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90 hr-$LC_{50}$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3초

조피볼락과 참돔 유어에 대한 암모니아 독성 비교 (Comparison of Acute Toxicity of Ammonia in Juvenile Rockfish and Red Sea Bream)

  • 조성환;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29-435
    • /
    • 1998
  • 조피볼락 초기 사육시 발생하는 대량 폐사 원인의 하나로 수질악화를 들 수가 있다. 수질악화의 주요원인이 되는 어류의 주요대사물인 암모니아에 대한 조피볼락의 내성을 참돔과 비교, 분석하였다. 사육수조 내에 통기를 시키지 않을 경우 산소 부족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큰 어체가 작은 어체에 비해 암모니아 독성에 대한 내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피볼락의 경우, 용존산소량이 높을 때 (통기를 시킬 때), 6 시간이나 96 시간에서의 $NH_45^+$의 반수치사농도가 용존산소량이 낮을 때 (통기를 시키지 않을 때)보다 높아서 수중의 용존산소량이 암모니아 독성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보였다. 또한, 조피볼락과 참돔의 96 시간에서의 $NH_4^+$ 와 비이온화된 $NH_3$ 의 반수치사농도 결과를 비교해 볼 때, 조피볼락은 참돔에 비해 암모니아에 대한 내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otifer(Brachionus plicatilis)의 생존율에 미치는 tributyltin (TBT)과 triphenyltin (TPT)의 독성 (Toxicity of TBT and TPT Compounds on the Survival of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 전중균;이미희;이지선;이경선;심원준;신영범;이수형
    • 환경생물
    • /
    • 제21권2호
    • /
    • pp.158-163
    • /
    • 2003
  • 유기주석화합물은 독성이 강하고 잔존력이 감하여 수계환경으로 유입되면 해양생태계에 오랫동안 영향을 미친다 이들 화합물이 해양생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어류나 패류 등의 산업적 가치가 큰 생물종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지 않지만, 해양생태계에서 먹이사슬의 가장 하부에 위치하며 기초생산을 담당하는 플랑크톤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BT류의 TBTC, TBTO, TBTA, TBTB를 비롯하여 TPT류의 TPTC, TPTF, TPTH가 기수산 rotifer의 생존에 미치는 독성(96 hr-LC$_{50}$)을 조사.비교하였다. 그 결과, TBT류에서는 TBTA(1.1 ppb)가 가장 강하였고 TBTC (2.0), TBTB (3.3), TBTO (5.6)의 순이었으며, TPT류에서는 TPTF (1.0), TPTC (1.1), TPTH(1.6)의 순이었다. 이 결과는 TPT류가 전반적으로 TBT류에 비해 독성이 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다.

동자개 (Pseudobugrus fulvidraco) 치어의 생존 및 성장에 미치는 Parathion의 영향 (The Toxic Effects of Parathion on Survival and Growth of Juvenile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 조규석;박종호;지정훈;강주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80-384
    • /
    • 2004
  • The toxic impact of parathion on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juvenile was examined 96 hr $LC_{50}$ value of parathion estimated as 1 90 mg/L. Chronically, bagrid catfish were exposed for 30 days to concentrations of parathion, i.e. 63, 95, 190 and $380\;{\mu}g/L$, representing 3.3, 5.0, 10.0 and $20.0{\%}$ of the 96 hr $LC_{50}$.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ver $63\;{\mu}g/L$ after 10 days. Growth rate, specific growth rate (SGR) and feed efficiency were reduced in time as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Growth rates of the exposed grou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28.06-60.63{\%}$ to the control fish, SGR was decresed as $1.50-4.72{\%}$ and feed efficiency was declined as $6.10-11.90{\%}$. It can be concluded that if p. lulvidraco is chronically exposed to parathion over $63\;{\mu}g/L$ concentration, the physiological damages might affect growth factors of the fish.

메틸사이클로핵산 (methylcyclohexane)의 흡입독성과 유해성 평가 (A Study on the Hazardousness Evaluation and the Inhalation Toxicity of Methylcyclohexane)

  • 김현영;이성배;강민구;송시환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2호
    • /
    • pp.173-184
    • /
    • 2006
  • From the harmfulness expectation test conducted through a toxicity anticipation program, methylcyclohexane turned out to be harmful and simulative, but no carcinogenicity was anticipated. In a four-hour acute inhalation toxicity test, the result showed that lethal concentration ($LC_{50}$) was 3,750 ppm (15,054 mg/L), which was identified as a harmful substance on the basis of the harmful substance classification standard $2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methylcyclohexane fell under the category $4(2,500 substance from the GHS standard acute toxicity harmfulness classification. Also, from subchronic inhalation toxicity test that included 6 hours a day, five days a week, and for 13 weeks, we could observe weight, activity, long term weight, blood and blood biochemical influence from the exposure of test substance. No-observed effect level (NOEL) was determined below $100{\sim}400ppm$ inboth male and female. This material falls under the Category 2 ($50{\sim}250ppm/6hours/90days$) in the GHS (Globally Harmonized System) standard trace long-term whole body toxicity repeated exposure, and can be classified as a harmful sub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harmful substance standard $NOEL{\leq}0.5mg/L/6hr/90day$ (rat).

Evaluation of the Bioequivalence of Two Brands of Naltrexone 50 mg Tablet in Healthy Volunteers

  • Baek, In-Hwan;Yun, Hwi-Yeol;Kang, Won-Ku;Kwon, Kwang-Il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9-74
    • /
    • 2006
  • 날트렉손은 ${\mu}-opioid$ 수용체에 특이적이고 선택적으로 길항작용을 나타내어 마약이나 마약성 진통제의 강한 의존성 치료에 쓰일 뿐만 아니라, 알코올 의존성 치료에도 쓰이는 약물이다. 본 연구는 날트렉손 제제인 레비아 정 (50 mg tablet, 제일약품) 을 대조약으로 하여 시험약인 명인 제약의 트락손 50 mg정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를 하기 위해 22명의 건강한 지원자를 모집하였다. 지원자를 두 군으로 나누어 1정씩 투여하였고 $2{\times}2$ 교차시험을 실시하였다. 날트렉손의 혈장 중의 농도를 정량하기 위하여 발리데이션된 LC/MS/MS를 사용하였다. 채혈 시간은 투약 전 및 투약 후 0.25, 0.5, 0.75, 1, 1.5, 2, 3, 4, 6, 9, 12 시간에 걸쳐 시행하였다. 생물학적 동등성을 판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12시간까지의 혈장 중 농도 곡선 하 면적$(AUC_{12hr})$과 최고 혈중 농도 $(C_{max})$를 사용하였다. $AUC_{12hr}$의 평균은 $43.45ng{\cdot}hr/ml$ (시험약)과 $43.31ng{\cdot}hr/ml$ (대조약) 으로 관찰되었고, $C_{max}$의 경우 각각 12.01 ng/m1 (시험약)과 12.27 ng/ml (대조약)으로 관찰되었다. $AUC_{12hr}$의 경우 로그변환 한 평균치 차의 90%의 신뢰구간이 log0.95-log1.07이었고, $C_{max}$의 경우 log0.87-log1.14로 계산되어 두 항목 모두 log0.8-log1.25이어야 한다는 식품의약품 안전청과 FDA의 기준을 모두 만족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시험약 트락손 정 50mg 은 대조약 레비아 정 50 mg에 대하여 생물학적으로 동등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 PDF

곤쟁이, Neomysis japonica에 대한 여러 가지 중금속의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Various Heavy Metals on Mysid, Neomysis japonica)

  • 민은영;김용석;김성수;김성길;황운기;강주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28-632
    • /
    • 2009
  • In order to estimate acute toxicity of various heavy metals on mysid, Neomysis japonica,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renewal bioassay method at $20\pm0.5^{\circ}C$ and $30\pm0.3$ psu salinity. The 96 hr $LC_{50}$ of Neomysis japonica exposed to cadmium, copper, zinc, arsenic, lead and chromium were $90.4\;{\mu}g/L$, $82.3\;{\mu}g/L$, $646.1\;{\mu}g/L$, $1488.5\;{\mu}g/L$, $1758.8\;{\mu}g/L$ and $1609.6\;{\mu}g/L$, respectively, and were ranked in order of toxicity: copper > cadmium > zinc > arsenic > chromium > lead.

트리테이스프로텍트 ®정(라미프릴 10mg)에 대한 라미프린 ®정의 생물학적동등성 (Bioequivalence of Ramiprin® tablet to Tritace Protect® tablet (Ramipril 10 mg))

  • 오수연;조종태;김형건;김윤균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1호
    • /
    • pp.73-78
    • /
    • 2008
  •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two ramipril formulations, a standard 2-way randomized cross-over study was conducted in twenty-six healthy male Korean volunteers. A single oral dose of 10 mg of test formulation $Ramiprin^{(R)}$ (tablet) or reference formulation Tritace $Protect^{(R)}$ (tablet) was administered with one-week washout period. Plasma concentrations of ramipril were assayed over a period of 12 hr with a well validated method using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The values of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from time zero to last sampling time $(AUC_t)$ and from time zero to time infinity $(AUC_{inf})$ were $77.45{\pm}44.78\;and\;78.96{\pm}45.64$ for test, and $70.30{\pm}42.27\;and\;71.99{\pm}43.55ng\;hr/mL$ for reference formulation, respectively. Similarly, maximum concentration $(C_{max})$ and elimination half-life $(t_{1/2})$ were $65.61{\pm}19.96ng/mL$ and $2.15{\pm}0.75hr$ for test, and $63.63{\pm}25.50ng/mL$ and $2.16{\pm}0.73hr$ for reference formulations, respectively. Time to reach maximum concentration $(T_{max})$ for the test and the reference, were $0.51{\pm}0.22hr\;and\;0.52{\pm}0.18hr$, respectively. The parametric 90% confidence intervals on the mean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ormulations (test-reference) of the log-transformed values of $AUC_t\;and\;C_{max}$ were 1.03 to 1.19 and 0.98 to 1.17, respectively.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the two formulations are bioequivalent and can be prescribed interchangeably.

곤쟁이, Archaeomysis kokuboi에 미치는 phenol의 급성 및 만성독성 (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Phenol to Mysid, Archaeomysis kokuboi)

  • 김정선;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7-97
    • /
    • 1995
  • 연안 천해에 서식하는 근저성 (epibenthic) 동물플랭크톤의 일종인 곤쟁이, A. kokuboi를 수온 $25^{\circ}C$와 염분 16, 24 및 $32\%o$에서 Artemia sp. 부화유생을 먹이로 공급하면서 성체와 치하에 대한 페놀의 급성 및 만성독성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 실험구에서 시간경과별 반수치사농도는 성체의 경우 31.31-l.49ppm 페놀도 범위였으며, 치하에서는 6.90-0.26ppm범위였다. 페놀에 의한 폐사율은 염분이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성체에 대한 페놀의 96hr-반수치사농도는 염분 16, 24 및 $32\%o$에서 각각 1.49, 2.71 및 4.53ppm였으며 치하에서는 동일 염분에서 각각 026, 0.56 및 0.71ppm였다. 치하에 대한 성체의 96시간-반수치사농도의 비는 염분 16, 24 및 $32\%o$에서 각각 5.73, 4.84 및 6.38로서 성체에 비해 치하가 훨씬 더 민감했다. 성체와 치하의 반수치사시간 $(LT_50)$을 비교하면, 성체는 페놀실험농도 1.7-12.7ppm 범위에서 반수치사시간은 384.7-29.0 시간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치하의 경우 페놀실험농도 0.5-6.0ppm 범위에서 반수치사시간은 132.2-18.7 시간의 범위였다. 성체와 치하에서 가장 낮은 반수치사시간값은 페놀의 실험최고농도와 최저실험염분의 조합구에서 나타났으며, 성체보다 치하가 훨씬 낮은 값을 보였다. A kokuboi 성체에 대해 아치사영향농도와 그 반농도에서 행한 장기생존영향을 보면, 염분 $32\%o$에 폭로된 개체들이 16 또는 $24\%o$ 염분구에 폭로된 개체들보다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성체의 산소소비율은 페놀의 농도가 증가하고 폭로시간이 경과할수록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동일한 페놀 농도에서도 염분이 낮을수록 현저히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곤쟁이, A kokuboi는 페놀독성에 대해 매우 민감한 생리적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생물검정을 위한 지표생물로서의 가능성이 기대된다.

  • PDF

17-DMAG이 마우스 골격근에서 autophagy flux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7-DMAG Administration on Autophagy Flux in Mouse Skeletal Muscle)

  • 주정선;이유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87-397
    • /
    • 2016
  • 본 연구는 17-DMAG이 골격근에서 autophagy에 관여하는 가를 조사하기 위해, C2C12세포와 마우스 골격근에서 17-DMAG (Hsp90 억제제/Hsp72 활성제)을 처치하는 그룹과 autophagy 억제제(Bafilomycin 또는 colchicine)를 처치하는 그룹과 처치하지 않는 그룹을 동시에 두고 autophagy flux를 측정하였다. C2C12 배양세포에서 17-DMAG이 Hsp90 억제/hsp72 활성화시켰으며 Akt-mTOR 신호체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지만(p<0.05) autophagy marker 단백질인 LC3 II와 p62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in vivo 모델의 경우 17-DMAG 처치가 배양세포에서 발견된 것처럼 Hsp90억제/hsp72를 활성화시켰고 Akt-mTOR 신호체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5). 반면 LC3 II와 p62 단백질 수준은 autophagy 억제제(colchicine) 처치 수준보다 더 높게 증가되었다. 이는 17-DMAG이 골격근에서 autophagy를 증가시키지만 C2C12 배양세포에서는 autophagy의 활성화가 제한적임을 암시한다. 현재 이러한 in vitro와 in vivo 모델에서의 차이는 불분명하다.

유기농업자재 고삼, 님 및 데리스 추출물의 어류에 대한 독성과 위해성 평가 (Evaluation of Fish Acute Toxicity and Preliminary Risk Assessment of Plant Extracts, Sophora, Neem and Derris)

  • 박경훈;오진아;백민경;손미연;임정택;진정화;홍순성;조남준;한상균;김병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5-263
    • /
    • 2015
  • 최근 유기농업자재의 주요 원재료인 고삼, 님, 데리스 등의 식물추출물은 중국, 미얀마, 인도 등 외국에서 수입하여 해충방제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본 논문은 이들 세가지 식물추출물에 대한 독성과 위해성을 평가하 여 유기농업자재의 관리와 환경생물보호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잉어 48시간 반수치사농도와 무영향농도는 고삼추출물은 7.9, 6.2 mg/L, 님추출물은 26.8, 21.8 mg/L, 데리스추출물은 47.0, < 24.0 mg/L으로 독성이 낮았다. 미꾸리 48시간 반수치사농도와 무영향농도는 고삼추출물은 16.9, 10.0 mg/L, 님추출물은 35.6, 30.0 mg/L, 데리스추출물은 73.9, < 40mg/L로 독성이 낮은 수준이었다. 고삼추출물 자재의 논, 배수로 및 강에서의 물중 추정농도는 각각 68.0~3.0, 11.33~0.50 3.0~0.0018 mg/L이었고, 독성노출비는 논, 배수로 및 강물에서 각각 0.2~5.6, 1.5~33.8, 2.6~4388.9이었다. 논이나 배수로에서의 미꾸리에 대한 위해성과 강에서의 잉어에 대한 위해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님추출물의 논물, 배수로물 및 강물 중 추정농도는 각각 90.9~1.2, 15.2~0.2, 4.8~0.00075 mg/L이었고 독성노출비는 각각 0.4~29.7, 2.3~178.0, 4.5~35733.3이었다. 논에 사용하는 님추출물 중 독성노출비로 평가하였을 때 미꾸리에 위해가능성이 있는 자재가 있었으나 사용량이 많은 것이 원인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였고, 배수로나 하천에서는 어류에 대한 위해성이 낮았다. 데리스추출물 5종의 경우 독성노출비가 5222~15667로서 위해성이 매우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