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MS

검색결과 6,196건 처리시간 0.044초

HRGC/HRMS에 SP-2331 및 DB-5MS 컬럼 사용시 다이옥신 결과의 비교 (Comparison of Dioxin Analytical Results Between SP-2331 and DB-5MS Capillary Columns in the HRGC/HRMS Analysis)

  • 홍종기;양정수;신정화;안윤경;이대운
    • 분석과학
    • /
    • 제17권2호
    • /
    • pp.184-19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HRGC/HRMS에 의한 다이옥신분석에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SP-2331 및 DB-5MS 컬럼에 의한 독성 2,3,7,8-다이옥신 동족체 분리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컬럼분리성능평가 표준용액과 비산재 시료의 분석을 통하여 이들 컬럼에 의한 tetra, penta 및 hexa-2,3,7,8-동족체의 분리에 대한 부분과 I-TEQ값의 영향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들 두 컬럼에 의한 분석에서 컬럼분리성능평가 표준용액의 경우 DB-5MS에 의해서는 총 2,3,7,8-치환이성체의 농도는 508.4 ng/mL로 나타났으며, SP-2331에 의해서는 515.8 ng/mL로 나타났다. 이들을 I-TEQ값으로 환산하였을 때 거의 동등하게 나타났다. 비산재 시료의 경우에서도 이들 두 컬럼에 의한 2,3,7,8-치환이성체의 총 농도와 I-TEQ값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MS 배지 내 무기물 농도 및 질소 농도가 나리의 자구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S Medium Strength and Nitrogen Concentration on Bulblet Formation and Growth of Lilium In Vitro)

  • 염미란;박현춘;양찬석;백기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41-346
    • /
    • 2001
  • 본 실험에서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asiatic hybrid 'Mona'와 longiflorum hybrid 'Hinomoto'의 기내 인편으로부터의 자구 형성 및 비대를 위해 MS 배지 내 무기물 농도를 0.5∼2배로, 배지 내 총 질소 농도를 30∼120 mM로 달리하여 자구 형성과 생장을 조사한 결과 인편으로부터의 자구 형성수는 0.5와 1배의 MS 배지 무기물 농도 또는 30 mM의 총 질소 농도에서 'Mona' 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가장 많았다. 'Casa Blanca'와 'Hinomoto'에서는 0.5배 MS 무기물 농도 또는 30 mM의 질소 농도가 자구 형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자구 비대는 2배 MS 무기물 농도 또는 120 mM 총질소 농도에서 3품종 모두 양호하였다.

  • PDF

MS/OR EDUCATIONAL SOFTWARE PACKAGES: ARE THEY EFFECTIVE TUTORING PROGRAMS\ulcorner

  • Kim, Eyong-B;Sangjin Yoo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0-37
    • /
    • 2000
  • 오늘날 대단히 많은 MS/OR 교육용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패키지들은 모두 학생들이 MS/OR 기법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되고 있으나 때로는 이들 패키지들이 MS/OR 기법들을 가르치는데 사용되기보다는 구축된 MS/OR 모형의 해(Solution)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MS/OR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이 효과적인 교육용 도구로 사용되지 못하는 이유들을 찾아내 보려 시도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인 한계, 둘째, MS/OR전문가들의 소프트웨어 패키지에 대한 인식부족이다.

  • PDF

L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카벤다짐 분석 (Determination of Carbendazim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by LC-MS/MS)

  • 황래홍;이성득;김정곤;김지영;박소현;김지혜;박정현;한창호;김무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1-146
    • /
    • 2017
  • LC-MS/MS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밀한 카벤다짐 분석법을 연구하였다. 농산물 중 카벤다짐은 acetonitrile로 추출한 후 SPE cartridge을 이용하여 전처리를 수행하였으며, 최소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01과 0.004 mg/kg이었다. 농산물에 각각 1.0 mg/kg 및 0.02 mg/kg 농도의 카벤다짐을 첨가하여 분석 시 회수율과 정밀성은 각각 상추가 84.9%, 1.0% 및 87.8%, 3.8% 얼갈이배추가 83.4%, 1.5% 및 86.8%, 2.7% 양배추가 86.4%, 2.0% 및 77.3%, 1.5% 근대가 83.3%, 0.2% 및 86.8%, 2.0 % 이었으며, 콩나물은 85.9%, 3.0% 및 90.1%, 1.3%, 그리고 숙주나물이 83.3%, 2.0% 및 85.9%, 1.9% 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시험법은 식품공전의 다성분분석법에 비해 신속하고 정밀한 분석법으로 농산물에 대한 카벤다짐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바이오리액터 배양기에 의한 감자소괴경 대량 생산 (Mass production of potato microtubers by bioreactor culture)

  • 김재훈;최은경;오승철;주선아;유동민;김순갑;김정국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10-114
    • /
    • 2010
  • 조직배양 감자줄기를 1/3 MS 액체배지가 첨가된 18 L 바이오리액터 배양기에서 배양하였을 때 생중량 증식이 가장 양호하였고, 1/4 MS 액체배지, 1/2 MS 액체배지 순으로 감자줄기의 생중량이 증가하였다. 감자 소괴경 형성은 감자줄기를 배양한 바이오리액터에서 배지를 따라 내고, 소괴경 형성용 배지로 교환하여 어두운 곳에서 암배양하면 소괴경이 형성되었다. 소괴경은 암배양 1주후부터 줄기 마디의 측아에서 생성되기 시작하여 3주 정도에 대부분이 형성되고 1.5 MS 액체배지와 $20^{\circ}C$ 온도 조건이 최적이었다. 이 조건에서는 6주 정도 배양하면 18L 바이오리액터 배양기에서 1,000개 이상의 소괴경을 생산할 수 있었다. 어두운 배양조건에서 소괴경이 거의 성장하면 바이오리액터를 빛이 있는 조건으로 옮겨 1주정도 배양한 후 녹화된 소괴경를 수확하였다.

팬텀 내 조영제 농도에 따른 뇌 대사물질 Spectrum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Brain Metabolite Spectrum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rast Media in Phantom)

  • 신운재;강은보;천송이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7-53
    • /
    • 2015
  • 본 연구에서 3.0 T에서 조영제 몰 농도에 따른 뇌 대사물질의 MR spectrum을 Phantom에서 PRESS 펄스 파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뇌 대사물질인 N-Acetyl Asparatate(NAA), Choline(Cho), Creatine(Cr)의 spectrum은 획득할 수 있었지만, Lactate(Lac)는 획득할 수 없었다. 조영제가 없는 대조군의 TR 2000 ms가 NAA, Cho에서 TR 1700 ms와 TR 1500 ms보다 높게 측정되었고, Cr에서는 TR 1500 ms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조영제가 희석된 TR 1700 ms에서 $0.1mmol/{\ell}$의 NAA 73%, Cho 249%, Cr 37%로 다른 TR 값보다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0.3mmol/{\ell}$에서도 신호크기가 증가하였다. $0.5mmol/{\ell}$에서는 뇌 대사물질들의 신호크기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TR 1500 ms과 TR 2000 ms에서는 대조군보다도 감소하였다. NAA/Cr, Cho/Cr에서도 조영제 농도가 $0.1mmol/{\ell}$, $0.3mmol/{\ell}$, $0.5mmol/{\ell}$로 증가할수록 신호크기가 감소하였다. 조영제에 의한 MRS PRESS 펄스파형의 적정화를 위하여 3.0T에서 TR 2000 ms 보다 조영제 농도가 낮은 $0.1mmol/{\ell}$$0.3mmol/{\ell}$에서 신호크기가 가장 높고, 조영제 농도가 높은 $0.5mmol/{\ell}$에서는 신호크기가 가장 적게 감소한 TR 1700 ms로 반복시간을 단축시켜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설사성 패류독의 LC-MS/MS에 의한 분석 (Detection of Diarrhetic Shellfish Poisons by LC-MS/MS)

  • 윤소미;장준호;신일식;이종옥;이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926-931
    • /
    • 2007
  • LC-MS/MS법에 의하여 설사성 패류독소 7종(okadaic acid, dinophysistoxin-1, -3, pectebotoxin-1, -2, -6, yessotoxin)의 동시 분석 조건을 확립하였고, 2006년 3월부터 9월까지 매월 5종의 이매패(굴, 진주담치, 반지락, 가리비, 개조개, 6월부터 9월까지는 가리비 대신 피조개)를 정기적으로 통영시장에서 구입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마우스 검사법과 비교하였다. 마우스 검사법으로는 총 35종 시료 중 3월의 굴과 진주담치에서 0.05${\sim}$0.1 MU/g의 독성을 나타내었으나, 이미 알려진 설사성 패류독소는 전혀 검출되지 않아 다른 성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LC-MS/MS법에 의하여서는 6월 진주담치에서 dinophysistoxin-1(DTX1)이 0.05 ${\mu}g/g$ 검출되었으며, 8월의 모든 시료에서 okadaic acid(OA)가 0.01${\sim}$0.02 ${\mu}g/g$ 검출되었다. 이들은 외국의 기준치[0.05 MU/g(일본), OAs(OA+DTX1) 0.16 ${\mu}g/g$(EU)]보다 매우 낮은 함량으로 식품 위생상 안전하였다.

조직배양에 의한 하늘타리의 증식 (In vitro Propagation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

  • 황성진;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0
    • /
    • 2001
  • 하늘타리 (T. kirilowii)의 기내 (in vitro) 대량증식을 위하여 줄기절편을 2 mg/L BA가 첨가된 MS 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정단부위가 포함된 줄기절편의 기저부로부터 다수의 부정아가 형성되었다. 부정아는 정상적인 신초로 분화하였으며, 이와같이 형성 된 신초는 0.5 mg/L BA가 첨가된 MS 배지로 옮겼을 때 4주 후 시료당 $17.3{\pm}0.2$개의 신초로 재분화하였다. 신초의 증식에 있어서 배지내 탄소원으로는 3% sucrose가 적절하였으며, 고형물질에 의한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신초의 발근은 무기염 의 농도가 절반으로 줄어 든 1/2MS 배지 (2% sucrose, 0.3% phytagel, pH 5.7)에서 신초당 $4.3{\pm}0.02$개로 96%이상 형성 되었다.

  • PDF

Evaluation of the inhibitory effect of Gynostemma pentaphyllum extracts on CYP450 enzyme activities using LC-MS/MS

  • Jun Sang Yu;Young Seok Ji;So Young Jo;Xiang-Lan Piao;Hye Hyun Yoo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4권3호
    • /
    • pp.116-119
    • /
    • 2023
  • Gynostemma pentaphyllum (Thunb.) Makino extract, a natural product with a history of traditional use, has gained attention for its potential health benefi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key cytochrome P450 (CYP) enzymes using LC-MS/MS. Human liver microsomes and cDNA-expressed CYP2C8, CYP2C9, CYP2C19, and CYP3A4 supersomes were employed. Enzyme activity was assessed based on the formation of CYP-specific marker metabolites. The resulting data showed that the extract exhibited inhibitory effects on CYP2C8, CYP2C9, CYP2C19, and CYP3A4. Thus, G. pentaphyllum extract may influence the pharmacokinetics of drugs metabolized by CYP2C8, CYP2C9, CYP2C19, and CYP3A4.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potential herb-drug interactions when incorporating this extract into therapeutic regimens or dietary supplements.

치주수술 후 지각과민증에 대한 MS Coat와 엘멕스 겔처치의 임상적 효과 (Clinical Effect of MS Coat and Elmex gel on the Dentin Hypersensitivity following Periodontal Surgery)

  • 박성민;임성빈;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4호
    • /
    • pp.727-736
    • /
    • 2001
  • Dentinal hypersensitivity is one of the complicated symptom rather than a disease. It has special reaction or pain over uncovered root by heat, mechanical or chemical stimulations, which are normal with healthy tee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rather MS Coat (oxalate-containing pre-polymerized resin suspension) or Elmex gel(amine fluoride+sodium fluoride) is effective on hypersensitivity after periodontal treatment using NRS(Numerica1 Rating Scales), which it is useful for evaluating pain level. This study has been prepared in Dankook Dental Hospital with generally healthy adult who had been suffered from dentinal hypersensitivity after periodontal treatment. Divided in three groups with saline(control group), MS Coat(test 1 group) and Elmex gel(test 2 group). And then, following evaluations were made at the end of 1 minute, 1 week, 1 month and 3 months. 1. The sequence of higher frequency & severeness of hypersensitivity is water within $7^{\circ}C$, air stream & explorer. 2. As time goes on, 1 minute, 1 week, 1 month & 3 months, severeness of hypersensitivity scored lower with water, air stream and explorer. 3. With explorer, the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as time had to seen. 4. With air stream, the sensitivity scored lower after 1min with MS Coat, Elmex, and saline sequence. As time goes on the sensitivity was lower with MS Coat and Elmex than salin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S Coat and Elmex. 5. With water in $7^{\circ}C$, the sensitivity was much decreasing with MS Coat and Elmex than salin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S Coat and Elmex. As the result, MS Coat and Elmex are effective on hypersensitivity caused by periodontal trea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