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

검색결과 2,543건 처리시간 0.037초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에 작용하는 Mechanism-Based Inactivator의 설계와 합성

  • 김동한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42-42
    • /
    • 1993
  •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은 혈압 상승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효소이다. 따라서 이 효소의 작용 억제는 혈압 강하를 초래한다. 본 실험에서는 ACE와 여러점에서 유사점을 가진 Carboxypeptidase A에 대하여 강력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간단한 구조의 억제제를 개발한 바 있는데. 이때 사용한 억제제 설계방법을 ACE 억제제 개발에 적용시켜 ACE 억제를 통한 고혈압 강하제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ACE 억제작용에 있어서의 알려진 구조-활성 상관 관계와 ACE의 활성부위를 기초로 해서 아래와 같은 구조의 물질을 억제작용 보유의 물질로 설계하고 합성하였다.

  • PDF

반응표면법에 의한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K79를 이용한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활성 향상을 위한 탈지유 발효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Skim Milk Fermentation Condition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o Improve ACE Inhibitory Activity Using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K79)

  • 박유경;홍상필;임상동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93-102
    • /
    • 2022
  • 본 연구는 L. plantarum K79를 이용하여 ACE 억제활성 향상을 위한 최적의 발효조건을 RSM을 이용하여 예측하고자 하였다. 4개의 독립변수[탈지유(포도당 1% 첨가) 농도(6%-14%), 배양 온도(32℃-42℃), 배양 시간(8-24시간), 스타터 첨가량(0.02%-0.2%)] 5단계 중심 합성 설계 및 반응 표면 분석법을 사용하여 최적의 발효 조건을 결정하는 데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는 ACE 억제 활성과 pH였다(이때 ACE 억제율은 조건별 발효원액에서 100배 희석하여 나타낸 값이다). 결정 계수(R2)는 ACE 억제 활성, pH에 대해 각각 0.791, 0.905이었다. 최대 ACE 억제 활성은 10% 탈지유(포도당 1% 첨가) 농도, 37℃ 배양 온도, 17.8 h 배양 시간 및 0.2% 스타터 첨가량 조건에서 90%이었다. RSM에 기초하여 예측된 최적 발효 ACE 조건은 탈지유(포도당 1% 첨가) 농도 13.49%, 스타터 0.0578%, 배양온도 33.4℃에서 21.5시간 동안 배양할 때 ACE 억제 활성 및 pH의 예측 값은 86.69% 및 pH 4.6이었으며 실제 값은 각각 85.5%와 pH 4.58이었다.

독활 물 추출물이 대식세포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gelicae Pubescentis Radix Water Extract on Immune Property in RAW 264.7 Macrophages)

  • 이종한;김윤상;임은미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5-184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gelicae pubescentis Radix water extract (ACE) on immune properties in macrophage cells. Methods: The cel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a control, the first was not treated with ACE, and the other was treated with ACE. Together with the cell viability, productions of nitric oxide (NO) and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1{\bet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by treating of ACE were monitored. Results: 1. There was no decrease of the cell viability after 24 hr incubation, but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48 hr incubation with all four concentrations (25, 100, 200, and $400\;{\mu}g/m{\ell}$) of ACE. 2.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NO was observed in the concentrations above $50\;{\mu}g/m{\ell}$ of ACE after 24 hr incubation. 3. Further, after 48 hr incubation, the critical concentration of ACE for the increase was reduced to $25\;{\mu}g/m{\ell}$. 4. The production of (IL)-$1{\beta}$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ACE concentrations of 100 and $200\;{\mu}g/m{\ell}$ after 24 hr incubation. 5. The production of IL-6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ACE concentration of $200\;{\mu}g/m{\ell}$ after 24 hr incubation. 6.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TNF)-${\alpha}$ was detected with ACE concentrations of 50, 100, and $200\;{\mu}g/m{\ell}$ after 24 hr incubation. Conclusions: These show that ACE increases mouse macrophage NO production at concentrations above $50\;{\mu}g/m{\ell}$, and the cytokines ((IL)-$1{\beta}$, IL-6, and (TNF)-${\alpha}$) at concentrations above $200\;{\mu}g/m{\e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E improves macrophage immune property.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에 의한 건성 기침의 발생과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 Induced Dry Cough and ACE Gene Insertion/Deletion(I/D) Polymorphism)

  • 김제형;정혜철;김경규;이승룡;권영환;이소라;이상엽;이신형;차대룡;조재연;심재정;조원용;강경호;김형규;유세화;인광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241-250
    • /
    • 1999
  • 연구배경: ACE 억제제는 고혈압 및 신장질환의 치료제로서, 투약 중 발생하는 건성 기침은 이 약제의 사용을 제한하는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ACE 억제제로 인한 건성 기침의 발생 빈도는 ACE의 활성도가 낮은 사람에서 높고, 그 활성도는 ACE 유전자의 다형성과 관계가 있다는 가설이 있으나, 그간의 국내외 임상 연구들은 그에 대해 각각 상이한 보고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ACE 억제제를 투약 받고 있는 신장 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건성 기침의 발생 반도와 ACE의 활성도를 결정하는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 8월 현재, 외래에서 ACE 억제제를 투약 받고 있는 33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투약 중 건성 기침을 호소하고, 약제 중단 후 기침이 소실된 환자들을 기침 발생군, 기침을 호소하지 않은 환자들을 기침 미발생군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병력, 투약력, 증상 등의 임상적 특성은 의무기획을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ACE 유전자 다형성은 환자들의 말초 혈액에서 얻은 DNA 의 종합효소 연쇄반응기법 (PCR) 과 전기영동(electrophoresis)으로 결정하였다. 결 과: 기침 발생군은 37명으로, 빈도는 10.9% 이었고, 미발생군은 302명이었다. 양군간에 연령, 기저 질환, ACE 억제제의 종류 및 용량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남녀 비는 기침 발생군에서 M : F=24.3% : 75.7%, 미발생군에서는 49.7% : 50.3%로, 기침 발생군에서 여성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4). ACE 유전자 다형성의 유전자형의 비는 기침발생군에서 I:I : I/D : D/D=16.2% : 18.9% : 64.9%, 미발생군에서 18.9% : 18.2% : 62.9%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 0.926), I allele과 D allele의 비도 기침 발생군에서 I : D=25.7% : 74.3%, 미발생군에서 28.0% : 72.0%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676). 결 론: ACE 억제제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에서, 건성 기침의 발생 빈도는 10.9%이었고,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ACE 억제제에 의한 기침과 ACE 유전자 다형성과는 관련성이 없었다.

  • PDF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ACE 유전자 다형성과 기관지 과민성의 연관성 (Polymorphism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Gene Associated in Patients with COPD with or without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 김승수;최유진;박성주;이흥범;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1호
    • /
    • pp.25-30
    • /
    • 2005
  • 목 적 : ACE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폐를 포함한 여러 조직에서 ACE 활성 및 농도 등에 차이를 나타내고 이러한 차이가 COPD 등의 만성 호흡기 질환에서 질환의 발생 및 임상 표현형의 차이를 유발할 것으로 추정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ACE 유전자 다형성이 COPD 환자에게서 동반될 수 있는 기도 과민반응 등의 기관지 천식 요소의 발현 유무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00명의 COPD 환자들을 대상으로 기도 과민성의 동반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분류하였고, PCR 방법을 통하여 ACE 유전자형을 검사하여 두 군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 과 : COPD 환자에서 기도 과민반응 유무에 따른 ACE 유전자형의 분포에 차이는 없었고, COPD의 임상적 단계에 따른 각 군 간의 의미 있는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이러한 연구 결과는 ACE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차이가 COPD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기도 과민성 등의 천식 요소의 발현과 연관이 없음을 시사하는 소견이라 할 수 있다.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과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유전자 다형성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Gene Polymorphism and Seasonal Variation in Mood and Behavior)

  • 전혜연;이헌정;강승걸;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14권1호
    • /
    • pp.26-32
    • /
    • 2007
  • 목 적:유전학에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신과 영역에서는 ACE 유전자 다형성과 우울증, 우울증 치료 반응과의 연관성 등이 보고되어왔다. ACE 유전자가 인간의 다른 행동 특성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과 ACE 유전자 다형성 사이에 유전학적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이 연구는 297명의 의과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대상자들은 주요 내과적 질환과 정신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대상자들에게서 ACE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계절성 양상 평가 질문지(Seasonal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 SPAQ)를 이용하여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을 평가하였다. 결 과:세가지 ACE 유전자형에 따른 GSS 및 수면시간, 사회활동, 기분, 체중, 에너지 수준, 식욕의 계절성 척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겨울형 계절성군, 여름형 계절성군, 비계절성군에서 ACE 유전자형의 빈도와 대립유전자 빈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겨울형 계절성군에서 세가지 유전자형의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2=6.79$, p=0.034). 또한 겨울형 계절성군에서 D 대립유전자를 보유한 경우(D+)와 D 대립유전자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D-)의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x^2=6.59$, p=0.010;odds ratio [OR]=2.27, 95% confidence interval [CI] 1.20-4.28). 결 론:이 연구결과는 ACE 유전자형이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사상체질과 ACE 유전자 다형성 분류에 따른 유·무산소성 능력비교 (Comparison of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between Sasang Consititutions and ACE Gene Polymorphismn)

  • 석동선;박규정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40-35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of purpose was to to compare of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between Sasang Constitutions and ACE Gene Polymorphism. Methods. 24 healthy males we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who were in their twenties and had no disease, then they were divided by ACE type and by Sasang constitutions with QSCC II. According to these group, the body compositon, Aerobic capacity including VO2max, Anaerobic Capacity were measured. Results. In this study, According to ACE type, ID type were 8, II were 8 and DD type were 8 persons. According to ACE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ype, especially, II, ID type more than DD. II type is more higher than any type and DD type is lower in the ratio of Blood Lactic recovery. DD type was more excellent than other type in Anaerobic power.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s, there were 8 SoYang, 5 Taeum, 11 Soeum and then no TaeYang constitution. In Aerobic capacity, Taeum constitution had significantly high means and Anaerobic threshold. In the ratio of Blood lactic recovery, Taeum constitution was excellent and SoYang had poor recovery capacity. SoYang had more excellent than other constitution significantly in Anaerobic capacity. Comparing ACE type with Sasang constitution, Soyang constitution included 4 ID types, Taeum inclued 2 II types and 2 ID types then Soeum included 6 DD types. Compared of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between Sasang constitutions and ACE type, Soyang constitutions were similar to ID type, Taeum similar to II type and ID type and then Soeum were DD type. Conclusions. This study had made it clear that there were similar feature between ACE type and Sasang constitutions. Also it's possible to predict the Aerobic capacity that may be foreseen by ACE type with Sasang questionnaire method but not Anaerobic capacity.

한우 등심과 우둔에서 추출한 Myosin B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의 단백질 변화와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저해효과 (Evaluation of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and Protein Changes of Enzymatic Hydrolysate Extracted from Hanwoo Loin and Round Myosin B)

  • 김영주;진구복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129-136
    • /
    • 2007
  • 본 실험은 한우 육단백질의 가수분해물로부터 항고혈압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한 것으로서 한우 등심과 우둔으로부터 추출한 myosin B를 pepsin으로 가수분해하여 가수분해물들의 전기영동 결과, 가열처리와 가수분해 시간의 증가에 따라 단백질의 소실이 증가하였다. 항 고혈압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 ug/ml의 희석된 가수분해물의 ACE 억제효과는 1시간 이상 가수분해 시키면 약 40%의 억제율을 가졌다. 가수분해물 원액으로 ACE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등심이 우둔보다 높았으며 (p<0.05), 비가열 가수분해물이 가열한 가수분해물 보다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다 (p<0.05). 또한, 가수분해 시간별 처리구에서는 1시간 이상 가수분해 시키면 약 70% 이상의 억제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한우의 myosin B를 1시간 이상 가수분해하면 ACE 억제율이 증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Derived from Goat's Milk Casein Hydrolysates

  • Lee, K.J.;Kim, S.B.;Ryu, J.S.;Shin, H.S.;Lim, J.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5호
    • /
    • pp.741-746
    • /
    • 2005
  • To investigate the basic information and the possibility of ACE-inhibitory peptides for antihypertension materials, goat's caisin (CN) was hydrolyzed by various proteolytic enzymes and ACE-inhibitory peptides were separated and purified. ACE-inhibition ratios of enzymatic hydrolysates of goat's CN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ACE-inhibitory peptides were determined. ACE-inhibition ratios of goat's CN hydrolysates were shown the highest with 87.84% by pepsin for 48 h. By Sephadex G-25 gel chromatograms, Fraction 3 from goat's CN hydrolysates by pepsin for 48 h was confirmed the highest ACE-inhibition activity. Fraction 3 g and Fraction 3 gh from peptic hydrolysates by RP-HPLC to first and second purification were the highest in ACE-inhibition activity,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was leucine (18.83%) in Fraction 3 gh of ACE-inhibitory peptides after second purification.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of Fraction 3 gh of ACE-inhibitory peptides was shown that the Ala-Tyr-Phe-Tyr, Pro-Tyr-Tyr and Tyr-Leu. IC$_{50}$ calibrated in peptic hydrolysates at 48 h, Fraction 3, Fraction 3 g and Fraction 3 gh from goat's CN hydrolysates by pepsin for 48 h were 29.89, 3.07, 1.85 and 0.87 g/ml,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goat's CN hydrolysates by pepsin were shown to have ACE-inhibitory activity.

김으로부터 분리한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저해제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Porphyra yezoensis)

  • 최수진;전우진;유광원;신동훈;홍범식;조홍연;양한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19-725
    • /
    • 2000
  • 본 연구는 70여종의 국내산 해조류중 가장 높은 ACE 저해 활성을 보였던 김(Porphyra yezoensis, 서천)의 산가수분해물로부터 ACE 활성 저해 펩타이 드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ACE 저해물질의 분획은 균일하게 파쇄한 김을 2.5 N HCl로 산 가수분해한 후 중화하여 한외여과로 분자크기 3 kDa 이하의 물질로 분리하였다. 분자크기 3 kDa이하의 물질에 대하여 column chromatography(Amberlite XAD 8, DEAE-Toyopearl, Sephadex LH-20)와 reverse phase HPLC(C18)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ACE 저해제인 PY3--II-b-h5물질을 분리하였다. PY30-II-b-h5는 분자크기는 약 580 dalton으로 glycine(24.5%), arginine(56.8%), proline(18.8%)의 아미노산 조성을 갖는 저분자 펩타이드였으며, ACE의 저해양상은 경쟁적 저해작용을 하였고, IC50 값은 10.6$\mu\textrm{g}$/mL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