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th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667건 처리시간 0.025초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PBL 부분통합 교과과정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PBL Hybrid Curriculum Examin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 김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43-354
    • /
    • 2019
  •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PBL 부분통합 교과과정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이며, 총 25명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의미있는 주제를 찾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PBL 부분통합 교과과정의 비효율성 2) 학습에 대한 불안 3) PBL 운영에 대한 불만 4) 조별활동의 어려움 5) PBL에 대한 수용 6) 변화와 만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을 제안한다. PBL에서 학습내용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과 과정평가 비중을 높여 PBL 평가의 본래 취지를 살려야 할 것이며 PBL 전문가와 전문부서에 의한 세분화된 튜터 교육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실과와 가정교과서 식생활 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The Analysis on Relatedness of contents about ′Nutrition and Foods′ which are dealt in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Subjects)

  • 양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41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실과와 기술 가정교과서 내용 중 식생활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학년간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대상은 1종 교과서인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실과교과서와 중, 고등학교의기술ㆍ가정교과서이다. 기술ㆍ가정교과서는 중학교 1, 3학년과 고등학교까지 출판된 교과서 중 5종을 추출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먼저 학년별로 목표와 내용체계를 정리하였고, 연계성 분석을 위한 준거기준을 정리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분야는 영양학, 식품학, 급식경영학의 체계로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제시되는 목표와 교육내용체계는 출판사별로 일치하고 있으나 교과서 서술방식에 있어서 합의가 요구된다. 셋째,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내용과 중,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내용 간에는 내용의 발전적 연계가 이루어졌으나 중학교 학년별 내용은 반복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교육내용은 일부분 격차를 보이거나 연계성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지만, 발전된 내용과 반복된 내용이 많으므로 학년간 연계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 PDF

전국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 분석 및 현행 중등학교 ‘실업.가정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고찰 (Analytical Study of the Current Curricula in the Departm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Practical Arts’ in the Secondary School)

  • 최옥자;박옥임;정현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5-47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data and the direction for revising the curricula of the departm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oward developmental and efficient ones. The current 23 curricula of all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course of the subject “Practical Arts”included in the 5th Study Course of Secondary School to get the following results. 1) Only three subjects are commonly established in all the colleges, and they are Nutrition(obligatory in 23 colleges), Home Economics (obligatory in 21, optional in 2) and Housing (obligatory in 21, optional in 2). 2) Some subjects have various names differing with colleges, though the contents being the same, 8 subjects are established under more than 7 titles. 3) Principles of Home Economics and Home Education, which are obligatory subjects for the major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established with far less number of scores than the instructions given from the specialists. 4) Subjects over-subdivided beyond necessity are sometimes established, and some curricula are showing the lack of balance in distributing scores among disciplines after concentrating on a particular discipline. 5) Too few subjects are established entirely for experiment and exercise. 6) There is almost no subject related with the technics for domestic life, vocation and career which are included in the Secondary School Course.

  • PDF

수학적 모델링 적용을 위한 문제상황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Development of Problem Contexts for an Application to Mathematical Modeling)

  • 김민경;홍지연;김혜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3호
    • /
    • pp.313-328
    • /
    • 2010
  • Mathematical modeling has been observed in the way of a possibility to contribute in improv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One of the important views of real life problem context could be described such as a useful ways to interpret the real life leading to children's abstraction process. The problem contexts for the grade 6 with mathematical modeling perspectives were developed by reviewing the current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Those include the 5 content areas such as number & operation, geometry, measurement, probability & statistics, and pattern & problem solving. One of problem contexts, "Space", specially designed for pattern & problem solving area, was applied to the grade 6 students and analyzed in detail to understand student's mathematical modeling progress.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기하판의 활용 (A Practical Use of Geoboard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

  • 최창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6권1호
    • /
    • pp.1-10
    • /
    • 2002
  • The objectives of the current study are on the practical use of geoboard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 To do this, we first investigate how come geoboard is significant in a practical use. Second, we present an example of practical use of geoboard connecting with the analysis of the 7th curriculum. Third, we investigate the results of geoboard which is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cla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ion of using geoboard can give an interest and curiosity to all students. Second, right triangle, rectangle, square and so on can be easily constructed because geoboard is linked by dots. Third, by constructing figures on geoboard and comparing figures which is made by themselves, students could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figures rather than the explanation of teacher. fourth, students can be improved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and spatial sense by providing experience for exploration. Fifth, students need not to have anxiety for error because geoband is used and so can be corrected easily.

  • PDF

조류(鳥類)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상의 문제점 분석 (Analyses on Primary Teachers' Perception of Birds and Problems of Teaching Birds)

  • 박헌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89-9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birds and problems on teaching it. For this study, the science textbooks from 3rd grade to 6th grade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Results revealed that, firstly, there were 34 bird species recorded and these were described 55 times in the surveyed textbooks. Secondly, the survey showed that $20\%$ of the teachers were interested in birds despite the fact that $98\%$ of them had no special knowledge about birds nor had studied them in college. Additionally, it was revealed that $41\%$ of the teachers felt lacking in specialist knowledge about birds and this lead to difficulties in teaching on this subject. Thirdly, academic backgrounds had an affect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ing this area. The teachers' levels of interest in birds and the teachers' ratio of teaching on this topic tended to increase as their academic careers developed, and the proportion of male teachers in this category were higher than female teachers. To overcome difficulty in teaching on this area, it is suggested that a reconstitution of subject materials, as well as a revision of the teachers' guidebooks be undertaken.

  • PDF

전문대학 전기전공학과에서 고등학교 전기전공과 졸업생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기초자료 연구 (A Basic Data Research on Effective Studying of Technical High School Department of Electricity Graduate Students in Junior College Department of Electricity)

  • 이상석;김민회;박찬규;이재용;조세호;송태범;배병호;이종우;정안식;최성하;신동수;윤상길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2권3호
    • /
    • pp.127-136
    • /
    • 2003
  • A point of doing this research is to give basic data for Junior college having matriculation resources in department of electricity majoring to the graduate students from technical high school in department of electricity. We have examined the effect of the 6th and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urses in department of electricity on technical high school and analyzed basic subjects of technical high school and detailed major basis subject of junior college in department of electricity by educational courses and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Also we have examined tried to secure advantage of major studying on the basis of result of analysis.

${\cdot}$중등학교 교과서의 우유 영양교육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f the Milk-Related Nutrition Education Foun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 윤인경;김규태;김정현;박동호;서지영;박선영;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1-23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학교, 중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우유에 대한 영양 교육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학교 교육을 통해 학생에게 우유에 대한 영양 섭취 및 소비행동에 유익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초${\cdot}$중등학교 교과서(1학년$\~$10학년)교과서에 나타난 우유 영양교육의 내용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학교교육을 통해 지도되어야 하는 우유 교육 내용의 체계화안을 마련하였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우유 영양교육은 2학년 6학년을 제외한 4개 학년의 교과서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학년의 통합교과, 과학, 실과, 체육 교과서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가장 많은 내용을 다룬 교과서는 실과이며, 우유의 영양에 대한 기초 지식 중심의 정보와 우유 마시는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중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우유 영양교육은 7학년에서 10학년까지의 과학, 기술${\cdot}$ 가정, 체육 교과서에서 고르게 다루어졌다. 가장 많은 내용을 체계적으로 다룬 교과서는 기술${\cdot}$가정이며 우유의 성분 및 주된 영양소 식품으로서의 특징과 선택 및 보관 방법. 실생활에서 균형식으로서의 실천 방법 등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초등학교와 마찬가지로 교과목간 학교급별간 중복 및 지식 제공의 위계가 맞지 않는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따라서 우유에 대한 영양 교육도 학교급별로 대상에 맞게 영양 교육 내용의 수준을 적정화하고 체계화하며, 교과목간 및 우유 급식 등과 연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cdot}$운영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 PDF

모바일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n Authoring Tool for Field-Experience Learning using Mobile Device)

  • 강영옥;조나혜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123-132
    • /
    • 2015
  • 2009년 제7차 개정 교육과정부터 자율과 창의 교육을 중심으로 현장체험학습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현장체험학습의 중요도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장학습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관련 앱의 출시가 증가하고 현장체험학습 지원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장체험학습의 특징과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을 바탕으로 현장체험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저작도구의 개념을 정의하고, 개념적 설계를 진행하였다.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는 사전, 현장, 사후단계 활동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위치기반의 체험활동 저작이 가능하고, 역사, 과학, 지리 등 현장학습이 이루어지는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저작기능이 요구된다. 특히 현장체험활동 이후 탐구활동 결과물들이 재활용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적인 설계를 진행하였다.

중등 컴퓨터과학교육을 위한 객체지향형 EPL '두리틀'의 적용 및 평가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Object-Oriente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Dolittle'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 권대용;길혜민;염용철;유승욱;카네무네 스스무;구노 야스시;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12
    • /
    • 2004
  • 제 7차 컴퓨터교과 교육과정은 소프트웨어 활용 부분에 치중되어 컴퓨터과학에 관한 원리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편, ACM K-12 컴퓨터과학 교육과정 모델에 관한 보고서에서는 현재의 컴퓨터교육이 그릇된 방향이며 컴퓨터과학 중심의 컴퓨터교육을 위해서 프로그래밍언어 교육을 통한 원리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체험학습을 위한 객체지향 기반의 새로운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인 두리틀(Dolittle)을 소개한다. 두리틀은 간결한 구문과 한국어와의 대응성, 인크리멘탈 방식의 프로그래밍, 수치, 문자열, 배열과 같은 알고리즘과 구조화, 텍스트 위주의 프로그래밍 등의 설계방침을 적용한 언어이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고 학습효과를 분석한 결과, 객체지향기반이지만 클래스나 상속 등의 개념을 모르고도 활용 가능한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객체와 메소드 활용을 통하여 프로그래밍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오류 수정이 용이하므로, 학생들의 높은 흥미도를 유지하면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차후 학습으로의 연계가 수월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