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PHIBIA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초

Inhibition Effects of Persicaria amphibia (L.) Delarbre on Oxidative DNA Damage via ATM/Chk2/p53 pathway

  • So-Yeon Han;Hye-Jeong Park;Jeong-Yong Park;Seo-Hyun Yun;Mi-Ji Noh;Soo-Yeon Kim;Tae-Won Jang;Jae-Ho Par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2-52
    • /
    • 2021
  • Persicaria amphibia as an England native plant, is a rhizomatous perennial, one of the rather amphibious plants. Its aquatic form contains water-soluble sugars, starch, and protein. P. amphibia have up to 18% tannins in stems and rhizomes.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live bacteria roots, but no studies on bioactivity are known. DNA damage responses (DDRs) pathways are considered a crucial factor affecting the alleviation of cellular damage. The ataxia-telangiectasia mutated and Rad3 related (ATM) and checkpoint kinase 2 (Chk2) pathways are the main pathways of DNA damage response. Also, p53 is a key integrator of cellular response to oxidative DNA damage, contributing repair, or leading transcription including apoptosis. In the present study, we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the inhibitory effects of P. amphibia on oxidative DNA damage for confirming potential to complementary medicine and therapies. In conclusion, P. amphibia can provide protective effects against double-stranded DNA break (DSB) caused by oxidative DNA damage.

  • PDF

덕유산 국립공원의 양서류상 -대형 건설 공사가 양서류 서식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Amphibia Fauna in Tokyusan National Park -Effects of Amphibia Habitat by Large Construction Works-)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07-212
    • /
    • 1994
  • 덕유산 국립 공원의 양서류강을 1993년 4월 10일, 1993년 8월 8일부터 9일 두차례에 걸쳐 무주 리조트 골프장건설 지역과 지봉 지역에서 조사하였다. 골프장 건설 지역에서는 도롱뇽, 무당개구리, 두꺼비, 참개구리 및 북방산개구리가 관찰되었고 지봉에서는 꼬리치 레도롱뇽과 북방산개구리가 관찰되어 덕유산 국립 공원 지역에서 발견된 양서류는 환경처가 지정한 특정야생동물 꼬리치레도롱뇽, 도롱뇽, 및 두꺼비 3종을 포함하여 총 2목 4과 5속 6종이었다. 비교적 많은 9개체의 꼬리치레도롱뇽이 관찰된 지봉은 해발고도가 높고 수온이 낮으며 자연환경의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인적이 드물어 꼬리치레도롱뇽 서식에 적합한 지역으로 사료되어 그 보호가 요망된다. 다수의 도롱뇽 유생과 2개체의 두꺼비를 포함하여 5종의 양서류가 관찰된 골프장 건설 지역은 공사가 진행됨에 따른 종과 개체수의 격감현상을 볼 수 있었다. 국립공원과 같은 자연환경 지역에서의 대형공사는 생물종 다양성 보존에 크게 역행하는 것으로 자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관광휴양지 개발이 양서.파충류 분포에 미치는 영향 - 민주지산 일대의 양서ㆍ파충류를 중심으로 - (Amphibia and Reptilia Fauna by Sport and Leisure Complex - Amphibia and Reptilia Fauna in Minjujisan Area, Korea -)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8-73
    • /
    • 1994
  • 최근 일부 계층의 오락을 위한 자연환경 파괴 행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충청북도와 충청북도 영동군은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소재의 물한계곡의 자연생태계 6,000,000평방미터에 스키장, 골프장, 콘도미니엄 등의 대규모 휴양시설을 건설하려는 주식회사 동신레져의 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이 지역 생물종의 심각한 감소가 우려된다. 본 연구는 대규모 위락시설 개발로 결과될 동물생태계 황폐화를 예견하고 그에 따른 경각심을 촉구하고자 현재까지 잘 보존된 민주지산 물한계곡 일대 의 양서ㆍ파충류상을 선행 조사하여 수행하였다. 1994년 6월 24일에서 6월 25일에 걸쳐 민주지산 물한계곡에서 관찰된 양서류는 2목 5과 8종, 파충류는 1목 2과 5종으로 한국 대부분의 국립공원과 유사한 정도로 다양한 양서 파충류상을 나타내었다. 관찰된 8종의 양서류 중4종(도롱뇽, 꼬리치레도롱뇽, 두꺼비, 북방산개구리), 파충류 5종 중 3종(무자치, 능구렁이, 까치살모사)이 특정 야생동물로, 보호대상종의 빈도가 높아 민주지산의 보존가치는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민주지산 일대는 덕유산국립 공원 지역과 함께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연결하는 생물지리 항상 그 중요성이 매우 높은 곳이다. 덕유산국립공원 구역의 무주리조트, 스키장 건설 등으로 이미 자연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되는 이때 민주지산의 대규모 위락시설의 건설 계획은 마땅히 철회되어야 한다. 민주지산의 자연생태계 보존으로 양서 파충류의 보존과 함께 동식물의 이동로를 보존해야 할 것이다.

  • PDF

택지개발지구내 양서류 서식처로서 묵논습지의 특성과 기능평가 (Assessment of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as Habitats for the Amphibia within Land Development Districts)

  • 이은엽;문석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5-42
    • /
    • 2011
  • The current study analyzed appropriateness of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as habitats for the Amphibia by assessing functions and value of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within land development districts as a habitat for living creatures and researching into the Amphibia living in the subject distric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designated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within Hwaseong A District and Pangyo B District under land development as subject lands. Those wetlands went through succession after abandonment of farming. Detail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rom classification of wetland types and an analysis of their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herbaceous plants such as smartweed communities, horsetail communities and reed communities, and woody plants such as pussy willow communities appeared in both districts. These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shows typical characteristics of palustrine wetlands. As a result of a vegetation structure research, it was observed that succession has been progressed for at least over 2~3 years. In assessment of wetland functions by item, it was found that they are developing into fine wetlands in terms of functions because they are ranked over Moderate Class except separate distance from streams. Also from a research into animals living in the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it was found that main inhabitants are Rana nigromaculata,Rana dybowskii, Hyla japonica, Bufo bufo gargarizans, etc.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are providing appropriate conditions as habitats to the Amphibia in a view that those species have life cycles of inhabitation (shores and wetlands) - egg-laying (rice paddy, puddles and swampy places) - hibernation (rice field banks and swampy places). From this point of view, it was found that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that developed because of abandonment of farming can be used as means to improve structure and functions of habitats.

지리산과 무등산에 서식하는 한국산 양서류의 피부에 관한 연구 (A Histological Study of Skin on Some Amphibia Inhabitated Chiri Mt. and Moodeung Mt.)

  • 이승휘;권은호;신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5-209
    • /
    • 2004
  • 본 연구는 양서류 피부에 관한 조직학적 자료 축적의 일환으로 수행하였다. 대상생물은 서식처 및 생태적 특성이 서로 다른 무미 양서류인 참개구리, 옴개구리, 그리고 황소개구리와 유미 양서류인 도롱뇽으로서 이들의 서식처는 지리산과 무등산의 계곡으로부터 농업용 수로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하천 중류 및 하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양서류의 조직은 선상구조물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배측과 복측에서 선택하였다. 일반적인 조직분석 결과 상피와 진피조직 내에서는 과립선, 점액선, 장액선, 공포, 그리고 외분비관까지 확인되었다. 또한 분화중인 외분비선과 잘 분화된 외분비선 그리고 분화 이후의 외분비선까지 역시 확인되었다. 한편 도롱뇽은 단순한 점액분비세포까지 보이는 상태였다. 이 선들은 각각 처해 있는 생태적 상황에 적합하게 적응할 수 있는 구조물을 피부에 갖추고 있는 것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한국산 양서류의 피부조직에 관한 가치 있는 자료로서 양서류의 비교해부학과 비교생리학뿐 아니라 생태학 연구와 병행할 때 더욱 가치 있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고속도로 건설과 생태통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High-ways and Ecological corridors)

  • 이관영;정종대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73-78
    • /
    • 2006
  • Constructing a long, linear structure such as a high-way may cause the break-up of the natural ecology by cutting off the trails of animals. We could observe 12 kinds of mammals, 49 kinds of birds and 10 kinds of amphibia and reptilia at the research area. With this research, we were so sure of the necessity of building ecological corridors to prevent the ecological break-up of wild animals that we studied the building and maintaining of 3 types of ecological corridors; tunnel types, over-bridge type and line type.

  • PDF

주왕산국립공원의 양서.파충류상 (Amphibian and Reptilia Fauna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7-182
    • /
    • 1995
  • 1994년 4월 28일부터 1994년 4월 30일, 1994년 8월 4일부터 1994년 8월 5일 두 차례에 걸쳐 경상북도 청송군, 경상북도 영덕군에 걸쳐있는 주왕산국립공원의 양서 파충류상을 조사한 결과 양서류는 총 5과 5속 7종, 파충류는 3과 6속 7종이 관찰되었다. 양서류의 우점종은 북방산개구리였으며 유혈목이가 파충류의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주왕산국립공원의 개발 이후에 변화될 양서.파충류상을 조사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PDF

척추동물 뇌조직의 Energy 대사에 관한 계통학적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nergy Metabolism of Brains of Several Vertebtrates with Respect to Their Phyogeny)

  • 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5-36
    • /
    • 1964
  •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comparative study on phylogenic difference in the patterns of energy metabolism of brain slices of several vertebrate species by measuring oxygen consumptionwith glucose-6-phosphate, glucose-1-phosphate, glyceraldehyde-3-phosphate or glutamate as respiratory substrate employing Warburg's manometric method, by determination of the utilization rate of glucose using glucose-1-C14 by analyzing patterns of free amino acid distribution , and by histochemical determination using glucose-1-C14 by analyzing patterns of free amino acid distribution acid distribution , and by histochemical determination of glycogen contents. 1. Glucose enhances the oxygen consumption of brain slices of animals belinging to reptile, aves and mammalia while it shows a tendency to decrease that of animals belonging to pisces and amphibia. 2. Glucose-6--phosphate increase oxygen consumption more than glucose in every species examined, while glucose-1-phosphate and glyceraldehyde-3-phosphate increase that of Rana nigromaculata only . In general m, it appears that phosphosugars are more effective as a respiratory substrate to those species which have less endogenous respiration than to those having larger endogenous respiration. 3. Similar patterns of free amino acid distribution and the relative amount are found among the species and in every species examined glutamic acid is detected in the larges amount . ${\gamma}$-Amino butyric acid, glycine, alanine and aspartic acid are found in every species. 4. Ophicephalus showed less oxygen consumption than endogenous respiration when glutamate was added to the medium. When sodium fluoride was added, the oxygen consumption was some what increased . Such phenomenon wasnot found in the frog. 5. The result of histochemcial analysis of the brain showed that glycogen was abundantly present in the fish , amphibia , and especially in the reptile and that no distinctive grains of glycogen were found in the bird and mammal . From these facts, it may be supposed that anaerobic glycolysis as energy source dominates in fish and amphibia and aerobic respiration through the oxidation of glucose dominates in bird and mamal , the reptile occupying transitional position between these two categories. The way of obtaining energy for brain activity by the oxidation of glucose supplied from the circulating blood is seemed to be first acquired by reptile and the function is completed both in aves and mamm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