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6LoWPAN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6 seconds

Fragmentation Management Method for 6LoWPAN (6LoWPAN에서 단편화 관리 기법)

  • Seo, Hyun-Gon;Han, Jae-I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6 no.5
    • /
    • pp.130-138
    • /
    • 2009
  • 6LoWPAN is IPv6 packets transmission technology at Sensor network over the IEEE 802.15.4 Standard MAC and Physical layer. Adaptation layer between IP layer and MAC layer performs fragmentation and reassembly of packet for transmit IPv6 packets. RFC4944, IETF 6LoWPAN WG standard document define packet fragmentation and reassembl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RM(Immediate Retransmission Method) and SRM(Selective Retransmission Method) to manage packet fragmentation and reassembly at 6LoWPAN. Each time destination receives a fragmented packet, it sends Ack message to the source node on IRM. However, on SRM, the destination node receives all fragmented packet, it sends Ack message or Nak message to the source node. In this case, Nak message include the dropped packet number.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s, we develop a simulator using C++. The result of simulation shows the proposed schemes provider better performance than RFC4944 standard scheme.

Implementation of 6LoWPAN Testbed: Location Tracking Service Based on Google Map (구글맵을 이용한 위치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6LoWPAN 테스트베드 구현)

  • Kim, Kye-Won;Seo, Jae-Wan;Hwang, Dae-Joon;Choo, Hyun-Se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0 no.5
    • /
    • pp.13-26
    • /
    • 2009
  •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is one of the key technologies that make it possible to provide u-service in a ubiquitous society, however, it has disadvantages such as difficulty of managing sensor nodes and weaknesses of stability or mobility in large-scale WSN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6LoWPAN that integrates with WSNs and IP networks has been studied wide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cation Tracking Service Based on Google Map (LTSGM) system using 6LoWPAN. Since LTSGM system provides visual location information of sensor nodes through Google Map, it is possible to makes it easier than ever to manage sensor nodes in large-scale WSNs. Moreover, LTSGM can be used for various services such as applications for disaster or crime because it can trace the location of mobile nodes. Implementation of LTSGM system will be a test platform for 6LoWPAN.

  • PDF

Development of Fragmentation Management Simulator for 6LoWPAN (6LoWPAN 단편화 관리 기법 시뮬레이터 개발)

  • Seo, Hyun-Gon;Han, Jae-I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7 no.4
    • /
    • pp.191-198
    • /
    • 2008
  • 6LoWPAN (IPv6 Low-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is IPv6 packets transmission technology at Sensor network over the IEEE 802.15.4 Standard MAC and Physical layer. Adaptation layer between IP layer and MAC layer performs fragmentation and reassembly of packet for transmit IPv6 packets. RFC4944, IETF 6LoWPAN WG standard document define packet fragmentation and reassembl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6PASim (6LoWPAN Packet Simulator) to perform IPv6 packet fragmentation and reassembly for performance evaluation. The 6PASim consist of two parts. One is Packet_Transmit_module that makes IEEE 802.15.4 frames the IPv6 packet from upper layer, and transmit its. and the another is Packet_Receive_module that reassembles transferred frames and completes original IPv6 packets. we can evaluate frame transmit rate and amount of control message through 6PASim. The result of simulation shows the SRM (Selective Retransmission Method) scheme provider better performance than IRM (Immediate Retransmission Method) scheme.

  • PDF

6LoWPAN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Duty Cycle 특성 분석

  • Jeong, Hun;Han, Dong-Hyeok;Nam, Sang-Jun;Kim, Gwan-Jung;Jeong, Jong-M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8 no.9
    • /
    • pp.40-48
    • /
    • 2011
  • 6LoWPAN은 IEEE 802.15.4를 기반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 IPv6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이다. 본고에서는 6LoWPAN WG에서 개발 및 논의되고 있는 기술 및 주요 쟁점을 소개하고, 6LoWPAN의 저전력 통신을 위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duty cycle 제어와 관련된 중요한 요소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An Attribute Based Sensing Data Gathering Protocol for 6LoWPAN (6LoWPAN에서 센서의 특성을 고려한 센싱데이타 수집에 대한 연구)

  • Lee, Hye-Chan;Hong, Choo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853-854
    • /
    • 2007
  • 센서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기반환경이 될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이러한 센서네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IP 망과의 연동이 필수 적인 조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IEEE802.15.4 위에 TCP/IP 를 사용하기 위해 IETF 워킹그룹 6LoWPAN 이 만들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IP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센서네트워크(6LoWPAN)에서 센서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요청하고 수집하는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etecting System for Botnet on 6LoWPAN (6LoWPAN 상의 Botnet의 유형과 탐지 시스템 개발)

  • Cho, Eung Jun;Lee, Kwnag Hyun;Hong, Choong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659-660
    • /
    • 2009
  • Botnet은 공격자의 명령을 받아 공격을 수행하는 Bot과 bot을 관리하는 서버(혹은 peer)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이다. 유선 네트워크 상에서 Botnet을 탐지하기 위해서 많은 메커니즘이 제안되었지만 6LoWPAN과 같은 IP 기반의 센서네트워크 상에서 Botnet의 유형이나 탐지법에 대해서는 제안된 메커니즘이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6LoWPAN 환경에서 Botnet의 공격 유형과 탐지법을 제안하고 구현 사례를 설명한다.

Analysis and Detection Mechanism of Botnet on 6LoWPAN (6LoWPAN 상에서의 Botnet 분석 및 탐지 메커니즘)

  • Cho, Eung Jun;Hong, Choong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497-1499
    • /
    • 2009
  • 최근 들어 스팸 메일, 키 로깅, DDoS와 같은 공격에 Botnet이 사용되고 있다. Botnet은 크래커에 의해 명령, 제어되는 Bot에 감염된 클라이언트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이다. 지금까지 유선망의 Botnet을 탐지하기 위한 많은 기법이 제안되었지만, 현재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6LoWPAN과 같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상의 Botnet에 관한 연구와 그 대처방안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6LoWPAN 환경에서 Botnet이 얼마나 위험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A Study on Mobility Support in IP-based Sensor Networks (IP 기반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동성 지원에 관한 연구)

  • Jung, Sung-Min;Kim, Tae-Kyung;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736-739
    • /
    • 2011
  • IP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인 6LoWPAN 은 IEEE 802.15.4 표준에 IPv6 를 적용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현재 IPv6 상에서 노드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로 MIPv6 와 PMIPv6 가 표준화 되었다. 6LoWPAN 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PMIPv6 를 적용하는 것이 MIPv6 를 적용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다. PMIPv6 기술의 특징은 기존의 MIPv6 에 비해 노드가 바인딩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는 점이다. 따라서 노드의 부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6LoWPAN 에 적합하다. 하지만 6LoWPAN 노드의 하드웨어적인 제약 사항을 고려해 볼 때, 기존의 PMIPv6 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대로 적용한다면 PMIPv6 은 원 홉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멀티 홉에 기반한 6LoWPAN 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기존에 정의되어 있는 RS 나 RA 메시지의 크기로 인해 멀티 홉 경로상의 각 단말에 많은 부하를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6LoWPAN 에 적합한 RS 와 RA 메시지를 제안한다.

Implementation of Smart Home Network System based on CoAP/6LoWPAN in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 CoAP/6LoWPAN 기반의 스마트 홈네트워크 시스템 구현 및 성능 분석)

  • Lee, Bo-Ky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1
    • /
    • pp.99-105
    • /
    • 2018
  • As the Internet of Thing(IoT) technology recently has become a big issue,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link the Internet of things with the home network system. Various home network systems are being implemented to connect many devices used in the home with the Internet and to control and operate the devices using a smart phone. However, existing protocols that operate on the Internet are not suitable for a limited environment such as low power, low capacity, and low performance. Therefore,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Working Group proposed the CoAP/6LoWPAN technology as a suitable protocol for internetworking IoT devices with the Internet in a limited environment and adopting it as a standard. In this paper, a smart home network system is implemented to control and operate various IoT devices in a home using CoAP/6LoWPAN in mobile environment. The performance of HTTP and CoAP such as data transmission time, data transmission rate is analyzed.

6LoWPAN Based IP-USN Standardization (6LoWPAN 기반의 IP-USN 기술 표준화 동향)

  • Kim, E.S.;Kim, Y.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6
    • /
    • pp.24-32
    • /
    • 2007
  • 지금까지 센서노드에 TCP/IP를 운용하는 것은 과도한 시스템 자원을 요구하기 때문에 부적절한 선택이라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최소한의 기능만을 가진 TCP/IP를 센서 노드에 적용하여도 센서노드가 동작할 수 있으므로 센서 네트워크에 IP 기술을 접목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이에 대한 표준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IETF 6LoWPAN WG는 L2 Layer에 IEEE 802.15.4를 기반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 IPv6를 지원하기 위한 이슈를 다루는 그룹으로서 저전력, $20{\sim}250kbps$의 데이터 전송률, $900{\sim}2400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최소형 메모리와 최소형 프로세서만을 장착한 센서 응용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그룹은 국제 표준화 기구 중 대표적으로 IP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표준 기술을 다루고 있는 그룹으로서, 우리나라에서 6LoWPAN 기술은 USN 기술에 IP를 도입한 IP-USN이라는 개념으로 소개되어 연구개발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6LoWPAN WG에서 개발한 표준 기술을 소개하고, 향후 WG의 표준화 방향에 대하여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