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ADT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3초

요인분석을 활용한 일반국도 유형분류 (Classification of National Highway by Factor Analysis)

  • 임성한;하정아;오주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43-52
    • /
    • 2005
  • 도로분류체계는 도로의 기능. 설계기준을 정의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을 활용한 일반국도 유형분류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2004년도 상시 교통량 조사지점에서 수집된 교통자료를 이용한 요인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일반국도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적용된 변수는 총 9개로 AADT(연평균 일교통량), $K_{30}$(설계시간계수) $D_{30}$(중방항계수), 중차량 비율, 주간 교통량 비율, 첨두율, 일요일 계수, 휴가철 계수, 그리고 COV(변동계수)이다. 요인분석 결과, 교통량 변동 특성 요인과 중차량 및 방향별 특성요인이 추출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전체 353개 상시지점이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그룹 I은 관광부도로, 그룹 II는 지방부도로, 그룹 III은 도시부도로로 판단된다.

  • PDF

일반국도의 도로 유형별 설계시간계수 산정 및 경제성 평가 (Estimation of K-factor according to Road Type and Economic Evaluation on National Highway)

  • 김태운;오주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582-590
    • /
    • 2015
  • 도로 유형 분류 및 설계시간계수는 도로의 차로수 설계 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유형분류 및 설계시간계수를 추정하였으며, 설계시간계수의 타당성 입증을 위해 경제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도로 유형의 분석 결과 관광부 도로는 일교통량 편차가 크고 주말 계수, 휴가철 계수가 높았다. 지방부 도로는 평일 교통 패턴과 주말 교통 패턴이 유사하고, 도시부 도로는 AADT가 높고 일교통량 편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곡점 탐색을 통하여 설계시간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설계시간계수를 바탕으로 차로수를 산정하여 도로용량편람의 설계시간계수로 차로수를 산정하였을 경우와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경제성 분석결과 본 연구의 설계시간계수로 도로 설계 시 4,708억 원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 결과의 지방부 4차로 도로에 대한 설계시간계수가 경제적으로 타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부 고속도로 설계시간계수(K) 추정방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제시 (Estimation Problem of Design Hour Factor (K) on Urban Expressways and its Improved Direction)

  • 김상구;강선욱;김영춘;고승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1-121
    • /
    • 2010
  • 도로계획 과정에서 차로수 설계에 필요한 장래 설계시간교통량은 설계시간계수 K를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다. 30번째 순위교통량(V30)과 년평균일교통량(AADT)의 상대적 비율인 K30은 일년 8,760개의 시간교통량 중에서 30번째 시간교통량을 기준으로 도로계획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도시 주변의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혼잡한 명절기간(설날, 추석 등)과 주말을 대상으로 시간교통량 순위를 살펴보면서 실제적으로 교통혼잡을 보인 명절기간 시간교통량이 의외로 낮은 순위에 위치에 있음을 밝혀내어 기존의 설계시간 교통량 추정방법에 문제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체시간교통량을 통행수요로 전환하여 교통수요 개념을 가지고 설계시간계수(K)를 추정하는 방법을 새롭게 제시하고, 기존 방법에 의한 설계시간계수 K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한 고속도로 터널구간의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ccident Forecasting Models in Freeway Tunnels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 박주환;김상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45-154
    • /
    • 2012
  • 본 논문은 고속도로 터널구간을 대상으로 교통사고특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다양한 독립변수를 선정하고 종속변수를 건, 건/km, 건/백만대km로 다양화하여 다중선형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모형들은 상호 비교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교통사고영향요인으로 구성된 신뢰성 있는 교통사고예측모형을 결정하였다. 교통사고예측모형은 모형의 $R^2$, F값 등 검정통계량 수준, 다중공선성, 잔차분석 등 모형검증과정이 수행되었고 터널구간의 교통사고특성 반영여부 등을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터널길이에 따라 총 2개의 모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종속변수는 ln(건/백만대km)이며, 독립 변수는 연평균일교통량(AADT), 종단구배, 터널높이로 구성되었다. 추정모형은 RMSE, MAE를 이용하여 예측한 값과 실제 관측값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터널구간의 교통사고를 설명하는데 적합한 모형으로 파악되었다.

관광지 종류별 일반국도 교통량의 시간별 특성 연구 (Analysis on Time Dependent Traffic Volume Characteristics on Highways linked to Recreation Areas)

  • 김윤섭;오주삼;김현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D호
    • /
    • pp.23-30
    • /
    • 2006
  • 임의의 도로에서 교통량 변동은 해당 도로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경제활동, 생활패턴을 반영한 결과이다. 또한 도로가 위치한 곳, 도로의 용도 등에 따라 시간에 따른 교통량 변동 특성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산지 관광부, 해양 관광부와 같은 관광지로 접근하기 위한 도로의 교통량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월 보정계수(Monthly Adjustment Factor), 요일 보정계수(Weekly Adjustment Factor), 그리고 설계시간계수(Design hourly Factor)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관광부 도로별 교통량 특성이 분석될 경우, 해당 도로의 적정 연평균일교통량(AADT) 및 설계시간교통량의 추정은 물론, 효율적인 교통소통정책 및 교통처리대책의 수립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도로용량편람 등의 개정을 위한 기초연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차량과속방지턱의 설치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Installing Speed Control Humps)

  • 문무창;장명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7-149
    • /
    • 1994
  • The objective of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speed control hump on traffic operation and accidents. Three sites were investigated for the change of traffic accidents before and after the hump installation. Vehicle speeds approaching the hump were also analyzed. The study revealed that not only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but also the accident severity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installation of hump. Further, different types of traffic accidents with lower severity were observed after the hump installation. For the effect of speed reduction by hump, it was found that the speeds observed at 15m upstream of hump were in the range of 36~50 percent of approaching speeds which were not affected by (ie, without) the hump. Economic analysis of hump installation showed the benefit-cost ratio of 4.3 and 11.2 at two sites.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the benefit by the accident reduction exceeds the cost by speed reduction and installation capital if AADT is below 43,150 vehicles on two lane highways. It is recommended from the study that humps should be considered on two lane highways of high accident locations for excessive speeds to reduce traffic accidents and severity.

  • PDF

오르막차선 설치기준 및 운영방안 평가 (Evaluation of Design Standards and Operation Practice of Climbing Lanes)

  • 유경수;장명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1-172
    • /
    • 1994
  • The objective of study is to evaluate design standards related to the allowable truck speeds, taper length and sign requirements together with the operating practices and economic justification for climbing lanes. Field surveys were carried out on seven climbing lanes, three on two-lane and four on four-lane freeways. Data collected are traffic volume, speed, usage rate and delay. It is found that current design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length of climbing lane, taper lengths, and traffic sign requirements must be upgraded. It is also recommended that regulations on the use of climbing lane be established to make it more effective. Further, econom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climbing lane is economically justified for two-lane and four-lane freeway if the AADT is over 4,577 and 5,116 vehicles respectively.

  • PDF

차량유형에 따른 교통사고심각도 분석모형 개발 (Developing the Traffic Accident Severity Models by Vehicle Type)

  • 김경환;박병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1-136
    • /
    • 2010
  • This study deals with the accident models of arterial link sections by vehicle type. The objectives a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ccidents, and to develop the models by type.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uses the data of 414 accidents occurred on 24 major arterial links in 2007. The main results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ccidents is analyzed to account for about 47% in passenger car, 15% in SUV and 10% in trucks. Second, 3 Poisson regression models which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re developed using passenger car, SUV and truck as dependant variables. Finally, AADT and the number of traffic islands as common variables, and the number of pedestrian crossings, lanes, connecting roads, intersections(4-Leg), rate of medians and the number of bus stops as specific variables of the models are selected.

로지스틱모형을 이용한 가로구간 사고모형 (Accidents Model of Arterial Link Sections by Logistic Model)

  • 박병호;임진강;한수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0-95
    • /
    • 2010
  • This study deals with the accident model of arterial link section in Cheongju. The objective is to develop the accident model of arterial link section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In pursuing the above, the study uses the 258 accident data occurred at the 322 arterial link sec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agellerke $R^2$ of developed accident model is analyzed to be 0.309 and t-values of variable that explains goodness of fit are evaluated to be significant. Second, the variables adopted in the model are AADT, the number of exit and entry. These variables are all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analysis of correct classification rate shows that the total accident of correct classification rate is analyzed to be 72.7% at the arterial link section.

한국의 지역간 철도 설계시간교통량 산정 방안 연구

  • 서용준;서선덕;김한영;서상교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13-1926
    • /
    • 2007
  • Number of highway lanes and level of service are based on the 30th, 60th or 100th highest hour volume of the target year. On the other hand, railroad design volume is generally expressed in average annual daily traffic (AADT). This procedure ignores attributes of railroad demand's concentration on peak days and hours. Actual data analysis represents railroad's peaking characteristics very similar to those of highw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a procedure in selecting design volume for railroad planning. This study presents a concept and the calculating procedure for railroad design hourly volume to analyze effect of railroad inves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