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 day Embryo transfer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33초

한우 종모우의 고환둘레와 정액 생산 및 후대의 성장${\cdot}$도체형질과의 관계 (Relationships of Scrotal Circumference of Hanwoo Sire to Semen Production and Performance, Carcass Traits of Offspring)

  • 이성수;박노형;정준;원유석;강구온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7-132
    • /
    • 2004
  • 한우 종모우의 고환둘레와 정액성상 그리고 후대희 성장 및 도체성적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4~8세 한우 종무우 92두를 공시하였으며 8,628개의 종모우 정액성상 그리고 종모우 후대 814e의 성장 및 도체성적을 이용하였다. 종모우의 고환둘레는 38.7${\pm}$3.73 cm, 1차 정액량, 정자농도 및 총정자수는 각각 5.63mL, 17.9${\times}10^8$/mL 및 100.34${\times}10^8$/ejaculation 이었고 2차 정액량, 정자농도, 및 총정자수는 각각 5.32mL, 15.0${\times}10^8$/mL 79.4${\times}10^8$/ejaculation 이었다. 고환둘레는 정액량(1st : ${\gamma}$=0.27, P<0.05 ; 2nd : ${\gamma}$ = 0.19, P < 0.10), 정자농도(1st : ${\gamma}$=0.21, P<0.05 ; 2nd : ${\gamma}$ = 0.28, P < 0.01)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종모우 후대들의 생체중은 6, 12, 18, 그리고 22개월령에 각각 49.2, 281.1, 436.3 그리고 534.4kg 이었고 일당증체량은 0.81 kg/day이었다. 그리고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그리고 근내지방도는 각각 313.8 kg, 77.9 cm, 0.62 cm and 2.47 이었다. 종모우의 고환둘레가 클수록 후대들의 6(${\gamma}$=0.08, P<0.10), 12(${\gamma}$=0.18, P<0.10), P<0.10), 18(${\gamma}$=0.21, P<0.10), 22개월령(${\gamma}$=0.20, P<0.10)의 생체중, 일당증체량(${\gamma}$=0.25, P<0.05) 그리고 배최장 근단면적(${\gamma}$=0.19, P<0.10)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종모우의 고환둘레와 후대들의 근내지방도 및 등지방두께와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종모우의 고환둘레와 정액성상 그리고 후대들의 성장률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경향을 보였지만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난자 세포질내 정자 주입술 후 동결보존 배아이식: 고식적 체외수정시술과의 비교 연구 (Clinical Outcome of Transfer of Cryopreserved-Thawed Embryos Obtained after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In Vitro Fertilization)

  • 김석현;지병철;정병준;김희선;류범용;방명걸;오선경;손철;서창석;최영민;김정구;문신용;이진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3호
    • /
    • pp.281-292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trospectively the survival and pregnancy rates(PR) of cryopresered-thawed embryos obtained from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or conventional in vitro fertilization (IVF). Ninety-six cycles of cryopresered-thawed embryo transfer (ET) were performed in 79 patients from June, 1996 to September, 1997 and grouped as followings: 20 cycles (16 patients) inseminated by ICSI (ICSI Group) and 76 cycles (63 patients) by conventional IVF (IVF Group). Slow-freezing and rapid-thawing protocol was used with 1.5M propanediol (PROH) and 0.1M sucrose as cryoprotectant. All embryos were frozen-thawed at the two pronuclear (2 PN) stage excluding four cycles in which the early cleavage stage embryos were frozen, and allowed to cleave in vitro for one day before ET. The duration from freezing to thawing was comparable in both groups ($mean{\pm}SD$, $112.1{\pm}80.0$ vs. $124.8{\pm}140.1$ days). The age of female ($31.2{\pm}3.4$ vs. $32.6{\pm}3.3$ years) and the endometrial thickness prior to progesterone injection ($9.4{\pm}2.0$ vs. $9.3{\pm}1.8$ mm) were also comparable in both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utcomes of cryopreserved-thawed ET between two groups: survival rate ($85.2{\pm}16.1%$ vs. $82.2{\pm}19.7%$), cleavage rate ($96.9{\pm}6.7%$ vs. $94.7{\pm}13.0%$), cumulative embryo score (CES, $54.5{\pm}31.1$ vs. $49.0{\pm}20.0$), preclinical loss rate (5.0% vs. 5.3%), clinical miscarriage rate (0% vs 29.4%), clinical PR per transfer (35.0% vs. 22.4%), implantation rate (9.9% vs. 5.6%), and multifetal PR (42.9% vs. 17.6%). In conclusion, human embryos resulting from ICSI can be cryopreserved-thawed and transferred successfully, and the survival rate and PR are comparable to conventional IVF.

  • PDF

인공수정 후 외인성 Progesterone과 Estradiol 병용 및 Progesterone 단독 투여 기간이 젖소의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uration Treated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Holstein Cows Treated with Progesterone with and without Estradiol)

  • 백광수;이왕식;박수봉;박성재;김현섭;이현준;기광석;강석진;안병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5-198
    • /
    • 2007
  •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인공수정 후 외인성 progesterone과 estradiol을 병용 투여하거나 progesterone을 단독 투여하는 경우에 처리기간별 젖소의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군, CIDR에 estradiol 캡슐을 부착시킨 progesterone과 estradiol 병용 투여군(PE군) 및 CIDR에서 estradiol 캡슐을 제거한 progesterone 단독 투여군(P군)로 구분하여, 인공수정 후 14일째에 각 투여군에 따른 CIDR를 질내에 삽입하여 그 날로부터 7일째에 제거하였고(P-7), 5일구의 경우, 인공수정 후 16일째에 CIDR를 질내에 삽입하여 그 날로부터 5일째에 제거하였으며(P-5), 3일구의 경우, 인공수정 후 18일째에 CIDR를 질내에 삽입하여 그 날로부터 3일째에 제거하는 경우에(P-3) 첫 수정시 수태율, 인공수정 후 200일 동안 수태까지의 일수 및 수태당 종부 횟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4군 및 P4+E2군에서 처리기간별 첫 수정시 수태율은 대조구의 경우 15.8%였고, P-7구, P-5구 및 P-3구의 경우, 각각 40.0%, 37.5% 및 28.6%였으며, PE-7구, PE-5구 및 PE-3구의 경우, 각각 62.5%, 50.0% 및 0%였다. 2. P4군 및 P4+E2군에서 처리 기간별 인공수정 후 수태까지의 일수는 대조구의 경우 64.9일이었고, P-7구, P-5구 및 P-3구의 경우, 각각 63.0일, 59.1일 및 8.0일이었으며, PE-7구, PE-5구 및 PE-3구의 경우, 각각 0.0일, 18.9일 및 83.3일로 PE-7구가 대조구 및 PE-3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P4군 및 P4+E2군에서 처리 기간별 수태당 종부 횟수는 대조구의 경우 2.7회였고, P-7구, P-5구 및 P-3구의 경우, 각각 2.3회, 1.9회 및 1.3회였으며, PE-7구, PE-5구 및 PE-3구의 경우, 각각 1.0회, 1.7회 및 2.8회로 PE-7구가 대조구 및 PE-3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감소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쥐 수정란의 핵이식에 관한 연구 I. 모성 및 부성 genome의 기능차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nuclear transplantation in mouse embryos. I. Functional differences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genomes)

  • 최상용;박충생;이효종;박희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3-127
    • /
    • 1990
  • 모성 및 부성 genome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미세조작기법과 Sendai virus를 이용한 핵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2개의 자성전핵만으로 구성된 2배체의 gynogenetic 수정란을 그리고 2개의 웅성전핵만으로 구성된 2배체의 androgenetic 수정란을 인위적으로 작출하였다. 이들의 작출효율은 biparental 수정란에서는 56%, gynogenetic 수정란에서는 50% 그리고 androgenetic 수정란에서는 56% 이었다. 이들을 체외에서 배양한 결과 gynogenetic 및 androgenetic 수정란은 2-세포기 이후에는 biparental 및 intact 수정란에 비하여 그 발달능이 매우 저조하였으나 이들 중 25% 이상이 포배까지 발달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Gynogenetic 및 androgenetic 수정란을 동기화된 수란생쥐의 난관내에 이식하였던 바, androgenetic 수정란은 전혀 착상 되지 않았으나, gynogenetic 수정란에서는 착상이 확인되었다. 핵이식기법으로 인위조작된 2배체의 biparental 수정란으로부터 28마리의 생쥐 신생자를 생산하였다.

  • PDF

과배란유도 월경주기에서 혈중 Estradiol Andrstenedione 및 Testerone농도의 동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rum Estradiol (E2), Androstenedione (ADD) and Testosterone (T) Levels in the Hyperstimulated Ovulatory Cycles)

  • 김종화;이진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3권2호
    • /
    • pp.101-112
    • /
    • 1986
  • It is now common practice to attempt ovarian hyperstimulation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ultiple preovulatory follicles and to maximize the number of mature egg available. There are several drugs for hyperstimulation such as clomiphene citrate only, clomiphene citrate and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HMG) and HMG only. Accumlated experience has shown that the hyperstimulation of the ovary in IVF-ET results in high pregnancy rate. But the hyperstimulation of the ovary in IVF-ET may cause the hyperandrogenism, so we must consider the adverse effect on pregnancy rate of the hyperandrogenism. Little is known about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androgen for the follicular growth, however, the hyperandrogenism might interfere with oocyte maturation. The aim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determine the serum profiles of estradiol, androstenedione and testosterone during the hyperstimulated menstrual cycles in IVF.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a gradual increase in the mean levels of serum estradiol, androstenedione, and testosterone approaching follicular maturation. 2. The mean serum estradiol levels in the hyperstimul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in late follicular phase and ovum retrieval (ovulation) day (p<0.01). 3. The mean serum androstenedione levels in the clomiphene citrat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in late follicular phase (p<0.0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mean serum androstenedione level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HMG group (p>0.05).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levels of testosterone among each group (p>0.05). 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mean levels of estradiol, androstenedione and testosterone between the fertilized patients and non-fertilized patients in clomiphene citrate and HMG group (p>0.05).

  • PDF

돼지 난자의 직경이 체외성숙 및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Porcine Oocyte Diameter in Relation to Maturational and Development Competence)

  • 정기화;허태영;곽대오;박충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22
    • /
    • 1999
  • 도축장에서 채취한 돼지난자를 직경별로 $5\mu\textrm{m}$ 간격으로 나누어, 난자의 크기에 따른 체외성숙과 발육능을 구명코자 체외성숙과 체외수정 후의 배 발달율을 조사하였다. 채취한 난자의 투명대를 제외한 평균직경은 $114.4\pm5.45\;\mu\textrm{m}$ 이었으며, 직경별 분포는 < 105, 105~110, 110~115,115~120, 120~125, $125\;\mu\textrm{m}$<이 각각 3.0, 11.0, 31.2, 41.5, 13.0 및 0.4%로 72.7%가 110부터 $120\;\mu\textrm{m}$ 사이였다. 체외성숙율에 있어서 직경 $105\;\mu\textrm{m}$ 미만난자는 66.7%인 반면 $105\;\mu\textrm{m}$ 이상의 난자는 91.8~100%로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체외수정율도 직경 $105\;\mu\textrm{m}$ 미만인 난자는 50% 이었던 반면, $105\;\mu\textrm{m}$이상은 8106~85.5%로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다정자침입율에 있어서 $110\;\mu\textrm{m}$이상의 난자는 17.8~27.7%로 $105~110\mu\textrm{m}$ 의 37.5% 보다 낮았다. 난자의 직경별 배반포기까지의 발달율은 $105\;\mu\textrm{m}$ 이하는 전혀 발달하지 않았고(0%), $105~110\mu\textrm{m}$는 701%, $110~11\;5\mu\textrm{m}$ 12.5%, $115~120\; \mu\textrm{m}$ 24.0%, $120~125\; \mu\textrm{m}$ 18.3%, $120\; \mu\textrm{m}$<0%로, $115~120\; \mu\textrm{m}$ 직경난자의 체외발달율이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돼지의 체외수정용 나자는 직경 $110\; \mu\textrm{m}$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분만후 젖소에 있어서 $PGF_2a+PGF_2a+CIDR$ Program 적용에 의한 발정유기시 BCS의 영향 (Effect of $PGF_2a+PGF_2a+CIDR$ Program on Estrous Response in Holstein with Varying BCS in Early Postpartum)

  • 백광수;박성재;박수봉;김현섭;이현준;이왕식;전병순;안병석;김재기;정경용;손준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9-287
    • /
    • 2005
  •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분만후 난소 활동의 재개 및 분만후 40일째 BCS가 $PGE_2a+PGE_2a+CIDR$ (PPC) program 적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2년부터 2003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축산연구소 및 천안 소재 전문 경영체 젖소농 장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우를 대상으로 분만 후 난소 활동의 재개를 조사하기 위한 착유우21두 및 분만후 40일째 BCS가 PPC program 적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착유우 40두를 공시하여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분만후 처음으로 유즙중의 progesterone농도가 1.0ng/mL 이상을 나타내는 비율은 10${\~}$30일이 $42.9\%$, 31${\~}$50일이 $19.1\%$였고 분만 후 50일까지 1.0ng/mL 이상을 나타내지 않은 경우가 $38.1\%$였다. 2. 분만후 40일째부터 PPC program을 투입한 결과 1차 및 2차 $PGF_2a$ 처리에 대한 발정반응은 각각 $47.5\%$$52.4\%$였고, $PGF_2a+PGF_2a$ (PP) program투입에 의해 40두중 30두($75\%$)가 발정 반응을 나타내었다. PP program 투입에 의해 발정 반응을 나타내지 않은 10두에 대한 CIDR 처리의 발정 반응은 $50\%$를 나타내었다. 분만후 40일째에 PPC program 을 적용한 결과 40두중 35두가 발정 반응 ($87.5\%$)을 나타내었다. 3. 1차 및 2차 $PGF_2a$ 처리에 따른 발정 반응은 BCS 2.50 이하의 경우 13두중 8두($61.5\%$), BCS 2.75${\~}$3.50의 경우 27두중 22두($81.5\%$)로 2.75${\~}$3.50의 경우가 2.50 이하의 경우에 비하여 높은 발정반응을 나타내었다. 4. 2차 $PGF_2a$ 처리후 발정 반응을 나타내지 않은 개체에 대하여 CIDR을 처리한 결과, BCS 2.50이하의 경우 5두중 2두에서 발정 반응($40.0\%$)을 나타내었고 BCS 2.75${\~}$3.50의 경우 5 두중 4두에서 발정 반응($80\%$)을 나타내었다. 5. 분만후 40일째부터 PPC program을 적용하여 발정 반응을 검토한 결과 BCS 2.50 이하의 경우 13두중 10두가 발정 반응($76.9\%$)을 나타내었고 BCS 2.75${\~}$3.5의 경우 27두중 26두가 발정 반응($96.3\%$)을 나타내어 2.75${\~}$3.5의 경우가 2.50 이하의 경우에 비하여 높은 발정반응을 나타내었다.

인공수정 후 외인성 Progesterone과 Estradiol 병용 투여 및 Progesterone 단독 투여가 젖소의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 (Reproductive Performance of Holstein Cattle Treated with Progesterone and Combination of Progesterone and Estradiol)

  • 백광수;이왕식;손준규;박수봉;박성재;김현섭;이현준;강석진;정경용;전병순;안병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19
    • /
    • 2007
  •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인공수정 후 외인성 progesterone과 estradiol을 병용 투여하거나 progesterone을 단독 투여하는 경우에 젖소의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군, CIDR에서 estradiol 캡슐을 부착시킨 progesterone과 estradiol 병용 투여군(P4+E2군) 및 CIDR에서 estradiol 캡슐을 제거한 progesterone 단독 투여군(P4군)로 구분하여, 인공수정 후 14일째에 질내에 삽입한 후 삽입한 날로부터 7일째에 제거하였다. 수태된 개체에 대해서는 수태율을 분석하였고, 수태되지 않은 개체에 대해서는 수정 후 수태까지의 일수, 수태당종부 횟수, 수태가 되지 않은 경우의 차기 발정에 따른 발정강도 및 CIDR 삽입 기간 동안 및 제거한 후의 혈중 progesterone 농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4+E2군 및 P4군에 따른 수태율에 있어서는 대조군의 경우 15.4%였고, P4+E2군의 경우 60.0% 및 P4군 38.9%로 P4+E2군의 수태율이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혈청 중 P4 농도 측정을 위하여 처리 후 0일째(발정 주기 14일째), 2일째(발정 주기 15일째), 3일째(발정주기 17일째), 6일째(발정 주기 20일째), 8일째(발정 주기 1일째), 9일째(발정 주기 2일째), 10일째(발정 주기 3일째), 13일째(발정 주기 6일째)에 채혈하여 측정한 결과, 처리 후 8일째(발정주기 1일째), 9일째(발정주기 2일째) 및 13일째 (발정 주기 6일째)에는 P4+E2군이 대조군 비임신군 및 대조군 임신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무발정우에서 Progesterone Implant와 Follicular Rupture에 따른 발정유도 및 임신율 (Effect of Progesterone Implant and Follicular Rupture on Estrus Induction and Fertility in Anestrus Cows)

  • 최상용;황영균;이성림;조상래;옥선아;노규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5-124
    • /
    • 2003
  • 무발정 증상을 보이는 젖소 65두를 대상으로 몇 가지 호르몬 처리기법을 사용하여 소의 번식효율 향상시키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Group 1. Ovsynch program (GnRH-PGF$_2$ a /PGF$_2$ a/GnRH), Group 2. Two plus Two program (GnRH-PGF$_2$ a /PGF$_2$ a/GnRH), Group 3. progesterone implant (CIDR)-GnRH/PGF$_2$ a/PGF$_2$ a/GnRH과 Group 4. (Follicular rupture-progesterone implant-GnRH/ PGF$_2$ a/PGF$_2$ a/GnRH)로 구분하고 최종 GnRH 처지 후 발정 유도율, 발정유도시간, 임신율, 유산율, 인공수정 후 60일까지의 임신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정 유도율은 Group 1, 2, 3에서는 각기67%, 75%, 70%로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Group 4에서는 86%로서 유의적(P<0.05)으로 높은 발정율을 나타내었다. 2. 발정 유도 시간은 progesterone implant를 사용한 Group 3과 Group 4는 각각 24, 23시간으로 발정유도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3. 각 호르몬 투여 임신율은 progesterone implant를 사용한 Group 3과 Group 4가 75%, 85%로서 사용하지 않은 Group 1과 Group 2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임신율을 나타내었다. 4. 임신 49일까지의 유산율은 Group 4가 5.9%로 낮은 유산율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무발정우에서 각종 호르몬을 투여하기 전에 난소를 확인하여 폐쇄 난포가 있는 것은 폐쇄난포를 제거하고 progesterone implant 제제인 CIDR를 질내에 장착하는 것이 무발정우의 발정유기 및 수태율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체외수정 과배란 유도에서 hCG 주사 당일의 혈청 Progesterone과 Estradiol 농도가 수정율 및 임신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he Serum Progesterone and Estradiol Levels of hCG Administration Day on the Pregnancy and Fertilization Rate in IVF-ET Patients)

  • 이은숙;이상훈;배도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1호
    • /
    • pp.51-59
    • /
    • 1996
  • 체외수정 시술을 위해 중앙대학교부속병원 산부인과학 교실 불임크리닉을 방문한 환자중 1993년 3월부터 1994년 8월까지 난관폐쇄로 인하여 불임이 된 환자 113명(119주기)을 대상으로 GnRH-a 병합요법 중 Short protocol 방법으로 과배란시 임신된 45명(47주기)과 임신이 되지 않은 68명(72주기)에서 hCG 투여 당일 혈청내 E2 및 P4 수치를 측정하여 임신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1. 환자의 평균 연령 및 불임기간은 임신군에서 $33.2{\pm}14.8$세 및 $4.2{\pm}3.4$년이었으며 비 임신군에서는 $34.5{\pm}21.7$세 및 $3.9{\pm}2.8$년으로 연령 및 불임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2. hGC 투여 당일 측정한 혈중 E2치는 임신군에서는 $1643{\pm}987.9$ pg/ml, 비임신군에서는 $1367{\pm}875.8$ pg/ml로 임신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또한 혈중 LH치는 인신군 에서는 $16.7{\pm}10.4$ ng/ml, 비임신군에서는 $18.3{\pm}8.3$ ng/ml로 임신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P<0.01). 혈중 P4치는 임신군에서는 $1.0{\pm}0.7$ ng/ml이었고 비임신군에 서는 $2.1{\pm}1.4$ ng/ml로서 임신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3. hCG 투여당일 E2/P4 비는 임신군에서 $1865.6{\pm}318.1$, 비임신군에서는 $1324{\pm}377.7$ 로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Table 3). 4. 주기당 수정율은 임신군에서 $61.3{\pm}21.3%$, 비임신군에서는 $41.1{\pm}20.3%$로 임신군에서 의미있게 높았고(P<0.01) 이식된 배아의 수는 임신군 47주기에서 $4.2{\pm}2.2$개, 비임신군 72주기에서는 $2.3{\pm}1.2$개로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Table 4). 이상에서 임신이 된 군은 임신이 안된 군보다 혈중 progesterone 치가 의미있게 낮았고 혈중 estradiol 치는 의미있게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혈중 progesterone 및 estradiol치는 과배란 유도 후 체외수정시술에 있어서 수정율 및 임신율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되며 이는 체외수정시술시 과배란후 임신의 예후판정에 효용성이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