물에 대한 타감작용에 대한 상관 분석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측정된 항 산화 활성과 남세균 생장억제 활성간에는 양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생식물 추출물의 대장균에 대한 생장억제는 다른 활성 결과와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면 수생식물체의 남세균에 대한 타감작용은 DPPH에 의한 항산화성 검정을 이용하는 간편하고 신속한 검사로 대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친환경 정비 배수로의 생태변화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logical Change of Naturally Favorable Consolidated Drainage Channel)

  • 김선주;고재선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09-112
    • /
    • 2002
  • A naturally favorable consolidated Drainage canal which had been completed in August 2000 was observed over two years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fauna and flora, alternation of fauna. Research data for understanding ecological change were vegetation, water quality, fishes and amphibia. Through these researched data, biotope data would be established basically. Creation of Biotope which is related to naturally favorable consolidted ecological change of canal was considered on this study.

  • PDF

수종척추동물의 LDH isozyme에 대한 비교생화학적 연구 (Comparison of LDH isozymes in several vertebrates)

  • 임중기
    • 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4-46
    • /
    • 1972
  •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s in heart, kidney, liver and skeletal muscle of 15 species of vertebrate animals belonging to 5 classes were separated by cellulose acetate electrophoresis and the levels of them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pattern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mong animal species and among tissues. The activity of LDH$_{5}$ was superior in anaerobic tissues such as liver and skeletal muscle, and the activity of LDH$_{1}$ was superior in aerobic tissues such as heart and kidney. The level of LDH of vertebrate animals of the 5 classes has found approximatry increasing in the following order: Pisces>Amphibia>Reptel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