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1초

Iso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Showing Antioxidative and Probiotic Activities from Kimchi and Infant Feces

  • Ji, Keunho;Jang, Na Young;Kim, Young T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9호
    • /
    • pp.1568-157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actic acid bacteria with antioxidative and probiotic activities isolated from Korean healthy infant feces and kimchi. Isolates A1, A2, S1, S2, and S3 were assigned to Lactobacillus sp. and isolates A3, A4, E1, E2, E3, and E4 were assigned to Leuconostoc sp. on the basis of their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16S ribosomal DNA sequence analysis. Most strains were confirmed as safe bioresources through nonhemolytic activities and non-production of harmful enzymes such as β-glucosidase, β-glucuronidase and tryptophanase. The 11 isolates showed different resistance to acid and bile acids. In addition, they exhibi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bacteria, especially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Escherichia coli. Furthermore, all strains showed significantly high levels of hydrophobicity. The antioxidant effects of culture filtrates of the 11 strains include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2.2'-azino-bis (2-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of the culture filtrates have effective scavenging activity for DPPH and ABTS radicals. All strains appeared to have effectiv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conclusion, the isolated strains A1, A3, S1, and S3 have significant probiotic activities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health-related products. These strains might also contribute to preventing and controlling several diseases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when used as probiotics.

Screening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of Paulownia coreana Bark and Antioxidative Effect of the Extracts on an Edible Oil

  • Lee, Nam Gull;Jeong, Kap Seop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17-1325
    • /
    • 2013
  • Paulownia coreana is a medicinal, edible and industrial plant with the largest leaf, and is native to Korea. We evaluated the reducing power activitie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SAs),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NSAs)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RSAs by solvent extraction of P. coreana bark by using $50^{\circ}C$ hot water and $25^{\circ}C$ methanol. The antioxidative effect of P. coreana bark extract on corn seed oil was evaluated using the Rancimat test. The extraction yields on dry weight basis with 15 folds of hot water and methanol were 23.88% and 5.30%, respectively; further the flavonoid content in the hot water extract was over 2.5 times more than that in the methanol extract. The DPPH RSA of the methanol extract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 whereas the NSA of the water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ethanol extract at pH 1.2. The ABTS RSAs of the two extracts were almost the same as that of ascorbic acid and 2,6-ditertiarybutyl hydroxytoluene. The two extracts of P. coreana bark in this study were found to slightly improve the oxidation stability of corn seed oil.

느타리, 새송이, 팽이버섯의 용매추출에 따른 항산화활성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leurotus ostreatus (Jacq.) Que Pleurotus eryngii and Flammulina velutipes Extracts by Different Solvent)

  • 최진희;김진성;박종대;성정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22-632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al solvent extraction method [Distilled water (DW), 70% ethanol, 99% ethanol] of mushrooms, including Pleurotus ostreatus (Jacq.) Que, Pleurotus eryngii and Flammulina velutipes and improve their usability as natural antioxidants. To analyze antioxidant activities in each mushroom,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cation radical (ABTS+) and fluorescence recovery after photobleaching (FRAP) were measured. All mushrooms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DW mushroom extract (p<0.001).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P. eryngii and F. velutipes DW and 70% ethanol mushroom extracts (p<0.05). All mushrooms showed the highest activities using DPPH and FRAP assays in the DW extraction method (p<0.001). P. ostreatus (Jacq.) Que and P. eryngii showed the highe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DW extraction method, and F. velutipe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70% ethanol extraction method (p<0.001). As a result of comparing IC50 values of DPPH and ABTS+ radicals and FRAP EC50 values, the DW P. ostreatus (Jacq.) Que extract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p<0.001). Pearson's correlation between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all mushrooms (p<0.01). Therefore, extraction of the mushrooms with DW can enhance the extraction of effective bioactive substances and antioxidant activity.

밤나무잎의 항주름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Chestnut Leaf)

  • 장민정;전동하;김세현;한상익;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51-756
    • /
    • 2013
  • 본 연구는 노령목의 산림의 경제적 가치를 증진하고자 밤나무 잎에 함유된 물질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의 기능을 규명하여 화장품 산업에 적용하기 위하여 천연소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능 측정을 위한 실험으로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cation radical 소거능을 실시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항산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BHA를 이용하여 밤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세톤 추출물의 경우 시료 농도에 따라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 증가 정도가 컸으며, 열수 추출물은 10 u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밤잎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이 높고 피부에서 흔히 일어나는 활성산소에 대한 노화 방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세톤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그 효과가 없었으나 에탄올 추출물 100 ug/ml에서 64.6%의 우수한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3가지 추출물은 100 ug/ml에서 열수 추출물 18.0%, 아세톤 추출물 14.3%, 에탄올 추출물 5.3%의 순으로 collagenase 저해활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천연물질을 이용한 연구결과와 비교 시 밤잎 추출물은 주름개선에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주름개선 원료로의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밤잎은 항산화 및 항노화 효소 활성을 갖는 천연소재로서 주름개선 소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임삼 효능 평가 등의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된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발효강황 첨가 선식의 항산화적·관능적 및 미생물적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y, Sensory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Safety of Sunsik with Fermented Turmeric Powder)

  • 오수보;김은경;라하나;변양수;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00-608
    • /
    • 2016
  • Purpose: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physicochemical sensory, and microbial safety qualities of sunsik containing fermented Curcuma longa L. powder. Method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mples were measured using pH, moisture content, crude ash content, color and sensory evalua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samples were compared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Microbial safety of samples were tested for Aerobic plate counts,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Results: The pH of samples was between pH 5.51 and pH 5.64,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ptimum microbial living range. The DPPH and ABTS radical activities of sunsik containing 0.8% fermented Curcuma longa 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p<0.05). In sensory intensities, sunsik containing 0.8% fermented Curcuma longa L. showed significantly (p<0.05) similar savoy aroma and flavor, spicy aroma, spicy hot flavor, sweet flavor, and throat swallowing values to those of the control samples. Samples of sunsik added 0.8% and 1.2% fermented Curcuma longa L. showed significantly similar overall acceptance values to those of the control. All samples tested were found to free of microbes and microbiologically safe according to the food code standards. Conclusion: The sunsik added with 0.8% or 1.2% fermented Curcuma longa L. powder were successfully developed. we conclude that the developed sunsik with the fermented turmeric powder can be potentially high value products in the highly competitive sunsik food industry.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 Koidz.) 잎 추출물의 폴리페놀 및 항산화효과 (Polyphenol and Anti-oxidant Effects of Kalopanax septemlobus Koidz. Leaf Extracts)

  • 전동하;이진태;천순주;이창언;김태훈;이도형;한진규;김세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3-348
    • /
    • 2009
  • 음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의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 분석을 위해 전자공여능,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의 총 함량은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104 mg/L, 125 mg/L으로 정량되어 70% EtOH 추출물이 열수추출 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70% EtOH 추출물이 1,000 ppm에서 93.1%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와 유사한 소거능을 보였다.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은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이 1,000 ppm에서 49.6%, 49.5%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보다 높은 nitrit oxide radical 저해활성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1,000 ppm농도에서 열수 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46.6%, 60.4%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은 1,000 ppm에서 열수추출물이 92.7%, 70% EtOH 추출물이 91.4%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음나무 잎의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많은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으며,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합성항산화제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다소 낮지만 천연 항 산화제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음나무 잎의 강한 항산화능을 피부노화 예방관련 미용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한 유용한 수종으로 개발 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가지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 서선정;최용민;이선미;공수현;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9-13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쌀 섭취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건강 기능성 쌀로 개발된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력과 항산화 성분 간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수미 시료 중 흑미의 polyphenol, vitamin E, phytic acid, anthocyanin 함량은 각각 444.38, 0.79, 130.92, 146.90 mg/100 g으로 vitamin E를 제외하고 다른 특수미에 비해 가장 높은 항산화 성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흑미 methanol 추출물의 총 항산화력(697.27 AEAC), 환원력(2.32 $A_{700}$), 지질과산화 억제력(84.18%), 금속이온 제거능(38.47%), xatnhine oxidase 억제활성(66.52%)은 금속이온 제거능을 제외하고 다른 시료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수미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간의 상관분석 결과 polyphenol 함량이 높을수록 총 항산화력($R^2=9921$), 환원력($R^2=9856$)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R^2=8032$)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미와 더불어 적색미도 상당한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른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쌀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건강증진 식품으로서 쌀을 인식시켜 나아가 쌀의 소비 촉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한다.

음나무 신품종 새순의 유용물질 함량분석과 항산화활성 (Bioactive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Fresh Sprout of New Kalopanax septemlobus Cultivar)

  • 송정호;김혜수;김문섭;김세현;이진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397-402
    • /
    • 2015
  •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음나무 신품종으로 개발한 청산, 청송, 청순1 등 3개 신품종을 대상으로 새순의 영양성분 분석, 생리활성 물질분석 및 항산화활성 분석을 통하여 식품학적 가치의 확인과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3개의 품종에 대하여 일반성분은 탄수화물과 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에서는 칼륨, 칼슘, 마그네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미비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에서는 청산, 청송, 청순1에서 각각 26, 25, 28개의 아미노산을 분석하였으며, 각각 6, 6, 7개의 필수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기능성 분석을 위한 총폴리페놀 함량에서는 청산 품종이,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청송 품종이 높게 나타났다. DPPH 자유라디컬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분석에서는 100 ppm에서 청산과 청송의 70% 에탄올과 물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ABTS 라디컬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분석에서는 500 ppm에서 청순1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청산, 청송의 물 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결과로 청산, 청송의 경우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기능성과 동시에 가시가 없거나 적은 형태적 특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청순1의 경우 단맛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음나무 고유의 쓴맛과 동시에 단맛이 나는 맛 특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천연 항산화제로의 활용을 위한 사과, 포도, 및 고구마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Effects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Ethanol Extract of Apple Peel, Grape Peel, and Sweet Potato Peel as Natural Antioxidant)

  • 김미자;김영기;김현순;정철;장기효;강순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766-377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산화제로써의 활용을 위해 부산물인 사과 껍질, 포도 껍질과 고구마 껍질의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FRAP 환원능과 ORAC 지수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사과 껍질 1g에 각각 7.76 ${\mu}M$ quercetin 당량과 1.03 ${\mu}M$ quercetin 당량으로 존재하여 포도 껍질과 고구마 껍질 보다 유의적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사과껍질 1 g이 각각 포도 껍질보다는 3.2배, 고구마 껍질보다는 4.6배로 나타났고, ABTS 양이온 소거능 또한 사과껍질 1g이 각각 포도 껍질보다는 2.8배, 고구마 껍질보다는 5.4배로 강력하게 소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FRAP 환원능과 ORAC 지수 또한 사과 껍질이 포도 껍질이나 고구마 껍질보다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사과껍질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근과 우절 에탄올 추출물의 향장효능 검증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Lotus Rhizome and node of Lotus Rhizome)

  • 장영아;박소현;김보애;박종이;정영옥;이진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57-665
    • /
    • 2017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연근과 우절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연근과 우절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항염증 및 항주름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근과 우절을 95%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항산화 평가를 위해 샘플을 농도 (100, 500, 1000) ${\mu}g/mL$에 따라 처리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과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주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Elastase 저해 활성 평가를 수행 하였다.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대식세포 (Raw 264.7 cells)를 이용해 MTT assay를 통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연근과 우절의 $1000{\mu}g/mL$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각 66.7%, 99.5% 로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동일농도에서 각 51.2%, 98.3%로 나타났다. elastase저해 활성 결과 우절이 연근에 비해 높은 항주름 효능을 나타내었다. 우절은 $1000{\mu}g/mL$ 농도에서 대조군 EGCG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Nitric oxide 저해 활성 결과에 따르면 연근은 55.8%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우절은 66.6%의 효과를 각각 나타내어 우절 추출물이 연근보다 항염증 효과가 더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연근 및 우절 추출물은 안전한 항산화 항염증 및 항주름 천연화장품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