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IPOQ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Association between ADIPOQ Gene Polymorphism rs182052 and Obesity in Korean Women

  • Doo, Mi-Ae;Kim, Yang-Ha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8권3호
    • /
    • pp.116-121
    • /
    • 2010
  • The association between adiponectin concentration and obesity have been reported and genetic variations of the ADIPOQ gene are known to influence the plasmatic concentration of adiponectin.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IPOQ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on obesity-related variables, and their modulation by dietary intakes in Korean women. The subjects consisted of 3,217 Korean women aged 40-59 years participating in the Korean Genome Epidemiology Study (KoG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variables, serum blood profiles were measured. Dietary intake was analyzed using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ubjects with the T allele of AIPOQ rs182052 showed significantly higher obesity-related variables such as weight (p=0.005), BMI (p<0.000), fat body mass (p=0.005), and waist-hip ratio (p=0.007) than those with the C allele. Moreover, the rs182052 T allele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obesity prevalence (p=0.019). However, there were not any significant interactions observed between the genotype of ADIPOQ rs182052 and dietary intake on BMI and fat body ma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obesity-related variables may be more dominantly affected by the genotype of ADIPOQ rs182052 than dietary intake in middle aged Korean women.

Differential Expression of Adipocyte-Related Molecules in the Distal Epididymal Fat of Mouse during Postnatal Period

  • Lee, Ki-Ho;Kim, Nan Hee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3권3호
    • /
    • pp.213-221
    • /
    • 2019
  • The epididymal fat of mouse is a part of visceral fat deposit and is divided into the distal or proximal part based on its 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Even though the formation of the epididymal fat pad begins before the birth, a detailed adipogenic procedure of the epididymal fat has not been revealed. The epididymal fat pad becomes enlarged and expended with age, and expressional changes of numerous genes are associated with the maturation of fat tissues. In the present research, expressional patterns of adipose tissue-related genes in the distal epididymal fat of mouse at 2, 5, 8, and 12 months of postnatal age were determined by a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alysis. The lowest transcript levels of fatty acid binding protein 4 (Fabp4), lipoprotein lipase (Lpl), delta like non-canonical Notch ligand 1 (Dlk1),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 leptin (Lep), adiponectin (Adipoq), and resistin (Retn) were detected at 2 months of age, except fatty acid synthase (Fasn) showing the lowest level at 5 months of age. Even though expression of Lep and Fabp4 were gradually increased until 12 months of age, significant increases of Pparg and Adipoq transcript levels were continued until 8 months of age. The transcript levels of Lpl, Rent, Dlk1, and Fas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8 months of age, compared with those at 2 months of age.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expansion of the distal epididymal fat of mouse during postnatal period would be companied with differential expression of various adipocyte-associated molecules.

대두부산물의 지방세포분화 유도유전자의 발현저해 및 전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in 3T3-L1 Adipocytes)

  • 최미선;김지인;정진부;이수복;정재남;정형진;서을원;김택윤;권오준;임재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8-367
    • /
    • 2011
  • 대두는 여러 종류의 파이토케미컬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에 의한 항산화, 항염증, 항비만 효능 등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대두 부산물 성분의 비만억제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Oil-Red O 염색법과 정량 PCR을 통하여 지방세포분화억제 및 지방생성억제 효능을 분석하였다. 분화유도물질인 isobutylmethylanthine (IBMX), dexamathasone 및 insulin 처리에 따른 지방세포 분화유도와 함께 대두부산물-침지수, 순물, 두유-의 처리는 세포손상 없이 지방세포분화 연관 유전자-PPAR${\gamma}$, Fabp4, Scd1, adipsin, apolipoprotein (APOE), adiponectin (ADIPOQ)-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였다. 또한 대두에서 잘 알려진 isoflavone -daidzein과 genistein- 분석을 통하여 대두 부산물에 포함된 두 종류의 isoflavone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대두부산물에는 지방세포분화유도 유전자의 발현억제를 통한 전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부생산 시 발생하는 대두부산물은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능을 바탕으로 이를 이용하는 건강기능 식품제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ostnatal Expressional Patterns of Adipose-Associated Molecules in the Mouse Proximal Epididymal Fat

  • Lee, Ki-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3권4호
    • /
    • pp.313-322
    • /
    • 2019
  • The epididymal fat pad is a male gonadal adipocyte tissue and is histochemically separated into distal and proximal parts. The development of epididymal fat during postnatal period has not been examined in detail. A previous research showed that expression of adipocyte-associated molecules in the distal epididymal fat of mouse is generally increased as postnatally aged. In the present study, expressional patterns of same adipocyte-associated molecules in the mouse proximal epididymal fat at 2, 5, 8, and 12 months of age were studied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distal epididymal fat. The expressional level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 lipoprotein lipase (Lpl), and fatty acid synthase (Fasn) at 5 months of ag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at 2 months of age, while transcript level of leptin (Lep) at 5 months was higher than that at 2 months of age. The transcript levels of all molecules at 8 months of ag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at 2 and 5 months of age. At 12 months of age, expression of delta like non-canonical Notch ligand 1 (Dlk1) was further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there was no change on the transcript level of Pparg and significant decreases of Fabp4, Retn, Lpl, Lep, Fasn, and adiponectin (Adipoq) transcript levels. The current findings show that expressional patterns of molecules associated with adipocyte in the proximal epididymal fat is somewhat different with those of the distal epididymal fat, suggesting the existence of regional variance in the epididymal fat.

Regulation of appetite-related neuropeptides by Panax ginseng: A novel approach for obesity treatment

  • Phung, Hung Manh;Jang, Dongyeop;Trinh, Tuy An;Lee, Donghun;Nguyen, Quynh Nhu;Kim, Chang-Eop;Kang, Ki S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609-619
    • /
    • 2022
  • Obesity is a primary factor provoking various chronic disorders,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and cancer, and causes the death of 2.8 million individuals each year. Diet, physical activity, medications, and surgery are the main therapies for overweightness and obesity. During weight loss therapy, a decrease in energy stores activates appetite signaling pathways under the regulation of neuropeptides, including anorexigenic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proopiomelanocortin (POMC), cholecystokinin (CCK), and cocaine- and amphetamine-regulated transcript] and orexigenic [agoutirelated protein (AgRP), neuropeptide Y (NPY), and melanin-concentrating hormone] neuropeptides, which increase food intake and lead to failure in attaining weight loss goals. Ginseng and ginsenosides reverse these signaling pathways by suppressing orexigenic neuropeptides (NPY and AgRP) and provoking anorexigenic neuropeptides (CCK and POMC), which prevent the increase in food intake. Moreover, the results of network pharmacology analysis have revealed that constituents of ginseng radix, including campesterol, beta-elemene, ginsenoside Rb1, biotin, and pantothenic acid, are highly correlated with neuropeptide genes that regulate energy balance and food intake, including ADIPOQ, NAMPT, UBL5, NUCB2, LEP, CCK, GAST, IGF1, RLN1, PENK, PDYN, and POMC.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network pharmacology analysis data, ginseng and its compounds may be a potent source for obesity treatment by regulating neuropeptides associated with appetite.

3T3-L1 세포에서 지방세포형성 유도조절자 및 억제조절자의 발현에 대한 platycodin D의 효과 (Effects of Platycodin D on Gene Expressions of Pro-adipogenic and Anti-adipogenic Regulators in 3T3-L1 Cells)

  • 이해용;강련화;조수현;김성수;김영식;윤유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802-1807
    • /
    • 2009
  • Platycodi radix의 주요 성분으로 항염증, 항고지혈 및 항종양 등 다양한 약리적 기능을 가지는 platycodin D는 최근 비만 및 지방세포형성(adipogenesis)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dipogenesis의 상위단계에 위치한 다양한 pro-adipogenic regulators와 anti-adipogenic regulators의 발현이 platycodin D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는지 분석하였다. Real-time PCR을 이용한 mRNA 발현의 정량적 분석에서 adipogenesis의 marker라 불리는 ADIPOQ와 GLUT4의 mRNA 발현은 platycodin D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terminal marker의 발현을 조절하는 PPAR$\gamma$와 C/EPB$\alpha$의 mRNA 발현 역시 platycodin D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Platycodin D의 지방세포 억제 효과에 대한 상세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PPAR$\gamma$와 C/EPB$\alpha$의 상위 조절자들의 mRNA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Pro-adipogenic regulators에 대한 platycodin D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C/EBP$\beta$와 C/EPB$\delta$의 mRNA 발현은 platycodin D에 의해 변화가 없었던 반면, KROX20과 KLF15의 mRNA 발현은 각각 초기 분화(2일)와 후기 분화(4일)에서 platycodin D에 의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대표적인 anti-adipogenic regulators인 CHOP의 mRNA 발현은 초기분화에서 platycodin D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또 다른 anti-adipogenic regulators인 C/EBP$\gamma$의 mRNA 발현은 platycodin D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adipogenesis 과정에서 platycodin D는 pro-adipogenic regulators인 KROX20, KLF15와 anti-adipogenic regulator인 CHOP의 mRNA 발현에 영향을 주어 PPAR$\gamma$와 C/EPB$\alpha$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platycodin D에 의한 adipogenesis 억제 효과는 KROX20, KLF15 등의pro-adipogenic regulator와 CHOP 등의 anti-adipogenic regulator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결과라 사료된다.

생약복합물에 의한 지방세포형성 조절자의 유전자 발현 연구 (A Study on the Gene Expression of Adipogenic Regulators by an Herbal Composition)

  • 이해용;강련화;배성민;채수안;이정주;오동진;박석원;조수현;심예지;윤유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29-73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약복합제제인 SH21B의 adipogenesis 억제 효능에 대한 상세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밝히는 데 있다. 실험에 사용된 SH21B는 7가지 생약성 천연물질인, 황금, 행인, 마황, 석창포, 포황, 원지 및 하엽으로 이루어졌다. 최근, 본 연구진에 의해 3T3-L1을 이용한 in vitro 연구와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연구에서 SH21B의 adipogenesis 억제효능이 밝혀진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세포가 분화될 때 작용하는 다양한 지방세포형성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이 SH21B에 의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시간중합효소반응(real time PCR) 기술을 이용하여 SH21B를 처리한 지방세포와 그렇지 않은 지방세포를 비교한 결과, 최종마커인 ADIPOQ와 SLC2A4의 유전자 발현이 SH21B에 의해 급격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최종마커의 발현을 유도하는 핵심전사인자인 $PPAR{\gamma}$와 C/$EBP{\alpha}$의 유전자 발현 역시 SH21B의 처리 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좀 더 상세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핵심전사인자의 상위에 위치한 다양한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러 지방세포형성 유도조절자 중, Krox20과 KLF15의 유전자 발현이 SH21B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C/$EBP{\beta}$와 KLF5의 유전자 발현은 SH21B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지방세포형성 억제조절자인 KLF2와 CHOP의 유전자 발현은 SH21B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SH21B의 지방세포형성 억제효능이 지방세포의 분화에 작용하는 다양한 상위조절자 중 지방세포형성 유도조절자인 Krox20과 KLF15 그리고 지방세포형성 억제조절자인 KLF2와 CHOP 등의 유전자 발현이 변화되면서 일어나는 복합적인 반응의 결과임을 제시한다.

생약복합물의 지방세포형성억제 기전규명을 위한 전사체 분석 (Transcriptome Analyses for the Anti-Adipogenic Mechanism of an Herbal Composition)

  • 이해용;강련화;배성민;채수안;이정주;오동진;박석원;조수현;심예지;윤유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54-1065
    • /
    • 2010
  • 생약복합물인 SH21B는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행인(Prunus armeniaca Maxim), 마황(Ephedra sinica Stapf),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 포황(Typha orientalis Presl),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 하엽(Nelumbo nucifera Gaertner)의 혼합(비율 3:3:3:3:3:2:2)으로 이루어졌다. SH21B는 예로부터 한의학에서 비만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나 자세한 분자적 메커니즘과 효능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를 통해 SH21B가 지방세포의 분화에서 adipogenesis (지방세포형성)와 관련된 유전자를 조절하여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microarray 기술을 이용하여 adipogenesis의 in vitro 모델인, 3T3-L1 세포에서 SH21B에 의한 지방세포형성 억제의 분자적 기작을 보다 상세하게 연구하고자 하였다. 전지방세포, 분화된 세포 그리고 SH21B에 의해 분화가 억제된 세포의 각각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기 위해 각 시료들에서 total RNA를 분리하여 cDNA를 합성한 후 microarray에 적용시켰다. 그 결과, 각각의 시료들의 비교에서 2배 이상의 유의한 발현 변화를 가지는 2,568개의 유전자를 확보하였다. 이 유전자들에 대해 Hierarchical clustering과 K-means clustering 분석을 진행하였고 서로 다른 양상을 가지는 9개의 군집(cluster)들을 분류하였다. 그 중, SH21B의 첨가에 의해 뚜렷하게 감소(cluster 4, cluster 6 및 cluster 9)하거나 반대로 뚜렷하게 증가(cluster 7와 cluster 8)하는 양상을 보이는 군집들을 따로 선별하여 그 군집들에 포함되어 있는 유전자들을 분석하였다. 선택 된 5개의 군집에는 지방세포형성과 세포증식에 관련된 유전자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Cluster 4, cluster 6 그리고 cluster 9에는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gamma$ ($PPAR{\gamma}$),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 (SREBF1), adiponectin (ADIPOQ), fatty acid synthase (FASN), lipoprotein lipase (LPL) 등의 지방세포형성 유도 및 관련 인자와 B-cell leukemia/lymphoma6 (BCL6), retinoblastoma 1 (RB1),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2C (CDKN2c), ras homolog gene family, member B (RHOB) 등의 많은 세포증식 억제 유전자가 포함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cluster 7과 cluster 8에는 $\beta$-catenin, cyclin D1 (CCND1), WNT1 inducible signaling pathway protein 2 (WISP2) 등과 같은 지방 세포형성 억제 조절자와 MARCKS-like1 (MARCKSL1), colony stimulating factor 1 (CSF1), discoidin domain receptor family, member 2 (DDR2), leukemia inhibitory factor receptor (LIFR) 등의 세포증식을 유도하는 조절자가 다수 포함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SH21B가 지방세포형성과 관련된 조절자 및 세포증식과 관련 된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지방세포형성을 억제함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