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Betwee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 Induced Dry Cough and ACE Gene Insertion/Deletion(I/D) Polymorphism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에 의한 건성 기침의 발생과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계

  • Kim, Je-Hye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g, Hye-Ch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Kyu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ung-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won, Young-Hw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o-R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ang-Youb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in-H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a, Dae-R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 Jae-Yo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m, Jae-Je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 Won-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ang, Kyu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Hyou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Se-Hw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In, Kwa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제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혜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경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승룡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권영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소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상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신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차대룡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재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심재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원용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경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형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유세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인광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2.28

Abstract

Background: Persistent nonproductive cough is a major adverse effect encountered with ACE inhibitor treatment and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withdrawal of the drug. The mechanism of cough was postulated to be associated with accumulation of bronchial irritants which are substrates of ACE. It has been speculated that occurrence of this adverse effect is genetically predetermined ; in particular, variants of the genes encoding ACE.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we determined ACE gene Insertion/Deletion polymorphism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a history of ACE inhibitor-induced cough. Methods: Among the 339 patients with ACE inhibitor treatment, subjects who developed cough that resolved when not taking medication were designated to cough group and other subjects who did not complain cough were designated to non-cough group.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ere collected by review of medical records. ACE genotypes were determined by PCR amplification of DNA from peripheral blood and agarose gel electrophoresis. Results: 37 patients complained of dry cough(cough group) and 302 patients did not complained of cough(non-cough group). The incidence of ACE inhibitor induced dry cough was 10.9%. There was a preponderance of females in the cough group (M : F=24.3% : 75.7%) compared to the non-cough group (M : F=49.7% : 50.3%, p=0.00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age, underlying diseases, and kinds and frequencies of ACE inhibitors and their mean dosage between the both groups. ACE genotypic frequencies were I/I : I/D : D/D=16.2% : 18.9% : 64.9% in the cough group and 18.9% : 18.2% : 62.9% in the non-cough group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oth groups(p=0.926). Allelic frequencies were I : D = 25.7% : 74.3% and 28.0% : 72.0% in the cough and non-cough group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p = 0.676). Conclusion: The incidence of ACE inhibitor-induced cough are 10.9%, and women are more susceptible to ACE inhibitor-induced cough. ACE inhibitor-induced dry cough is not associated with ACE gene Insertion/Deletion polymorphism.

연구배경: ACE 억제제는 고혈압 및 신장질환의 치료제로서, 투약 중 발생하는 건성 기침은 이 약제의 사용을 제한하는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ACE 억제제로 인한 건성 기침의 발생 빈도는 ACE의 활성도가 낮은 사람에서 높고, 그 활성도는 ACE 유전자의 다형성과 관계가 있다는 가설이 있으나, 그간의 국내외 임상 연구들은 그에 대해 각각 상이한 보고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ACE 억제제를 투약 받고 있는 신장 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건성 기침의 발생 반도와 ACE의 활성도를 결정하는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 8월 현재, 외래에서 ACE 억제제를 투약 받고 있는 33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투약 중 건성 기침을 호소하고, 약제 중단 후 기침이 소실된 환자들을 기침 발생군, 기침을 호소하지 않은 환자들을 기침 미발생군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병력, 투약력, 증상 등의 임상적 특성은 의무기획을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ACE 유전자 다형성은 환자들의 말초 혈액에서 얻은 DNA 의 종합효소 연쇄반응기법 (PCR) 과 전기영동(electrophoresis)으로 결정하였다. 결 과: 기침 발생군은 37명으로, 빈도는 10.9% 이었고, 미발생군은 302명이었다. 양군간에 연령, 기저 질환, ACE 억제제의 종류 및 용량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남녀 비는 기침 발생군에서 M : F=24.3% : 75.7%, 미발생군에서는 49.7% : 50.3%로, 기침 발생군에서 여성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4). ACE 유전자 다형성의 유전자형의 비는 기침발생군에서 I:I : I/D : D/D=16.2% : 18.9% : 64.9%, 미발생군에서 18.9% : 18.2% : 62.9%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 0.926), I allele과 D allele의 비도 기침 발생군에서 I : D=25.7% : 74.3%, 미발생군에서 28.0% : 72.0%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676). 결 론: ACE 억제제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에서, 건성 기침의 발생 빈도는 10.9%이었고,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ACE 억제제에 의한 기침과 ACE 유전자 다형성과는 관련성이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