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I 서비스

Search Result 70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웹 서비스 기반 eAI 프레임웍 (Web Service Based eAI Framework)

  • 이성독;한동수;서범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3)
    • /
    • pp.82-8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웹 서비스 표준 및 기술의 정비를 활용하면서 인터넷 환경에서 기업내, 외 응용 프로그램 통합 요청에 부합하는 eAI 프레임웍을 워크플로우 시스템과 연계시켜 고안하고 설계한다. 제시된 eAI 프레임웍은 eAI 플랫폼, 어댑터. 데이터 브로커, 워크플로우 시스템 등 4개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며 논문에서는 각각의 모듈이 소개된다. 고안된 eAI 프레임웍에서는 eAI 플랫폼을 구성하는 웹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매개로 방화벽을 뛰어넘으면서 다양한 프로토콜로 외부 응용 프로그램과 연동할 수 있으며 MSH(Message Service Handler)를 통하여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 들과도 손쉽게 연결될 수 있다.

  • PDF

AI 학습모델 및 AI모델 서빙 서버 개발을 통한 생활안전 예방 서비스 신고 이미지 자동분류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for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 Reporting Imag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I Learning Model and AI Model Serving Server)

  • 정영식;김용운;임정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432-438
    • /
    • 2023
  • 연구목적: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앱에서 신고되는 이미지를 AI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위험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위험신고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인터넷으로 상호연결되는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플랫폼,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앱, AI 모델 서빙 서버와 sftp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통하여 신고된 생활안전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자동분류하며, 이때 사용되는 AI모델 생성을 위한 AI 학습 알고리즘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AI 처리하여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되어, 신고자가 생활안전 관련 사항을 보다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게 되었다. 결론: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AI 이미지 자동분류 시스템은 90% 이상의 분류 정확도로 신고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자동분류하여 신고자가 간편하게 생활안전 관련 이미지를 신고할 수 있게 되었으며 향후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앱의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더욱 빠르고 정확한 AI 모델 개발 및 시스템 처리용량 향상이 필요하다.

AI 기반 장소 검색 서비스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The Impacts of AI-enabled Search Services on Local Economy)

  • 주희진;김정민;신지만;김경태;이건웅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3권3호
    • /
    • pp.77-96
    • /
    • 2021
  • 최근 인터넷과 모바일 플랫폼에서 AI 기술을 도입하여 서비스 이용자 및 제공자의 효용 가치를 증가하고자 하는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경제, 특히 외식 산업의 활성화에 있어서 AI 기술이 어떤 역할을 가져오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 최대 인터넷 포털과의 협업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 수가 가장 많은 서울시 강남구 지역의 7,035개의 지역 외식 업체들을 대상으로 상점 검색과 선택과 같은 이용자의 참여도에 미치는 AI 추천 서비스의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AI 검색 및 추천 시스템의 사용은 이전에 덜 주목을 받던 상점의 노출을 증가시키며 서비스 이용자들에 의한 전반적인 상점 선택수와 전환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지역 경제에 대한 AI 기반 정보시스템의 가치를 이론화하여 기존 연구를 확장하였다는 점과 지역 상점 및 검색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효과적인 AI 기술의 사용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Generative AI, AI 휴먼 서비스

  • 한종호
    • 방송과미디어
    • /
    • 제28권2호
    • /
    • pp.33-42
    • /
    • 2023
  • AI 분야는 기존 분석적(Analytical) AI에서 점차 자가학습을 통한 새로운 디지털 이미지, 영상, 음성, 텍스트, 코드 등을 만드는 Generative AI로 너무 빠르게 진화하고 Generative AI 영역을 두고 세계 각 기업들이 비즈니스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개발 속도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미 Generative AI는 다양한 부분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음악, 문학, 미디어 등 새로운 창작물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향후 지식경제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이다. 이런 Generative AI가 AI 휴먼 서비스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생성형 AI는 인간 관리자를 대체할 수 있는가? 자동 생성된 관리자 응답이 고객에 미치는 영향 (Can Generative AI Replace Human Managers? The Effects of Auto-generated Manager Responses on Customers)

  • 박예은;안현철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4호
    • /
    • pp.153-176
    • /
    • 2023
  • 최근 생성형 AI, 특히 ChatGPT와 같은 대화형 인공지능이 고객 서비스를 자동화하는 기술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고객 서비스 자동화에 있어 현재의 생성형 AI 기술이 기존 인간 관리자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지,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어떤 상황에서는 유리하고 다른 상황에서는 불리한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고객 서비스 활동과 관련하여 생성형 AI가 인간 관리자를 대체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음식 배달 플랫폼의 고객 온라인 리뷰에 대한 실험과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고객의 온라인 리뷰가 긍정적일 때와 부정적일 때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관점을 적용하여 가설을 도출하고 해당 가설이 지지되는지를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긍정적인 리뷰에 대해서는 생성형 AI가 인간 관리자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지만, 부정적인 리뷰에 대해서는 완벽한 대체가 어려워 인간 관리자의 개입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생성형 AI를 이용하여 고객 서비스 자동화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유의미한 실무적인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AI와 공공서비스: 포스트 코로나 시대 AI 스피커 및 비대면 스마트시티 서비스 시민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AI and Public Services: Focusing on Analytics on Citizens' Perceptions of AI Speaker and Non-Contact Smart City Services in the Era of Post-Corona)

  • 김병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3-54
    • /
    • 2021
  • Currently, citizens' expectations and concerns on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in the public sector are widening with the rapid digital transformation. Furthermore the level of global acceptance on the AI and other intelligent digital technologies is augmenting with the needs of non-face-to-face types of public services more than ever due to the unforeseen and unpredictable pandemic, COVID-19. Thus, this study intended to empirically examine what policy directions for the public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well-designed services as well as to promote the evidence-based public policies in terms of Al speaker technology as a non-contact smart city service. Based on the survey of senior citizens' perceptions on AI (AI Speaker technology), this study conducte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es to identify whether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on to the varied dependent variables such as actual use, perception, attitude, and brand royalt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showed that AI increased the positive level of citizens' perception, attitude and brand royalty on non-contact public services (smart city services) which are becoming more crucial for developing AI oriented government and providing intelligent public services effectively. In addi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understanding the changes of public service in the post-corona.

대용량 분산 Abyss 스토리지의 CDA (Connected Data Architecture) 기반 AI 서비스의 설계 및 활용 (Design and Utilization of Connected Data Architecture-based AI Service of Mass Distributed Abyss Storage)

  • 차병래;박선;서재현;김종원;신병춘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1호
    • /
    • pp.99-107
    • /
    • 2021
  • 4차 산업혁명, Industry 4.0 과 더불어 최근 ICT 분야의 메가트렌드는 빅데이터, IoT, 클라우드 컴퓨팅, 그리고 인공지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알맞은 AI 서비스들의 기술 개발과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ICT 분야의 융합에 따른 BI (Business Intelligence), IA (Intelligent Analytics, BI + AI), AIoT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 AIOPS (Artificial Intelligence for IT Operations), RPA 2.0 (Robotic Process Automation + AI) 등의 세분화된 기술 발전으로 급속한 디지털 전환 (Digital Transformation)이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상황에 따른 대용량 분산 Abyss 스토리지 기반으로 인프라 측면의 GPU, CDA (Connected Data Architecture) 프레임워크, 그리고 AI의 다양한 머신러닝 서비스들을 통합 및 고도화를 목표로 하며, AI 비즈니스의 수익 모델을 다양한 산업 영역에 활용하고자 한다.

스마트 세대의 AI기반 음성인식 서비스 구매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박해룡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45-645
    • /
    • 2017
  • 이른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즈음하여 산업 기술간 융합과 함께 IOT, AI등 첨단 하이테크 제품, 서비스의 수요가 더욱 증가되는 추세이다. 현재의 스마트세대는 1인 가구가 증가 추세이며 나 홀로족인 혼술, 혼밥 등 솔로 마케팅 연구가 많이 진행 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발맞추어 스마트세대를 대상으로 이성적, 감성적 커뮤니케이션과 구매자의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AI기반 음성인식 서비스의 구매의도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개인 라이프로그를 활용한 AI 챗봇 기반 만성질환자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Service Platform for Chronic Patients Based on AI Chatbot Using Personal Life Log)

  • 변소정;김문성;김형식;변승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09-311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만성질환자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항여 건강측정기 모바일 연계기술 개발 및 적용하고 IoT 기반 생체정보 획득 및 라이프로그 건강관리 플랫폼 API 연계 기술을 통하여 지역 만성질환자를 위한 언택트 헬스 모니터링 플랫폼 개발을 수행하였다. 해당 시스템을 통하여 지역 보건소 협력 및 가족 중심 만성질환자 입체적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 적용하고 IoT 장비 인터페이스기술, 개인 건강관리기술, 플랫폼 운영 및 구현기술, 데이터 관리기술 개발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개인 라이프로그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AI 챗봇 서비스 시스템을 통한 효율성을 극대화를 추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라이프로그를 활용한 AI 챗봇 기반 만성질환자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여 만성질환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만족도를 실증하여 서비스의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PDF

이미지 기반 AI 피부 진단 기술과 문진을 결합한 통합 피부진단 기능에 관한 고찰 (Image-Based Skin Diagnosis Using AI Technology Combine with Survey System for Review of Integrated Skin Diagnosis Function)

  • 박학권;임영환;박혁곤;황중원;이상란;조은상;림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463-468
    • /
    • 2022
  • COVID-19의 장기화는 다양한 산업의 패러다임에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주고 있다. 고객이 직접 피우에 닿고 사용하는 제품을 판매하는 산업에서는 그 현상이 날로 가중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고자 최근 Cosmetics 업계에서 다양한 언택트(비대면) 서비스들을 선보이고 있다. 기존 전통 오프라인 채널에서부터 다양한 온라인 채널 확보를 통하여 고객들의 수요와 참여를 끌어내고자 한다. 대표적으로 기존에는 온라인 문진 서비스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맞춤 제품을 추천하는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한계에 도달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정형화된 문진 서비스와 한걸음 더 나아가 AI 기술을 이용한 이미지 기반 피부진단 기능을 결합하는 새로운 방식의 피부진단 서비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사용자는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몇 가지 항목에 대한 진단을 받게 되고 최종 피부타입을 도출하기 위하여 부족한 진단 항목은 기존에 제안한 피부진단 서비스를 활용하였다. 이런 방식은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문진 서비스보다 재미 요소를 더할 뿐만 아니라 기술 트린드인 AI를 결합하여 더욱 고객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고 가시적이고 정확도가 있는 지속적인 서비스를 만들어 내고자 함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