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A therapy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초

신체화를 동반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근막이완술 적용이 신체화, 우울증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 사례 연구 (The Effects the Application of MyoFascial Release of Depression, Anxiety, Sleep Disturbance, and Headache i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atients with Somatization: Case Study)

  • 유성훈;박재명;홍현표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5-81
    • /
    • 2017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MFR)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 in somatization with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Based on this, proceed to present an effective physical treatments. Methods: In this study, three subjects were applied ABA design for a total of 12 weeks. Intervention was performed three times per week, and only MFR for 6 weeks was applied to the patient for 60 minutes. General physical therapy consisted of a total of 60 minutes including hot pack, electric therapy, and ultrasound. In this study, we measured three times in the second baseline stage at the initial evaluation before the commencement of intervention, somatization, depression, anxiety, sleep disorder, and pain after 6 weeks and 12 weeks. Results: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MF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atization symptoms, sleep disturbance, and headach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and anxiety. Conclusions: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MFR in PTSD patients with somatization can be suggested as a useful intervention to resolve the psychosomatic problem.

  • PDF

원인 불명의 경추성 어지럼 의심 환자의 턱관절균형요법(TMJ Balancing Therapy) 및 병행 한방 치료의 치험 1례 (The Effect of TMJ Balancing Therapy and Combined Korean Medicine in a Patient with Suspected Cervical Dizziness of Unknown Causes: A Case Report)

  • 선승호;이영준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3권sup호
    • /
    • pp.15-20
    • /
    • 2023
  • Objectives: This case is to report the effect of TMJ balancing therapy (TBT) and combined Korean Medicine (CKM) on a 15-year-old male patient with suspected cervical dizziness of unknown causes. Methods: He was treated with TBT and CKM included Yin-yang Balancing Therapy of TMJ, pelvic balancing therapy, cervical chuna therapy once a week for 3 months. He continued to wear accurate balancing appliance (ABA) in the mouth, did 12-way cervical gravity straightening exercise and took banhabakchulchunma-tang-gamibang for 3 months. The effects of treatment was evaluated using the numerical rating scale (NRS). Results: After the treatments, dizziness was relieved from NRS 7 to NRS 1. Conclusions: This case report suggests that TBT and CKM treatments can relieve suspected cervical dizziness of unknown causes.

  • PDF

기능적 뇌척주요법을 병행한 한방치료가 턱관절 장애가 있는 교통사고 환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s with Functional Cerebrospinal Therapy on Patients from Traffic Accid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 서연주;서종철;김신영;윤현민;장선희;송춘호;이영준;조성우;강석환;김철홍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149-163
    • /
    • 201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Functional Cerebrospinal Therapy(FCST) on patients from traffic accid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3 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injuries stemming from traffic accidents at the Dong-Eui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December 29th, 2015 to August 29th, 2016.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A(n = 15) and Group B(n = 18). In Group A, patients received Korean medical treatments with FCST using an Accurate Balancing Appliance(ABA) - a standard intra-oral appliance. In Group B, patients received Korean medical treatments without FCST. To estimate the efficacy of the treatments in decreasing pain, we analyzed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Neck Disability Index(NDI)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ODI). Results : In Group A, VAS of headache(VAS H), VAS of neck & nuchal pain(VAS N), VAS of shoulder pain(VAS S), and VAS of low back pain(VAS L) were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each period. In Group B, VAS H was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each period, except the period from the first visit to two weeks later. VAS N, S, L were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each period, except the period from the first visit to one week later. The total VAS improvement during each period in Group 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B. In both groups, NDI and ODI were improved significantly during each period. The improvement of NDI and ODI during each period in Group 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B.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FCST using ABA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patients from traffic accidents.

감각통합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자기조절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the Self-regulation Capac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 주진옥;이혜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28
    • /
    • 2011
  •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후 자기조절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P시에 거주하는 4세의 여아와 6세의 남아로 양하지 뇌성마비로 진단받았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 중 ABA'를 사용하였고, 자기조절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문제 행동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한 후 자유놀이와 중재 후 디지털 카메라로 10분간 녹화하여 문제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체크하여 총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실험과정은 2010년 12월 1일부터 2011년 2월 26일까지 약 12주가 총 22회기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A) 6회, 중재 기간(B) 14회, 유지 기간(A') 2회로 총 22회기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과 유지 기간은 감각통합치료를 하지 않았으며, 중재 기간에는 전정 및 고유수용성 감각처리를 중심으로 한 감각통합치료를 30분간 실시하였다. 결과 : 아동의 자기조절 행동 3개의 빈도수가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여 중재기간에 대부분 2표준편차 이상으로 감소되었으며 유지기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 : 자기조절 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평가한 행동 빈도수의 총 평균이 감소되었으며 감각통합치료가 뇌성마비아동의 자기조절 행동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상호작용 중심의 모-자 미술치료가 불안정 애착 아동 및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Interaction Based Mother-Child Art Therapy on the Interaction of Child with Unstable Attachment and Mother)

  • 정창숙;박은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395-140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action based mother-child art therapy on the change of child and mother's interactions in a child who was in trouble due to attachment problems.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a six-year-old child who faced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 building and who were maladjusted to kindergarten because of unstable attachment and negative feedback from his parents. Also, he showed serious problem behaviors at home. The ABA design was adopted among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s, and the Target child was observed in the sessions in terms of the subfactors of Marschak's Behavioral Rating Scale to gather data related to the changes of child and mother's interac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all the subfactors that were the child's verbal/nonverbal interactions, the mother's verbal/nonverbal interactions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Therefore the interaction based mother-child art therapy that was designed to boost child and mother's interactions was effective at furthering the mother-child interactions of the child with attachment problem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college stud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 Kim, Deokj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9-39
    • /
    • 2021
  •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is effective for people with an addiction tendency.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a CB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t high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program on their desire to use a smartphone, depression, impulsivity, and anxiety. Baseline/post-intervention evaluation and the ABA' single-case experimental design were used. The study consisted of the baseline phase (A), pre-evaluation, intervention phase (B), post-evaluation, and baseline phase (A'). Six participants were enrolled, and the main outcome variables were daily changes in the desire to use a smartphone and changes in depression, impulsivity, and anxiety after the program. Prior to the intervention, all six participants had mild to moderate depression, but after the intervention, three were normal, two had mild depression, and only one had moderate depression. Impulsivity and anxiety scores de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with anxiety scores showing the most dramatic change. The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for the baseline phase (A)-intervention phase (B) was more than 75% and that for baseline phase (A)-baseline phase (A') was 100% for all 6 participants. This study presented a good protocol for people with low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y. We expect the findings will be highly useful for peopl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e to smartphone addiction.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Weighted Vest in Behavioral Problem for the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한미애;김지연;장기연;박미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3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주변 환경에 민감하고 감정기복이 심한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을 통한 고유수용성 감각을 제공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일반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만 7세 남아로 연구설계는 ABA'단일사례연구를 사용하였고, 14회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중재기간(B)동안 1.3kg의 무게를 첨부한 조끼를 착용하고 학습인지교육을 받았다. 결과 : 치료회기가 진행될수록 의자에서 엉덩이를 떼고 일어나거나 몸을 앞/뒤, 좌/우로 흔드는 경우 및 엄지손가락 을 입에 넣기, 손등 입으로 가져가기, 손장난하기 등 행동적 측면에서의 문제행동은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연구결과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한 후 아동의 문제행동이 회기가 지날수록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감각통합치료의 효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데 본 연구설계 및 중재기간상 제한점이 있어서,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기 보다는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실시한 결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설계의 변형이나 연구회기의 증가를 통해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지속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고,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시키는 것에 대한 적용방법, 무게, 적용시간에 대한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개별사례 연구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Hand Function: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 고석범;박혜연;김종배;김정란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63-77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불완전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불완전 경수 손상 진단을 받은 성인 3명으로, ABA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기초선(A1) 5회기, 중재기(B) 20회기, 재기초선(A2) 5회기로 총 30회기 실시하였다. 중재기(B) 동안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제공되었고, 모든 회기에는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떨어지는 막대 잡기(Grip the falling bar)와 먹기 흉내 내기(Simulated feeding)를 측정하였으며, 기초선(A1) 전, 재기초선(A2) 후로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JTHFT)와 Wolf Motor Function Test(WMFT)를 실시하여 중재 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 모든 대상자는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떨어지는 막대 잡기(Grip the falling bar)와 먹기 흉내 내기(Simulated feeding)를 통해 기초선(A1)보다 중재기(B)에서 우세 손 기능이 향상되었고, 재기초선(A2)에서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재기초선(A2) 후 COPM, JTHFT와 WMFT의 결과, 우세 손 기능의 향상과 과제 수행도와 만족도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 :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은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뿐만 아니라, 대상자가 선택한 훈련 과제의 과제 수행도와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림과 놀이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ith Oral Activity on Drooling and Pla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Single-Subject Research)

  • 박소희;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4-64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구강감각의 감각조절장애가 있는 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활동을 포함한 감각통합 치료를 적용하여 침 흘림과 구강장난감을 활용한 놀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2세 8개월의 구강감각의 감각조절장애가 있는 발달지연 남아 2명이었다. 단일대상연구 ABA'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설계(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목표행동은 목표성취도 척도(Goal Attainment Scale; GAS)를 사용하여 침 흘림과 구강 장난감을 활용한 놀이 대한 관심과 집중으로 측정하였다. 중재기(B) 10회기 동안 구강활동과 고유-전정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를 아동에게 적용하였다. 결과 : 침 흘림은 기초선 기간에 평균 목표행동 값(GAS)이 A 아동 0.25점, B 아동-0.5점에서 중재 기간에는 A 아동 1.88점, B 아동 1.4점으로 향상했고 유지기 동안 평균은 A, B 아동 모두 3점이었다. 놀이에 대한 기초선 기간에 평균 목표행동 값은 A 아동은 -0.75점, B 아동은 0.75점에서 중재 기간 A 아동은 1.9점, B 아동은 1.1점이었고 유지기 동안 평균은 A 아동 1.33점, B 아동 2점이었다. 결론 : 구강활동을 포함한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는 구강감각의 감각조절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침 흘림과 구강장난감을 활용한 놀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부 자가 마사지 후 척수부신경병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턱관절균형요법 치험례 (A Patient with Spinal Accessory Neuropathy after Self Neck Massage Treated with TMJ Balancing Therapy: A Case Report)

  • 김하권;최정은;박상수;허왕정;류호룡;박미소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3권sup호
    • /
    • pp.27-33
    • /
    • 2023
  • 본 증례의 환자는 자가 경부 마사지로 인한 척수부신경병증으로 경추부 근력 불균형 및 그에 따른 피로를 호소하였다. 자가 마사지로 인한 일시적 신경 압박은 7일에 걸쳐 자연 회복되었으며, 턱관절균형요법을 통해 자세와 척추 구조의 균형점을 회복시켜 환자의 피로와 자세 불균형을 개선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