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chiisanensi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1초

물들메나무(Fraxinus chiisanensis)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재고(再考) (A Taxonomic Reconsideration of Fraxinus chiisanensis (Oleaceae) in Korea)

  • 민웅기;전정일;장진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266-276
    • /
    • 2001
  • 물들메나무(F. chiisanensis Nakai)의 분류학적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국내에 자생하는 4종(種)(쇠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 물들메나무, 들메나무)과 근연종으로 판단되는 중국, 일본의 F. platypofa Oliv.의 형태 및 flavonoids분석을 실시하였다. 물들메나무는 화서가 전년지(前年技)에 달리며 꽃잎이 없고 꽃받침이 존재하며, 나아(裸芽)(naked bud)를 가져 화서가 당년지(들에나무제외)에 달리거나 인아(鱗芽)(scaled bud)를 가지는 다른 3종(種)과 뚜렷이 구분되었다. 한편, flavonoids성분에서는 다른 3종(種)에서 flavonols와 C-glycosylflavone, flavanone 성분이 존재한 반면(물푸레나무형) 물들메나무에서는 3종류의 flavonoids 이외의 flavones성분이 확인(물들메나무형)되어 뚜렷한 종의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물들메나무는 전북 내장산, 덕유산, 충청북도 민주지산, 전라남도 지리산, 백운산 등 전라남북도에 국한하여 분포하는 우리나라 특산종으로서 기존의 들메나무와 물푸레나무의 자연 교잡종이라는 주장보다는 독립종으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다. 특히, 형태적 특정에 의해 물들메나무는 들메나무아속(亞屬)(subgen. Fraxinus) 물들메나무절(節)(sect. Melioides)에 속하지만 중국과 일본의 물들메나무절(節)의 F. platypoda Oliv.는 인아(scaled bud)를 가지며 사과의 날개가 꽃받침까지 내려오며 화학적으로는 물푸레나무형이 확인되어 물들메나무와는 근연관계가 없고 오히려 북미대륙에 분포하는 동일 절(section)의 4종이 물들메나무에 더 가까운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erpenoids from the Fruits of Acanthopanax chiisanensis

  • Lee, Jeong Min;Cho, Sunghun;Lee, Myoung-Hee;Cho, Seon Haeng;Park, Chun-Geon;Lee, Sa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1권2호
    • /
    • pp.82-86
    • /
    • 2015
  • Phytochemical constituents were isolated from the fruits of Acanthopanax chiisanensis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beta$-sitosterol (1), daucosterol (2), sesamin (3), chiisanogenin (4), and $22\alpha$-hydroxy chiisanogenin (5) by spectroscopic analysis (MS, 1H-, and 13C-NMR). Compounds 1 - 5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fruits of A. chiisanensis.

지리 오갈피의 FcεRI α chain 발현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canthopanax chiisanensis Ethanolic Extracts on FcεRI α Chain Expression)

  • 심선엽;성찬기;이상원;최영주;김형락;변대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11-1516
    • /
    • 2007
  • 호염기구와 비만세포는 $Fc{\varepsilon}RI$을 매개로 한 알러지 반응에 있어 효과세포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인간 유래 호염기구성 세포주 KU812F 세포의 $Fc{\varepsilon}RI\;{\alpha}$ chain 발현에 있어 지리 오갈피의 저해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지리 오갈피의 뿌리 및 줄기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Fc{\varepsilon}RI\;{\alpha}$ chain 저해 활성 실험에 이용하였다. 세포 표면의 $Fc{\varepsilon}RI\;{\alpha}$ chain 발현량을 flow cytometry로 분석한 결과, 지리 오갈피 뿌리 및 줄기 추출물에서 세포표면의 $Fc{\varepsilon}RI$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지리 오갈피 뿌리 및 줄기 추출물은 $Fc{\varepsilon}RI\;{\alpha}$ chain mRNA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Fc{\varepsilon}RI$을 매개로 한 히스타민 유리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지리 오갈피의 뿌리 및 줄기 추출물이 $Fc{\varepsilon}RI\;{\alpha}$ chain 발현의 저하 조절 및 히스타민과 같은 염증매개인자의 분비를 저하시킴으로서 항 알러지 활성을 갖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리산오갈피와 섬오갈피의 생육특성 및 자생지 식생조사 (Growing features and Vegetation at natural growth area of ristics of Acanthopanax chiisanensis and Acanthopanax koreanum)

  • 임병선;이점숙;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5-132
    • /
    • 1999
  • 본 연구는 1997년 9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지리산과 한라산 일대에 분포하는 지리산오갈피군락과 섬오갈피 -곰솔군락 자생지의 생육특성과 식생을 조사하였다. 지리산오갈피군락은 지리산 노고단(1507m)과 반야봉 방향의 임걸령재(1300m)주변과 한라산 1100고지 주변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구성종중 신갈나무, 오미자, 산수구, 당단풍, 관중, 노루삼, 산꿩의 다리,구상나무, 새 등이 상재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지리산과 한라산지역에서 공동으로 출현한 종은 당단풍, 관중, 작살나무, 담쟁이덩굴, 고로쇠나무, 곰취, 애기나리, 졸방제비꽃, 이삭바꽃 등이 나타났다. 섬오갈피-곰솔군락은 제주도 외도 월태부락주변에서 소규모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각시마, 사위질방, 으름, 실고사리 , 마삭줄, 계요등, 여우팥, 까마귀머루, 송악 등의 만경식물이 교목과 아교목층에 곰솔, 산팽나무, 예덕나무 등을 중심으로 혼생하고 있었다. 현재 본 조사지역에 더 이상 인위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이 지역에 분포하는 지리산오갈피는 구상나무-지리산오갈피군락으로 변화가 예상된다. 조사지역의 토양환경은 섬오갈피군락에서는 pH는 6.56, 전기전도도는 0.258mm ho/cm로 높고, 지리산오갈피군락에서는 유기물함량 25.16-25.35%와 총질소 7.58-9.30mg/g으로 높았다. 한라산과 지리산의 지리산오갈피군락에서는 한라산에서 pH 5.76, 전기전도도 0.238mmho/cm, 총질소 9.30mg/g, 총인 0.126mg/g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yperin from Acanthopanax chiisanensis Roots

  • Lee, Sang-Hyun;Jung, Sang-Hoon;Lee, Yeon-Sil;Yamada, Masateru;Kim, Bak-Kwang;Ohuchi, Kazuo;Shin, Kuk-Hy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6호
    • /
    • pp.628-632
    • /
    • 2004
  • The chloroform 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s from the roots of Acanthopanax chiisanensis exhibited a significant inhibition of prostaglandin E$_2$ (PGE$_2$)production in rat peritoneal macrophages stimulated by the protein kinase C activator, 12-O-tetradecanoylphorbol 13-acetate (TPA). Hyperin was isolated as an active principle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It sup-pressed not only $PGE_2$ production but also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vitro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ir $IC_{50}$, being 24.3 and $32.9{\;}{\mu}M$, respectively. Hyperin also caused a significant inhibition of increase in acetic acid-induced vascular permeability in mice in vivo.

계룡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in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 오현경;변무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33-644
    • /
    • 2009
  • The vascular plants in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were listed 227 taxa; 71 families, 148 genera, 196 species, 1 subspecies, 26 varieties and 4 forms, Among them, trees and herbs were 103 taxa (45.4%), 124 taxa (54.6%), respectively. The rare plants were identified 6 taxa such as Paeonia obovata (Legal protection species), Viola albida, Acanthopanax chiisanensis, Lilium distichum, Lilium callosum and Goodyera schlechtendaliana by the Korea Forest Service.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8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Pseudostellaria multiflora, Thalictrum uchiyamai, Indigofera koreana, Acanthopanax chiisanensis, Asperula lasiantha, Weigela subsessilis and Carex okamotoi. Based on the list of approved for delivering overseas of plants, 6 taxa were recorded; Viola albida, Acanthopanax chiisanensis, Asperula lasiantha, Carex okamotoi, Lilium distichum and Lilium callosum.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1 taxa (9.3%); Paeonia obovata in class V, 5 taxa (Betula davurica, Acer palmatum, Asperula lasiantha, Lonicera subhispida, Phaenosperma globosa) in class III, 4 taxa (Viola orientalis, Acanthopanax chiisanensis, Ostericum melanotilingia, Lilium distichum) in class II and 11 taxa (Cephalotaxus koreana, Betula schmidtii, Quercus variabilis, Aphananthe aspera, Ilex macropoda, Meliosma oldhamii, Tilia amurensis, Lilium callosum, Erythronium japonicum, Polygonatum inflatum, Hosta capitata) in class I. It is important that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will be needed for pre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of Gyeryongsan National Park. As well, a long time of monitering and systematical management counterplan will be required.

조록싸리 종내분류군과 잡종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infraspecific taxa of Lespedeza maximowiczii and hybrids with related species)

  • 진동필;박종원;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00-318
    • /
    • 2019
  • 조록싸리(Lespedeza maximowiczii) 내에 많은 종내분류군들 및 근연분류군과의 잡종들이 기록되었지만,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에 대해서는 학자들간에 이견이 있다. 본 연구는 조록싸리와 근연분류군간 잡종인 지리산싸리(L. chiisanensis), 진도싸리(L. patentibicolor) 및 조록싸리의 종내분류군인 털조록싸리(var. tomentella), 늦싸리(var. elongata), 삼색싸리(var. tricolor)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외부형태를 관찰하고 microsatellite를 이용하여 유전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털조록싸리와 늦싸리의 꽃과 잎의 형태는 조록싸리의 변이폭에 속했고, 유전적으로도 두 분류군이 조록싸리와 같이 묶였다. 삼색싸리는 꽃의 구조와 색에서 근연종인 L. buergeri와 유사한 반면 소엽 정단부와 소포엽의 형태는 조록싸리와 가까웠다. 유전적 구조에서도 삼색싸리의 개체들은 조록싸리와 L. buergeri의 계통이 혼합된 형태를 보이거나(K = 3), 독립되었다(K = 5). 잡종들의 경우, 지리산싸리의 꽃과 잎의 형태는 조록싸리와 구별되지 않는 반면, 진도싸리의 꽃 형질은 싸리(L. bicolor)의 변이폭에 속했는데, 유전적 계통도 각각 조록싸리와 싸리로 지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저자들은 털조록싸리와 늦싸리를 조록싸리의 품종, f. friebeana (Schindl.) D. P. Jin, J. W. Park & B. H. Choi로 처리하였는데, 이는 L. friebeana가 var. tomentella 보다 먼저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삼색싸리는 독립종, L. tricolor (Nakai) D. P. Jin, J. W. Park & B. H. Choi 로 처리하였고, 지리산싸리는 조록싸리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한편 진도싸리는 싸리의 이명으로 판단된다.

A Preliminary Population Genetic Study of an Overlooked Endemic ash, Fraxinus chiisanensis in Korea Using Allozyme Variation

  • Lee, Heung Soo;Chang, Chin-Sung;Kim, Hui;Choi, Do Yeol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5호
    • /
    • pp.531-538
    • /
    • 2009
  • We used enzyme electrophoresis to evaluate genetic diversity in five populations of endemic ash, Fraxinus chiisanensis in Korea. Of 15 putative allozyme loci examined 26.7% were polymorphic and expected heterozygosity for the species was low (0.082). Within the range, population were highly differentiated ($F_{ST}$=0.356) and little genetic variation was explained by geography. The pattern of distribution of variation showed low genetic variation within populations and pronounced divergence among populations,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for the effects of limited gene flow and local genetic erosion. Although the frequencies of male plants were dominant ranging from 79.3% to 89.4%, most mating events seems to be inevitable mating between relatives in small populations based on heterozygote deficiency of this species. Small effective population size and the limited dispersal contributed to the low rates of gene flow within as well as between populations.

오가피잎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O Ga Pi Ip')

  • 이은숙;박종희
    • 생약학회지
    • /
    • 제37권1호통권144호
    • /
    • pp.1-10
    • /
    • 2006
  • 'O Ga Pi Ip' has been used in Korea to cure rheumatism, neuralgia, edema, dematopathy, and impotence.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has not been confirmed pharmacognostically.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O Ga Pi Ip',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ves of Acanthopanax species growing in Korea and Japan, A. chi-isanensis Nakai, A. Koreanum Nakai, A. rufinerve Nakai, A. senticosus (Rupr.et Maxim). Harms, A senticosus (Rupr.et Maxim.) for inermis Harms, A. seoulense Nakai, A sessiliflorus (Rupr. et Maxim.) Seem, A. divaricatus Seem, A. sieboldianum Makino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O Ga Pi Ip' was the leaf of A. sessiliflorus (Rupr. et Maxim.) Seem, A chiisanensis Nakai, and A. koreanum $Nakai_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