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th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667건 처리시간 0.025초

IT 숙련의 의미를 새로운 컴퓨터교육 과정 (A New Computer Education Curricula Considering IT Fluency)

  • 송기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9-18
    • /
    • 2005
  •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중 고등학교 일반 교과에서의 컴퓨터 교육은 용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컴퓨터의 도구적 활용을 상대적으로 강조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도구적 활용 위주의 교육과정은 ICT 소양 교육이라는 측면애서는 매우 잘 실시되어 오고 있으나 정보기술 및 컴퓨터 과학을 구성하는 기본 개념 및 원리와 이를 토대로 지적인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을 시키기에는 매우 부족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등학교에서 컴퓨터과학 교육과정을 도입해야 하는 이유를 IT 숙련 측면에서 살펴보고 미국과 캐나다의 중등학교 컴퓨터 교과와 대비하여 컴퓨터과학의 원리 교육을 강조하는 중등학교에 적용될 컴퓨터 교육과정의 방향을 제시한다.

  • PDF

한국 초등학교의 수학 교과서 체제 변천에 관한 연구 -7차 교육과정 이후 교과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of Mathematical Textbooks System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 Focusing on textbooks after the 7th curriculum-)

  • 최혜령;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9-128
    • /
    • 2020
  • 우리나라는 교육의 핵심을 공교육인 학교 교육에 두고 있으며 교육부가 고시한 교육과정을 토대로 교과서가 편찬되고 있다. 따라서 질 높은 교과서의 편찬은 매우 중요하며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일 이상의 정성과 노력이 요구된다. 우리나라도 그 동안 여러 차례 교과서 개발에 힘써왔으나 선진 외국 교과서와 비교해 볼 때 외적 체제나 편집 디자인 면에서 획일적인 교과서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는 교과서를 편찬할 때 교과서에서 다루어야 하는 내용인 교과서의 내적 체제에만 편중된 결과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역사상 괄목할만한 변화가 있었던 7차 교과서에서부터 2015 현행 교과서에 이르기까지의 우리나라 국정 교과서를 차수별로 살펴보고, 어떠한 변화의 양상을 보이는가에 대해 의미있는 고찰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과서의 구성 체제를 외적 체제와 내적 체제로 나누어 분석한다. 교과서의 외적 체제는 판형, 자형, 지질, 색상의 변화와 삽화 분량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내적 체제는 단원의 구성 체제와 차시의 구성 체제의 변화 및 발문 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교과서의 변화 양상에 대한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한국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과학 교과서 생명영역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Life Science Area in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Korean Elementary Curriculum Change)

  • 고연숙;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03-219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초등학교 과학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과학교과서의 생명영역 내용을 분석 통하여 앞으로 과학교육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내용은 교수요목기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생명 영역의 단원을 대상으로 하여 교과서에 나타난 학습 내용의 포함 여부와 포함된 학년을 알아보았고, 학습내용의 구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TIMSS 2015 생명과학 분석틀 4학년과 8학년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맞게 수정 개발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국제적 기준으로 볼 때, '생물의 특성'에 대한 하위 요소로 '생물과 무생물의 차이점'은 대부분 교육과정에서 1학년에 제시가 되었으나, 1차와 6차 교육과정, 특히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아서 학생들의 생명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균류 세균의 특징과 분류'는 7차 교육과정까지 대체로 균류만 다루어졌고,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하여 제시되었다. '한살이, 생식과 환경'의 하위 요소로 '자손의 생존을 돕기 위한 전략'과 '동물과 식물의 유전'은 주로 저학년에 편성되어 기초적인 학습 내용만 있어서 고학년에서 심화된 학습 내용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생물의 특징'은 교수요목기에서 2차 교육과정까지 주로 농촌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습 내용으로 제시되었으나, 3차 교육과정부터 삭제되고 주변의 생물들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이 제시되었다. '건강'의 하위 요소로 '감염성 질병'은 1차 교육과정에서는 모든 학년에서 강조되어 다루어졌는데, 이는 한국전쟁 직후 보건 위생 문제가 교육과정에 반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은 보건과 위생과 관련하여서 모든 교육과정에서 꾸준히 제시되었다. TIMSS에 맞추어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교과서가 국제적인 기준에 중심으로 볼 때, 개정 교육과정 과학교과서에는 유전과 진화와 관련된 학습 내용과 건강에 관한 학습 내용이 좀 더 심화하여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A Study 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in High School

  • Kang, Suk-Bok;Choi, Hui-Tae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7권2호
    • /
    • pp.379-385
    • /
    • 2006
  • In this paper,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of the 7th high school curriculum is studied. We analyze each unit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high school textbooks $\ulcorner$Mathematics 10-GA$\lrcorner$, $\ulcorner$Mathematics I$\lrcorner$, and $\ulcorner$Practical Mathematics$\lrcorner$, and then research the percentage for the unit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all textbooks. We also investigate the proportion for the number of students who select each subject of mathematics of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s for university admission in 2005 and 2006.

  • PDF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A study on Factors in School Science Influenc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 이미경;정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946-95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과학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 요인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을 좋아하는 이유, 과학을 싫어하는 이유 등에 관한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 학교 1학년 학생 총 1,000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과학에 대한 태도 조사 결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과학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이 과학을 좋아하는 주된 이유는 실험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고, 과학을 싫어하는 주된 이유는 과학 수업 방법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은 실험하는 것과 실험 기구를 직접 다루는 것이 재미있기 때문에 과학을 좋아하는 반면에, 수업 시간의 활동, 수업 매체, 교과서, 과학 교사 등이 원인이 되어 과학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었다.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조사한 결과, 과학 과목의 내용 및 특성은 과학을 좋아하게 하는 주된 요인인 반면에 과학 수업 방법은 과학을 싫어하게 하는 주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험은 과학을 좋아하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고 싫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에 따라 차별화된 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신장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한국과 탄자니아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의 삽화 비교 연구 (Comparison of Illustration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Tanzania)

  • 강정문;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47-35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inserting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s under the 7th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is currently enforced in all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ternal and internal differences in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s in Tanzania and Korea to present desirable direction of producing illustrations. There are not only some differences in rate of the kinds and role of the illustrations in grades, but also in both countries. In Korea textbooks, Photographs were mainly used to guide the students into experiments and to train the students in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In contrast, the Tanzania textbooks place more emphasis on pictures to enhance their interests and curiosity and understand. The Korea textbooks have to place more various illustrations instead of photos but the Tanzania textbooks should place more photos. As a result the addition of more diverse forms of illustrations and the re-organization of illustrations according to the topic should be considersd in future Korea and Tanzania textbooks.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초등학교과학교과서 삽화 비교 분석 (Comparison of Illustration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Singapore)

  • 이창훈;권치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1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inserting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s under the 7th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is currently enforced in all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ternal and internal differences in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s in Singapore and Korea and to present desirable direction of producing illustrations. There are not only some differences in rate of the kinds and role of the illustrations in grades, but also in both countri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illustrations for motivation, in both Korea and Singapore, interesting photos related to overall contents with regard to the contents of the unit are used. But in the 3rd and 4th grade class in Singapore, story types of cartoons related to learning subjects are presented to draw students' interest and attention. These need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extbook illustrations in the future.

2009 개정 초등 수학 6학년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STEAM 관련 교과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2009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6th Grade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Based on STEAM-related Subject Contents)

  • 김해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3-192
    • /
    • 2016
  • 2009 개정 초등 수학 6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수학적 지식 외에 어떤 STEAM 관련 교과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단원별, 학기별, 수학내용 영역별로 분석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별, 수학내용 영역별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는 전체적으로 스토리텔링 자료가 제일 많았고, 기술공학, 자연과학, 사회 교과 내용 순으로 많이 분석되었으나, 문화, 체육, 음악, 미술 관련 교과 내용은 매우 적었다. 둘째, 학기별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는 수학 6-2 교과서가 수학 6-1 교과서보다 61개가 많았으며, 스토리텔링을 제외한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는 수학 6-2 교과서에서는 107개, 수학 6-1 교과서에서는 39개로 수학 6-2 교과서에서의 개수가 수학 6-1 교과서에서 보다 약 2.7배 많았다. 셋째,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는 수학 6-1 교과서에서 STEAM 관련 교과 내용이 부족한 단원들을 잘 보완하지 못했으나, 수학 6-2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수학 6-2교과서에서 부족한 단원들을 비교적 잘 보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수학 6-1, 6-2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서 수학이외의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가 단원별, 수학내용 영역별, 학기별로 차이가 심하므로 다양한 STEAM 자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산수학적 관점에서의 초등수학교과서 분석 연구 (An Analytic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via Discrete Mathematics)

  • 최근배;강문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9권1호
    • /
    • pp.11-29
    • /
    • 2005
  • Discrete mathematics is as important as it was reformed as an optional subject i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re are a lot of studies about discrete mathematics in the middle course but studies about it in elementary course has little perform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discrete mathematics, which is hidden in the mathematics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and to develop the learning materials of discrete mathematics. Through this, it would make the students to have the sharp insight in their daily lift and mathematical experience by learning: the mathematical inquiry and adaptation.

  • PDF

초등 수학 교과서의 규칙성과 함수 영역의 활동 고찰 (An Investigation of Patterns and Function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0권2호
    • /
    • pp.111-12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tents and activities of patterns and function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nd textbooks developed based on it. Through examination, several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 First, pattern need to be introduced as a way of doing mathematics not as a subject of mathematics. Finding patter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 to do mathematics. Second, activities for patterns and functions must be organized coherently. Coherent means that mathematical ideas are linked to and build on one another so that student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deepens and their ability to apply mathematics expands. Third, independent lessons for patterns and functions are needed. In these lessons, various activities need finding patterns can be introduc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mathematics. Fourth, the linkage between patterns and functions should be strengthe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