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th N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27초

고등학교 화학 I 교과서의 환경 관련 단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High School Chemistry - I Textbook)

  • 남명하;남영숙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2호
    • /
    • pp.16-2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unit objectives and contents associated with environment are reflected on the 6 kinds of chemistry- I textbooks in the 7th curriculum and to present how to deal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chemistry- 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ts associated with environment account for an average of 43.7% on chemistry- I in 7th curriculum. Second, contents of uni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on chemistry- I in 7th curriculum are environmental pollution(17.8%),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15.9%), environmental hygiene(12.2%), and any other things, Environmental pollution takes up a considerable par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rd, the results for analyzing the objectives of chemistry- I in 7th curriculum show that Information Knowledge Awareness(34.0%) and Skill (29.9%) take up most parts. Fourth, Orientation (I) as analysis standard for objective of the uni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accounts for 10.2% of the total. It is clear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s carried out from STS point of view. In conclusion, environmental education in Chemistry- I focuses on fostering students' ability to apply the fundamental notion of chemistry to real life associated with environ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n Chemistry- I should include value, attitude and participation and that improve students' ability to approach the environmental problem comprehensively.

  • PDF

수학 I 검정교과서 확률통계 영역에 대한 연구 (A Study on 7th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In Mathematics 1 Textbooks in Korea)

  • 이상복;손중권;정성석
    • 응용통계연구
    • /
    • 제18권1호
    • /
    • pp.197-21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통계교육을 위하여,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중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검정교과서 수학 1과 국정교과서 확률과 통계의 확률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용어와 개념 및 표현을 비교, 연구하였다. 검정과 국정교과서의 표본표준편차의 정의가 일치되지 않았으며, 표분평균의 분산과 중심극한정리에 대한 개념설명이 교과서마다 상이하였다. 또한, 확률변수 개념 설명이 불분명 한 교과서도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오류의 수정과 더불어 표본분산으로 불편추정량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기술ㆍ가정교과 수업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제주도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anagement and Problems in the Instruction of the Subjec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under the Implementa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

  • 고인숙;김혜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7-86
    • /
    • 2003
  • 이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기술ㆍ가정 과목의 실시로 과거 가정교과와 기술ㆍ산업 교과의 통합에 따른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개선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제주도에서 기술 가정 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로서, 현재 제주도의 가정과 교사 100명 중 기술ㆍ가정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 89명(제주도 교육청. 2003)과 기술ㆍ가정과목을 맡고 있는 40명의 기술전공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현재 기술 가정교과가 비인기 과목으로 취급되는 이유를 무엇보다도 입시에서 주요과목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현재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기술ㆍ가정 교과가 기술과 가정교과의 통합이 아니라 병합이라는 것과 두 교과의 내용 구성에 연관성 체계성이 없는 것과 같은 교과관련 요인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앞으로 효율적인 기술ㆍ가정 교과 운영을 위해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교과관련 요인 중 교사 개인의 잡무 해결과 국가 및 지방단체에서의 충분한 교원수급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 PDF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An Analysis for Gender-Role Stereotyping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유지연;이지현;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553-561
    • /
    • 2011
  • In this study, the illustrations in 16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he aspect of gender-role stereotyping,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frequencies of male and female who appeared on textbook illustrations were counted, and the types of activities and the characters of them were analyzed. Most pupils were found to be active, and female pupils appearing in the textbooks were more than male pupils. In all types of activities for pupil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Male and female pupils were illustrated in learning activities with almost equal frequencies, but male pupils were still more frequently represented than female pupils in other activities. Gender difference in adults was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houseworks was not large, but the difference in outdoor activ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specially, the jobs of adults were illustrated as male-centered, and scientists appearing in the textbook illustrations were also mostly male.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공간감각활동을 위한 교구 개발 및 그 효과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developing childrens' spatial sen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analysis of its effects)

  • 이동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9권2호
    • /
    • pp.119-134
    • /
    • 2005
  • The goal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velop the materials which help students develop spatial sense in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o accomplish those goal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contents of spatial sense. After analyzing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principle for developing the teaching aids focusing the realization of the contents in the spatial sense was set up. And then various teaching materials which can enhance students' spatial sense was developed. It is consist of 17 kinds of concretely operating materials, 7 kinds of tangram papers, one web-material. To verify the effect of the materials, surveyed the usability of the materials and two classes was selected and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rough this application, several conclusion were drawn. First, a survey result says that teachers thought materials developed would be effective in developing spatial sense. Second, the materials developed were effective to develop spatial sense. The score gained by the experiment group after the treatmen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materials developed helped children to develop spatial sense.

  • PDF

정교화이론에 의한 건설교과서의 교과내용 비교.분석 -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정교과서 중심으로 (Comparing and Analyzing Construction Textbook by Elaboration Theory - Centered with National Textbook of 7th curriculum and the new revised curriculum)

  • 박지연;박준성;박완신;장영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9-12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Reigeluth 의 정교화이론에 의한 공업계 고등학교 건설 교과서 10종을 비교 분석하여 제시 요소를 파악하고 차후 교과서 편찬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 건설과의 7차 교육과정 교과서와 2007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를 분석 하여 비교가능한 대단원을 추출하고 둘째, 정교화 이론에 의한 7가지 전략 요소에 비추어 7차 교육과정 교과서 5종과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5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교화 과정은 각 과목별 성격에 따라 개념적, 절차적, 이론적 정교화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둘째, 7가지 전략요소 중 인지전략의 활성자가 가장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비유는 10종 교과서 모두에서 활용되고 있지 않았고, 선수학습능력의 계열화 전략은 간단한 사진과 설명으로 제시되었을 뿐, 실제적으로 선수학습능력을 진단해보는 요소는 전 교과서가 미흡하였다. 셋째, 7차 교육과정 교과서가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 비하여 요약자 전략이 활발히 활용되었다. 넷째, 5종의 교과서 중 토목재료 시공을 제외한 전교과서는 6가지 전략 요소를 활발히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론과목에서 이론실습통합 과목보다 요약자 전략이 많이 사용되었고, 학습자 통제 전략은 오히려 이론실습통합 과목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제7차 과학교육과정의 탐구 요소들에 의한 화학(II)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An Analysis of Inquiry Area in the Chemistry(II) Textbooks by the Inquiry Elements Based on the 7th Science Curriculum)

  • 강대호;정수군;구인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645-658
    • /
    • 2003
  • 이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 II 교과서의 탐구영역을 제 7차 과학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탐구 요소들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화학 II 교과서의 탐구영역이 제 7차 과학 교육과정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알아보고 현장 탐구학습의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기초 탐구요소들은 분류를 제외하고는 제 7차 화학 II교과서에 대체로 찰 반영되어 있었으나, 통합탐구 요소들은 자료해석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결론도출, 자료변환 등을 제외한 통함 탐구요소들은 이주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탐구활동 요소들도 조사의 비율 이 전체 탐구활동의 100/0미만이고, 과제연구는이주적고, 견학은나타나지 않았다 제 7차과학 교육과정에서는 고학년의 탐구학습 일수록 다양한 통합탐구 요소와 탐구활동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현장의 탐구학습에서는 이러한 화학 R 교과서의 미흡한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탐구학습을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A Study of Current Work in Curriculum Development for School Mathematics in Korea towards the 21st Century

  • Koo, Kwang-J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권1호
    • /
    • pp.7-12
    • /
    • 1997
  •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is supposed to maximize individual strength and possibilities of the students, and to maximize educational efficiency by differentiating the instructions according to students' abilities, aptitudes, needs and interest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suggested a stepwise model for school mathematics. This model is named "Stepwise Curriculum Differentiation"(段階別 敎育課程 差別化).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make a specific proposal for the 7th curriculum. Our proposal reflects fully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is also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history up to the present time. It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continuing work of curriculum reformation. We suggest dividing the contents of mathematics for 1-10th graders into about 15 steps, to use the step-based textbooks instead of the grade-based ones, and to prepare evaluation standards for each step. We also suggest that the classes for grades 11-12 be organized according to their optional courses and/or their steps.

  • PDF

제7차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An Evaluative Study on the 7th National Elementary-school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1028-103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수준에서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3개 시도의 140개표집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울러 7개 학교를 방문하여 18시간의 과학 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후 심층 교사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 자료를 기초로 과학과 교육과정의 각 구성요소별로(즉, 목표, 내용, 방법 및 평가)(1)운영(재구성) 실태와 (2)재구성 내용에 반영된 학습자 중심 및 다양화 특성화 측면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교사 차원의 교육과정 재구성이 어려운 이유 및 개선점을 점검하였다. 대부분의 초등 교사들은 과학과 수업목표는 물론 내용, 방법 및 평가의 모든 측면에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그대로 답습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었으며, 재구성 시도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에게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이란 내용 제시 순서를 바꾸거나 일부 단원이나 주제를 첨삭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이에 대한 원인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제언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초등수학에서 교구의 활용에 대한 선행연구물의 활용 방안 (An Effective Approach to Utilize Prior Studies Based on Using Teaching Tools)

  • 김해규;박선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79-205
    • /
    • 2006
  • 제 7 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여 이에 대한 실천 방안으로 활동중심 교육과정의 전개를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활동중심의 수업에서는 교구를 활용한 수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교구를 활용하여 초등수학 수업을 개선하려는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초등교사가 수업시간에 적절하게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들이 교구를 활용한 초등수학교육 관련 선행연구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 7 차 교육과정 $4{\cdot}5{\cdot}6$단계 수학교과서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교수 학습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