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butanedion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4초

황기청국장의 향기특성 (Aroma Characteristic of Chungkukjang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 윤향식;최혜선;주선종;김기식;김숙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69-272
    • /
    • 2006
  • 황기가 청국장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청국장과 황기청국장을 제조하여 향기성분을 SDE, headspace, SPME 추출한 후 GC/MS로 정성하였다. 추출방법별 정성된 화합물의 수는 총 30개로 SDE 23개, headspace 6개, SPME 7개로 나타났다. 추출물을 관능기별로 구분하면 ketone류 6개, alcohol류 8개, heterocylic 화합물 3개, aldehyde류 3개, hydrocarbone류 6개, 기타 화합물 5개로 분류할 수 있다. 청국장의 주요향기성분으로 SDE 추출물은 3-hydroxy-2-butane, 2-furanmethanol, 2-methoxy-4-vinylphenol과 4-vinylphenol이었으며 headspace 추출물은 2,3-butanedione, 3-hydroxy-2-butane, ethanol, 2,6-dimethyl pyrazine과 acetic acid, SPME 추출물은 acetone, ethanol, 2,5-dimethyl pazine, tetrameyl pyrazine과 acetic acid이었다. 청국장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인 2,5-dimethyl pyrazine과 2,6-dimethyl pyrazine, tetramethyl pyrazine 함량은 청국장이 황기청국장에 비해 높게 나타내었다.

Cr(Ⅲ) Complexes of Tetraazamacrocycles Derived from $\alpha$-Diketones and Diaminoalkanes

  • Rai, Pramod K.;Gupta, Ajay K.;Prasad, Raghu 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4권2호
    • /
    • pp.179-183
    • /
    • 1993
  • Template condensation of ${\alpha}$-diketones such as 2,3-butanedione or benzil with diaminoalkanes such as 1,2-diaminoethane, 1,3-diaminopropane, 1,4-diaminobutane, 1,6-diaminohexane, 1,8-diaminooctane or 1,12-diaminododecane in the presence of Cr(III) results in the formation of complexes of the type $[CrI,X_2]X$ (where L = tetraazamacrocycle having 12 to 32-membered ring and $X={NO_3}^- or Cl^-).$ The complexes have been characterized by elemental analyses, magnetic measurements and IR and diffuse reflectance spectra.

포장 조건에 따른 저장 중 커피의 향미 특성의 변화와 보존 기간 (Changes in Flavor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Roasted Coffee in Different Packaging Conditions during Storage)

  • 문준웅;조재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41-447
    • /
    • 1999
  • 본 연구는 볶은 커피의 장기 저장 중 포장 조건별로 향미 성분의 변화를 GC로 정량하고, 전문 패널에 의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휘발성 성분과 향미 변화의 상관 관계를 고찰하고 최적 포장 모델과 보존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커피의 향기 성분으로 47개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으며 관능 변화에 밀접하게 영향을 주는 것은 light volatile compound이었으며, 특별히 2,3-butanedione의 유보율(% retention)은 커피 향기의 관능 지수와 직선적 관계를 나타내고 높은 상관 관계를 보여주어 커피 향기 성분의 지표 물질로 좋은 역할을 보여주었다. 커피의 최적 포장 모델과 보존 기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6가지 포장 모델을 1년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분석과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볶은 통 커피/발브 포장, 볶은 분쇄 커피/진공 포장, 볶은 분쇄 커피/질소 포장, 볶은 분쇄 커피/탈 산소제 포장의 탈기 포장은 매우 좋은 품질 수준(fresh quality)이 $2{\sim}4$주, 좋은 품질 수준(satisfying quality)이 $12{\sim}24$, 최소 품질 수준(minimally acceptable quality)이 52주 였으며, 볶은 통 커피/함기 포장과 볶은 분쇄 커피/함기 포장은 매우 좋은 품질 수준이 $0.5{\sim}1.0$주, 좋은 품질 수준이 $2{\sim}3$, 최수 품질 수준이 12주이었다. 볶은 통 커피의 포장 방법으로는 one-way valve 포장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분쇄 커피의 포장 방법으로는 진공 포장과 질소 포장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Novel Conversion of 2-(4-Dimethylaminoaryl)-1,4-diphenylbutane-l,4-diones into 3-(4- Dimethylaminoaryl)-l-phenylpropenones via Debenzoylation and Oxidation

  • Kim, Sung-Sik;Chang, Ji-Ae;Kim, Ae-Rhan;Cho, Kyung-Won;Park, Sang-Kyu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12권2호
    • /
    • pp.109-111
    • /
    • 2005
  • It was found that 1,4-diketones such as 1,4-diphenyl-l,4-butanediones containing N,N-dimethylaminophenyl (pDPB) and N,N-dimethylaminonaphthyl (nDPB) at C2 are converted into 3-(4-dimethylaminoaryl)-1-phenylpropan-lones (pPPA and nPPA) by treatment with $Ca(OH)_2$ in methanol, which was easily oxidized to enone, i.e., 3-(4-dimethylaminophenyl)-l-phenylpropenones (pPPE and nPPE), when treated with 2,3-dichloro-5,6-dicyano-l,4-benzoquinone (DDQ) in dichloromethane.

  • PDF

Photochemical Cleavage of Dibenzoylmethane and Curcumin in the Presence of N,N-Dimethylaniline in Methanol

  • Kim, Sung-Sik;Mah, Yoon-Jung;Kim, Ae-Rhan;Cho, Kyung-Won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11권3호
    • /
    • pp.129-132
    • /
    • 2004
  • Photochemically stable dibenzoylmethane and curcumin were cleaved dramatically when they were irradiated in the presence of N,N-dimethylaniline in methanol with 300 nm UV light. Several products such as benzil, secondary product derived from 1,4-diphenyl-1,4-butanedione, and unidentified compound were observed from the photoreactions of dibenzoylmethane with N,N-dimethylaniline. It was also found that one of the primary fragments produced by irradiation of curcumin in methanol were coupled with N,N-dimethylaniline to give a new enone compound, i.e., 1-(4-dimethylaminophenyl)-4-(4-hydroxy-3-methoxyphenyl)-but-3-en-2-one, as the major product.

  • PDF

염처리 음식물의 냄새성분 배출특성에 대한 연구: 스팸을 중심으로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from salted food materials using Spam)

  • 이민희;김기현;김용현;조상희
    • 분석과학
    • /
    • 제25권6호
    • /
    • pp.447-4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염처리 음식물의 냄새성분 배출특성을 파악하고자 스팸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휘발성화학물질의 발생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9 일 동안 5 회에 걸쳐 시료를 채취 후 GC/MS 시스템과 GC/PFPD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기간 동안 환원황, 알데하이드, 케톤류의 냄새성분들이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기에 해당하는 E-0, E-1일은 hydrogen sulfide의 농도가 각각 1465 ${\mu}g/m^3$ (60.0%), 455 ${\mu}g/m^3$ (28.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OAV (악취활성값) 또한 E-0 일은 19.4 (78.3%), E-1 일은 6.02 (4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패기에 해당하는 E-3, E-6, E-9일에는 ketone류의 acetone이 각각 451 (43.2%), 369 (64.2%), 1150 ${\mu}g/m^3$ (70.2%)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2,3-butanedione이 각각 17.6 (1.68%), 16.1 (2.80%), 179 ${\mu}g/m^3$ (10.9%)로 나타났다. 이들 성분의 실질적인 냄새 기여도를 OAV로 비교하면, acetone은 0.001 (0.01%)이하로 미미한 수준이지만, 2,3-butanedione은 1.14-11.6 (14.5-76.2%)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신선기에는 환원황 그룹, 신선기와 부패기의 중간 시점에는 알데하이드 그룹, 부패기에는 케톤 그룹 성분들이 가장 중요한 냄새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통 명태식해 저온숙성 중 휘발성 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Low-Temperature Fermentation)

  • 차용준;정은정;김훈;이영미;조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66-571
    • /
    • 2002
  • 명태식해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명태식해를 제조한 뒤 저온(5$^{\circ}C$)에서의 저장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LLCE/GC/MS법으로 분석한 결과 총 65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는 주로 함황화합물류(11종), 알콜류(13종), acid류(13종), 알데히드류(4종), 케톤류(4종), 테르펜류(6종), 방향족 화합물류(4종) 및 기타 화합물류(10종)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명태식해 숙성 중 함황화합물류(3-(methylthio)-1-propene, dimethyl disulfide, diallyl sulfide, methylallyl disulfide, methyl-(E)-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2 diallyl disulfide isomers, diallyl trisulfide), 산류(acetic acid, butanoic acid), 케톤류(2, 3-butanedione, 6-methyl-5-hepten-2-one) 및 기타 화합물류 중의 에스테르류(ethyl formate, ethyl acetate)가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p<0.05). 특히 함황화합물류는 명태식해의 숙성과정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었고, acid류, 케톤류 및 에스테르화합물류는 숙성 후반에 더 크게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8배위 12면체 Y(tpb)3(H2O)2착물의 합성과 구조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he Eight-Coordinated Dodecahedral Y(tpb)3(H2O)2)

  • 유종남;강성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40-243
    • /
    • 2007
  • 8배위 이트륨(III) 화합물 Y(tpb)3(H2O)2을 합성하였고 X-선 회절법으로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화합물은 12 면체의 구조를 가지며, 두 면(Y-O2-O1-O5-O6 and Y-O4-O3-O8-O7)사이의 각은 89.59o이다. 또한, O1-O5과 O3-O8 의 거리는 2.965 and 2.995 A이며 O2-O6과 and O4-O7의 거리는 4.256 and 4.403 A이다.

전이금속촉매-일산화탄소-물계에 의한 카르보닐화합물의 이중 히드로히드록시메틸화 반응 (Transition Metal Catalyzed the Double Hydrohydroxymethylation of Carbonyl Compounds by a Carbon Monoxide-Water System)

  • 심상철;민경은;허근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1-104
    • /
    • 1986
  • 아디파알데히드, 구르타르알데히드 및 숙신알데히드와 같은 디알데히드는 물-에톡시에탄올 및 에탄올내에 촉매량의 육로듐 십육카르보닐 또는 오카르보닐철의 존재하, 70기압, 일산화탄소, 180$^{\circ}C$, 4시간동안 반응시켜 쉽게 환원되어 대응하는 1,6-헥산디올 및 1,5-펜탄디올 및 1,4-부탄디올이 좋은 수득율로 얻어졌다. 같은 조건하에서 2,5-헥산디온, 2,4-펜탄디온도 대응하는 디올이 보통 수득율로 얻어졌다. 디알데히드의 이중 히드로히드록시메틸화 반응에 대해서는 금속카르보닐 촉매가 다른 촉매보다 더욱 활성적이다. 특히 벤조퀴논은 정량적으로 히드로퀴논을 주었다.

  • PDF

홍삼과 청국장 혼합 분말의 색도, 휘발성 성분 및 관능적 기호도 (Color, Volatiles and Organoleptic Acceptability of Mixed Powders of Red Ginseng and Cheonggukjang)

  • 권중호;신진기;문광덕;정헌식;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83-489
    • /
    • 2006
  • 홍삼과 청국장의 단일 및 혼합 분말의 향미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원료와 제조회사가 다른 홍삼(J사 6년근, P인삼조합 5, 6년근)과 청국장($A{\sim}E$사 제품) 단일분말 및 혼합분말의 색도, 휘발성 성분 및 관능적기호도를 조사하였다.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색상은 시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홍삼의 경우 L값은 $75.56\sim85.50$, a값은 $1.90\sim6.30$, b값은 $23.29\sim35.08$이었고 청국장의 경우 L값은 $64.96\sim71.69$, a값은 $4.64\sim8.30$, b값은 $30.45\sim36.50$을 각각 나타내었다.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휘발성 성분은 시료별 차이를 보였으나 홍삼분말에서 주요성분으로는 hexanal, $\beta-pinene$, methyl benzene, 3,5-methyl propyl nonane, 2-propanone, decane, 2,8-dimethyl undecane 등이, 청국장분말에서는 2,3-butanedione, decane, 2,2,7,7-tetramethyl octane, 3-methyl butanal 등이 확인되었다. 홍삼과 청국장 혼합분말의 휘발성 성분의 양은 홍삼의 혼합양이 적어지고 청국장의 혼합양이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혼합분말의 관능적기호도는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동량 혼합일 경우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으며, 이 경우 주요 휘발성 성분은 2-propanone, 2-butanone, pentane, hexanal, 3-methyl butanal 등이었다. 이로써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향미특성은 제조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두 분말의 적정 혼합을 통하여 새로운 가공소재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