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PL 기업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초

제3자 물류 환경에서 도메인 온톨로지 구축 (A Study on Construction of Domain Ontology in Third-party Logistics)

  • 고려;고진광;배시영;이현창;최현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35-241
    • /
    • 2011
  • 대다수 산업과 무역유통 기업은 물류 자원을 통합한다. 기업들은 제품 운송부분을 원가를 절약하기 위해서 전문적인 물류회사에 맡긴다. 여기서 전문적인 물류회사를 제 3자 물류라 한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발주와 화주 그리고 제 3자 물류회사 간에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다. 여러 회사에서 사용하는 관리 프로그램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질적인 데이터는 제 3자 물류정보시스템에 큰 문제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 공학 방법론을 이용하고, prot$\'{e}$g$\'{e}$를 개발도구로 이용하여 도메인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물류 온톨로지에 규칙 베이스를 만들어서 그들이 완전하게 개념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온톨로지와 룰 베이스의 기초에 제 3자 물류회사의 배송센터에 지능 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정보 시스템의 작업 프로세스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도록 실례를 제시하였다.

제3자 물류기업의 지속적 거래의도가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ontinuing business intent of third party logistics company on logistics outcomes)

  • 양홍준;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3-130
    • /
    • 2016
  • In global competition composition changing rapidly, domestic industry faces changes and logistics industry, one of service industries,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y and national economy. At this moment, companies must suggest differentiated service, strategies, etc. so as to create and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s in comparison with other companies. The requirements preannounce big movement of third party logistics market. Therefore, government, logistics industry and academic world have suggested lots of studies so as to vitalized third party logistics marke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verify that innovative changes are necessary to be existing in fierce competition of third party logistics market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ird party logistics on logistics outcomes so as to form continuous relations with shipper.

PL 사례에 대응한 제품안전성 제고방안

  • 임현교
    • 한국신뢰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뢰성학회 2001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375-375
    • /
    • 2001
  • 금년 7월 1일부터 개정 시행되는 품질경영촉진 및 공산품안전관리범파, 2002 년 7 월 1 일부터 시행되는 제조물책임(Product Liability; PL)법으로 인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정부와 기업. 학계에서 다각도로 진행중이다. 그러나, 그 추진방향들이 아직 제각각이어서 하나의 조직적인 체계를 갖추진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제조물책임에 대응하기 위한 제품안전성 향상이 어느 한 분야의 활동으로는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이지만, 기본적으로는 제품안전이 담당하여야 하는 책임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기업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명확히 이해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기존에 이미 시행착오를 겪은 선진국들의 소송사례를 중심으로 제품결함 중 어느 부분에 문제가 제기되는가를 살펴보고, 그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조물책임법의 제정 취지와 법에서 정하고 있는 책임범위가 어디까지인지를 살펴보고, 선진국의 소송사례를 중심으로 그 적용범위를 확인하였다 또한 제조물책임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살펴보고, 그 중 제품 안전성 (Product Safety) 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뢰성이나 품질측면에서 경영상의 어떤 노력이 경주되어야 하는가를 검토하였다. 한편, 리스크 관리상의 리스크 분석과 위험성 분석과의 관계, 위험성 분석의 기법들, 위험성 분석기법의 선정요령, 제품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의 위험성 분석기법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적용상의 문제점은 없는가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기업들이 가장 소홀하게 대응하고 있는 표시상의 결함에 대하여 소송 및 보상사례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책으로서 픽토그램, 라벨, 경고문구, 그리고 사용설명서의 작성 및 표시 방안에 대하여 대응방안을 고찰하였다. 용융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진공 분위기 하에서 적절한 접합 틈새를 유지할 수 있는 공정 및 장비의 개발이 필요하다.(Icing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Ic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 끝단에서 공기를 추출하여 배기부분에 송출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출구가스의 기체 유동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100-l10m.sec) 이를 완화하기 위한 디퓨저의 설계가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또 연소기 후방에 물을 주입하는 경우 열교환기 및 기타 부분품에 발생할 수 있는 부식 및 열교환 효율 저하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가 적절히 해결되는 경우 비활성 가스 제너레이터는 민수용으로는 대형 빌딩, 산림, 유조선 등의 화재에 매우 적절히 사용되어 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군사적으로도 군사작전 중 및 공군 기지의 화재 그리고 지하벙커에 설치되어 있는 고급 첨단 군사 장비 등의 화재 뿐 아니라 대간첩작전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가 작으며, 본 연소관에 충전된 RDX/AP계 추진제의 경우 추진제의 습기투과에 의한 추진제 물성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7%), 혈액투석, 식도부분절제술 및 위루술·위회장문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각 1례(2.9%)씩이었다. 13) 심각한 합병증은 9례(26.5%)에서 보였는데 그중 식도협착증이 6례(17.6%), 급성신부전증 1례(2.9%), 종격동기흉과 폐염이 병발한 경우와 폐염이 각 1례(2.9%)였다. 14) 식도경 시행회수는 1회가 17례(54.8%), 2회가 9례(29.0%), 3회 이상이

  • PDF

안전 리더십과 리더 신뢰가 근로자 참여 및 안전 지식을 매개로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afety leadership and trust in leader on safety behavior mediated by workers' involvement and safety knowledge)

  • 임정훈;이형용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3호
    • /
    • pp.103-12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기업 내 근로자의 안전 행동과 관리자의 안전 리더십, 리더 신뢰, 근로자 참여, 안전 지식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요인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중대재해 예방에 기여하는 근로자의 안전 행동을 강화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산업재해가 발생하게 되면 기업 입장에서는 재해자를 대상으로 보상을 하는 직접비와 더불어 인적 손실, 물적 손실, 생산 손실, 시간 손실 등 간접비의 발생으로 막대한 손실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조업에 종사하는 생산, 기술, 노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관리자의 안전 리더십과 근로자의 리더 신뢰가 근로자 참여, 안전 지식을 매개로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SPSS 와 PLS를 이용하여서 제조업체 근로자 271명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안전 리더십과 리더 신뢰는 근로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근로자의 안전 지식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근로자의 안전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류서비스 계약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Factors of Logistics Service Contracts)

  • 정경선;김태복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3-116
    • /
    • 2009
  • 물류서비스 아웃소싱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끊임없이 제기되는 이슈 중의 하나는 서비스이용자의 비용절감과 서비스제공자의 수익성 확보 여부이다. 국내의 많은 기업들이 물류서비스 아웃소싱을 하고 있지만, 원하는 수준의 아웃소싱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물류서비스 제공기업들도 불확실한 시장상황과 과도한 단가경쟁으로 수익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아웃소싱 거래기업을 대상으로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여 물류서비스 계약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재 운영 물류관련 표준계약서와 기타 서비스 표준계약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물류서비스 계약이 서비스의 범위와 종류, 그에 따른 서비스 규모와 비용 및 수익구조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기업은 계약을 통해 수익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제공서비스의 수준과 부가가치 서비스 제공 여부, 계약 기간과 절차 등에 좀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문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계약요인을 도출함과 동시에 기존 계약서 분석을 통해 모듈화된 물류서비스 표준계약 조항을 제안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물류서비스 아웃소싱 이용자와 제공자 그룹을 대상으로 한 대량의 조사가 이루어지 않았다는 한계점과 동일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류기업들 간의 비교조사와 그들의 이용자 기업 간의 계약 성과 인식에 대한 세부적인 개별조사를 병행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된 구조의 연구모형으로 더 세부적이고 정량적인 연구 분석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 PDF

물류기업의 환경요인과 환경성과간의 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Distribution Companies)

  • 노미진;장성희;안현숙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41-161
    • /
    • 2014
  • 환경적 관점에서 물류의 고도화가 언급되면서 친환경물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글로벌 경쟁시대에 환경을 고려하여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하여 물류기업들은 GSCM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친환경적 측면에서 물류기업을 살펴보기 위하여 GSCM 도입하고 있는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려고 한다. 연구목적을 살펴보면 GSCM 환경요인을 살펴보고 환경요인과 환경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GSCM 환경요인은 공급업체와의 관계, 마케팅환경, 경쟁업체와의 관계, 내부환경, 에코디자인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물류기업에서는 민첩성이 중요한 요인이므로 GSCM 도입 물류기업도 민첩성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어, 민첩성에 따라 GSCM 환경요인이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GSCM 도입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한 후에 11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Smart PLS를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SCM 환경요인은 환경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민첩성에 따른 차이분석을 수행한 결과, 민첩성에 따라 GSCM 환경요인인 마케팅환경과 경쟁업체와의 관계만이 환경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친환경적 관점에서 GSCM을 도입하고자 하는 물류기업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GSCM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에게도 학문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B2B 관계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수출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antecedents of relationship strength in a B2B environment: Focusing on export manufacturing corporations)

  • 최종화;이현주;강기두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4호
    • /
    • pp.3-34
    • /
    • 2014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출기업들은 무한경쟁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기술을 혁신하고 제품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B2B 환경에서 수출 제조기업이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을 위해서는 글로벌 구매업체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관계강화를 통해서 마케팅 및 거래 비용을 절감하고 기업 활동의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수출 제조기업의 구매업체와의 관계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규명하는 연구로서, 관계강화의 핵심 요인으로 관계품질, 관계품질의 구성 요소로 관계만족, 신뢰, 관계몰입을 채택하였다. 또한, 관계만족의 선행요인으로 기술적 서비스 품질과 관계적 서비스역량을, 신뢰의 선행요인으로 소통과 정보교환, 관계정책, 기회주의적 행동을 살펴보았다. 수출제조기업 P의류업체와 거래관계를 가지고 있는 107개 업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L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출 제조기업의 구매업체와의 관계몰입은 관계강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만족과 신뢰는 관계몰입을 매개로 하여 관계강화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술적 서비스품질은 관계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관계적 서비스역량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소통과 정보 교환, 관계정책은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기회주의적 행동은 부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글로벌 고객사와 win-win 전략 수립 시 자원투입을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가를 판단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물류기업의 관계특성이 협업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Relational Characteristics in Logistics Firm on Collaboration and Performance)

  • 최성광;하명신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3-39
    • /
    • 2011
  • 공급사슬관리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지속적으로 공급사슬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협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물류기업의 관계특성, 협업, 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이며, 특히 관계특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서 두 종류의 협업(운영적 협업과 전략적 협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분석을 위해 물류기업 164개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PLS를 이용해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뢰성, 정보공유는 운영적협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운영적 협업은 공급사슬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지속의지와 정보공유는 전략적 협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전략적 협업은 공급사슬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계 특성과 공급사슬성과 사이에는 운영적 협업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아웃소싱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IT 자원들과 그 관계: 자원기반 관점에서 (A Resource-Based Perspective on Three IT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s in IT Outsourcing)

  • 김치헌;김준석;임건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53-74
    • /
    • 2012
  • IT 아웃소싱은 서로 다른 두 기업의 자원들이 계약이라는 관계를 통해 결합되는 특수한 상황이다. 자원기반 관점(Resource-Based View)에서는 IT 아웃소싱 제공 기업의 자원, 고객 기업의 IT 자원, 그리고 제공 기업과 고객 기업간의 관계 자원이 동시에 IT 아웃소싱 성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 중 이 세 IT 자원들의 영향력을 동시에 비교 분석한 연구가 드물다. 또한 IT 자원은 유형적 IT 자산과 무형적 IT 역량으로 구분되는데, IT 역량만이 IT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Bharadwaj(2000) 등의 주장을 IT 아웃소싱 배경에서 실증 분석한 연구도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1) 세 IT 자원이 IT 아웃소싱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비교검증하고, 2) 특히 고객 기업의 IT 자원을 IT 자산과 IT 역량으로 구분하여 IT 아웃소싱 성공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근 3년간 국내 순위 100위권 내에 속한 기업 138개 중 45개 기업의 62개 IT 아웃소싱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PLS를 사용한 경로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경로분석결과, IT 아웃소싱 제공 기업의 자원은 높은 신뢰관계가 있을 때만 IT 아웃소싱 성공에 영향을 미치고, 고객 기업이 높은 IT 역량을 확보할 때만 IT 아웃소싱이 성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IT 아웃소싱 상황에서도 자원기반 관점을 다시 한번 확증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즉 Bharadwaj(2000)의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기업의 IT 자산이 아닌 IT 역량이 IT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IT 아웃소싱 상황에서 실증적으로 보여주었고, 관계 자원의 중요성도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시하였다.

  • PDF

부가가치 물류의 분석적 체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nalytical Framework of Value Added Logistics throughout closed-loop logistics)

  • 손병석;김윤정;김태복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1-83
    • /
    • 2008
  • 부가가치는 기본적인 활동 외에 부가적으로 창출되는 가치를 의미하며, 이는 기업 경영의 핵심적인 목표일 것이다. 이처럼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국내외 기업들은 아웃소싱, M&A, 핵심역량 강화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부가가치는 물류활동에 있어서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국내외 많은 물류기업들은 차별적인 부가가치 물류서비스 제공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물류환경 변화를 고려한 부가가치 물류를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순방향 물류(Forward Logistics)와 소비자가 반품 배출한 제품을 서비스하거나 재활용하는 역방향 물류(Backward Logistics) 상에 일어나는 각 활동 주체들 간의 물류활동(보관, 포장, 하역, 수송, 정보)과 부가적인활동(단순가공, 조립, 라벨링 등)의 전이(reposition)와 재구축(reengineering)을 통해 전체 물류네트워크의 이익과 고객서비스를 향상시키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부가가치 물류의 개념적 정의와 기업의 전략적 측면을 고려한 부가가치 물류의 분석적 체계를 제시하였다. 이것은 부가가치 물류가 창출될 수 있는 활동 영역을 상위의 공급망 계획과의 연관성, 순방향 물류와 역방향 물류, 취급 품목(상품, 재활용, 재활용품) 등을 고려하여 구분한 것이다. 그리고 물류네트워크 상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각 활동 주체들 간의 물류활동 흐름을 가치경로(Value Route)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가치경로를 통한 물류네트워크 상의 부가가치 활동과 기대효과를 몇몇 사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물류기업들의 경쟁력 이슈인 부가가치 물류에 대하여 정의하고, 부가가치 물류의 창출을 분석적 체계와 가치경로를 통해서 논리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부가가치 물류활동과 관련된 자료 수집이 용이하지 않아 역방향 물류를 포함한 부가가치 활동에 대한 정량적인 수치나 평가 기준 등을 제시하지 못한 연구의 한계가 있다. 향후, 부가가치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자료가 확보된다면, 물류네트워크 상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 활동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부가가치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