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차처리

검색결과 4,113건 처리시간 0.029초

7050 Al 합금의 RRA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RA(Retrogression and Reaging) treatment of 7050 Al alloy)

  • 최중환;김장량;이상래;김인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7호
    • /
    • pp.493-498
    • /
    • 2000
  • 7050 AI합금을 RRA 처리하였을 때 경도, 전기전도도 및 미세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20도씨에서 24시간 동안 1차 시효처리한 후 175도씨에서 2차 퇴화처리하였을 때 경도값의 변화는 초기에 감소하다가 피크 경도를 보인 다음 다시 감소하였으며, 3차 재시효처리재가 2차 시효처리재 보다 큰 경도값을 나타내었다. 2차 퇴화처리시 초기 경도 감소는 T6의 주 강화상인 GP zone의 부분적인 분해에 의한 것이며, 3차 재시효 처리하였을 때 강화상은 GP zone과 파이상이었다. 120도씨에서 24시간 동안 1차 시효처리한 후 175도씨에서 2차 퇴화처리하였을 때 전기전도도 변화는 퇴화 쵤부터 연속적으로 증가혀였으며, 3차 재시효처리에 의해 2차 퇴화처리시 보다 %IACS가 0.5 ~ 2.7 증가하였다. 3단시효에 의해 T6정도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38%IACS값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얻을 수 있는 최적 퇴화처리 조건은 $175^{\circ}C$ 50분이었다. 이는 퇴화처리 경도곡선의 극소점 또는 극대점과 무관하며 오히려 약간 과시효 조건이다.

  • PDF

차응애의 cyenopyrafen에 대한 감수성 (Susceptibility of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Acari: Tetranychidae) to Cyenopyrafen)

  • 백채훈;김상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0-174
    • /
    • 2010
  • 차응애에 대해 cyenopyrafen의 효력을 검정한 결과, 실내시험에서 차응애의 난, 유충, 전약충과 암컷성충에 대해 매우 우수한 약효를 보였다. Cyenopyrafen의 처리에서 생존한 차응애 암컷성충들의 산란수는 아주 적어 무처리와 큰 차이가 있었으며, 산란된 난은 전혀 부화되지 않았다. 시험약제는 125와 83.3 ppm 처리에서 차응애의 암컷성충에 대해 처리 후 15일까지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포장시험에서 cyenopyrafen은 차응애의 혼합태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밀도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시험결과들로 보아 cyenopyrafen은 차응애의 방제약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살응애제의 적정 사용농도는 83.3 ppm으로 판단된다.

제주산 차의 발효 정도에 따른 생리활성 기능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the Physiologic Activities of the Jeju Tea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al Degree)

  • 박신영;이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6-242
    • /
    • 2011
  • 제주산 녹차 및 발효 정도를 20%, 50%, 80%로 달리한 3종류의 발효차를 $90^{\circ}C$ 열수에 추출하여 추출물의 항산화능, 지질과산화 억제능 그리고 혈관내피세포(CPAE)를 이용하여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녹차나 다른 발효차에 비해 20% 발효차에서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DPPH 소거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 발효차의 80 ${\mu}g/mL$ 처리 시 50 ${\mu}M$ 농도의 EGCG 처리와 거의 유사한 free radical 소거율을 보였다. 녹차와 3종류의 발효차 모두 LDL 산화를 억제하여 우수한 지질과 산화 억제능을 보였으나 특히 저농도인 40 ${\mu}g/mL$ 처리 시에 녹차와 20% 발효차의 경우 다른 발효차에 비해 25~30% 정도 더 LDL의 산화가 억제 되어 50 ${\mu}M$/mL EGCG 처리 시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보였다. CPAE 세포에 녹차 및 3종류의 발효차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에서 전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세포활성이 40~60% 증가하였다. 특히 세포에 1 mM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한 실험에서 녹차 및 발효차 추출물의 처리가 세포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녹차 및 발효차 추출물이 세포 내 free radical을 제거함으로써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에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로 작용한 것과 20% 발효차가 다른 발효차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기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개양 Mulching 담배 재배에 따른 잔류독성 기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sidual Tobacco poison to Cocoon Crops according to the Tobacco Cultivation of the Mulching System)

  • 이상풍;김정배;홍기원;마영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7-84
    • /
    • 1974
  • 개량 Mulching 담배조기재배에 따른 Nicotine이 뽕잎에 오독되었을 경우 누에에 영향을 주는 잔류독성 기간을 알고져 담배 품종 Hicks인 25a의 개량 Mulching재배 담배밭에 1973년 6월 18일∼8월 4일 까지 47 일간 동년 춘식한뽕 pot를 격휴로 배치하여 Nicotine 오독 처리구를 설정하고 무처리인 대조구는 동일한 일조 몇 통퐁조건을 위하여 춘벌뽕밭 이랑에 동일하게 설치하고 pot격리일로 부터 5(1차), 15(2차), 25(3차), 50(4차) 일 별로 시기를 연장급여시킨 시험에서 1,2,3차는 3령까지 경과시수와 각령별 기잠체중, 지면잠비율 및 생존율을 조사했고, 4차는 4령까지 동일한 방범으로 조사한 결과, 1. 1∼2령 경과시수는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는 1 차가 28시간으로 12%, 2차는 37시간으로 17%, 3차는 50시간으로 23%, 4차는 43시간으로 17%의 경과가 길어졌으며 4차에 있어서 3∼4령 경과는 55시간으로 18%의 경과가 길었다. 2. 각령별 기잠체중에 있어서 2령은 3,4차, 3령은 1∼4차, 4령은 pot격리 50 일후에 소잠한 4차에 있어서도 각 시기 공히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의 기잠체중이 감소되었다. 3. 각령별 지면잠비율에 있어서는 2령은 3,4차, 3령은 5차를 제외한 1,2,4차, 4령은 4차까지도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는 지면잠비율이 높았다. 4. 각령별 생존율에 있어서는 2령은 2∼4차, 3령은 1∼4차, 4령은 4차까지도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는 생존율이 낮았다. 이상을 종합하여보면 Nicotine함량이 적은 Hicks품종의 담배밭에서 오독 시킨 뽕잎이 pot격리일로 부터 50일 후의 처리에도 그 독성이 인정되었으며 4차소잠(pot격리 50일)구의 누에 경과시수를 감안할 때 60여일 까지도 독성이 잔류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고 담배 품종 및 오독조건의 정도에 따라서는 그 이상 길어질 가능성도 보였다.

  • PDF

아미노산 엽면 시비가 멜론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oliar Application of Amino Acid Mixture on the Growth of Melon Seedlings)

  • 김영식;김혜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4-80
    • /
    • 2002
  • 아미노산 엽면 시비가 멜론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처리 시기는 본엽 1매 전개시(Ll)와 2매 전개시(L2)로 나누었고, 아미노산 농도는 무처리구, 10, 20, 30 mg . L$^{-1}$로 설정하였다. Ll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은 아미노산 처리구에서 높았다. 초장은 3차 조사시에 Ll-3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2에서 3차 조사시 생체중은 L2-30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초장은 2차와 3차 조사시 L2-30에서 높게 나타났다. 제1본엽의 염장과 엽폭의 경우, Ll의 3차 조사시 처리 효과가 나타났다. L2에서 염장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엽폭은 3차 조사시에 아미노산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제2본엽의 염장과 엽폭은 Ll의 2차와 3차 조사시에 아미노산 처리구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L2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제7본엽의 염장과 엽폭은 시비 및 조사 시기에 관계없이 처리간에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 제1본엽이 전개된 후 아미노산의 농도를 20mg. L$^{-1}$ 이상, 회수를 3회 이상 엽면살포 하거나, 제2본엽이 전개된 후 아미노산을 시비할 경우에는 아미노산 농도를 30 mg . L$^{-1}$으로 설정하고 회수를 2회 이상 시비한다면 생육이 향상된 묘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생육조건에 따른 산수국의 엽생장 및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eaf Growth of Hydrangea macrophylla var. acuminata Growing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0-74
    • /
    • 2006
  • 이 연구는 관상용이나 천연감미료, 생리활성물질의 원료로 활용되는 산수국의 적정 생육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2년생 산수국의 삽목묘를 대상으로 광, 수분 및 시비처리를 실시한 후 8월과 9월에 광합성, 엽록소 함량, 엽생장을 조사 비교하였다. 광도처리별 광합성율의 유의차는 8월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9월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관수처리별 광합성율은 주3회 관수처리구에서 높았다. 시비구가 무시비구에 비해 광합성율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함량은 광도처리별에 있어서는 8,9월 모두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관수처리별에서는 8월에서만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시비처리에서는 모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엽생장(엽장과 엽폭)은 전광과 주 3회 관수처리 시에 양호하였다.

멀티미디어 DBMS에서 3차 저장장치의 효율적 활용 기법 (Efficient Incorporation of Tertiary Storage in a Multimedia DBMS)

  • 문찬호;강현철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1724-1737
    • /
    • 1999
  •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응용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구성하는 LOB(unstructured large object)을 다량 저장하고 다룰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대용량 데이터의 효율적 저장 및 처리를 지원하는 DBMS의 저장장치로 기존의 디스크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플래터(광 디스크 쥬크 박스의 경우 디스크, 테이프의 경우 카트리지 테이프)로 구성된 광 디스크 쥬크 박스 또는 테이프 라이브러리와 같은 3차 저장장치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3차 저장장치는 데이터 접근 시 발생하는 지연 시간이 매우 크기 때문에 3차 저장장치에 저장된 LOB에 대한 효율적인 검색 기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LOB의 주 저장소로서 3차 저장장치를 활용할 경우, 3차 저장장치로부터 LOB을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입출력 스케줄링에 대해 연구하였다. 3차 저장장치의 성능 특성과 LOB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3차 저장장치로부터 LOB을 검색하는 질의 처리에 있어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여러 가지 입출력 스케줄링 휴리스틱을 제시하고 이들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 PDF

바이오산업폐수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hybrid 인공습지 시스템의 적용가능성 연구 (Application of the Hybrid Constructed Wetland for a Reuse of the Effluent from Bio-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 신재석;김성철;조광주;최충호;최인욱;박정자;박구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5-121
    • /
    • 2009
  • 생물산업 연구단지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건설된 폐수처리장의 3차 처리시설로 hybrid 인 공습지 시스템을 적용하여 최종 방류수의 재이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폐수처리를 위한 1차 처리공정은 화학적 처리(약품 응집)이며, 2차 처리공정은 생물학적 처리(표준활성슬러지법)로 구성되어 있다. 3차 처리시설로서 hybrid 인공습지는 자연통풍시스템이 구비된 호기성 인공습지와 혐기/무산소성 인공습지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시스템이다. Hybrid 인공습지로 유입되는 2차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처리수 농도는 BOD, SS, T-N 및 T-P의 평균 농도가 각각 53mg/L, 48mg/L, 34mg/L 및 3mg/L로 나타났으며, hybrid 인공습지에서의 최종방류수의 BOD, SS, T-N 및 T-P의 평균농도는 각각 2.3mg/L, 1.2mg/L, 7.95mg/L 및 0.83mg/L로 나타나 하수처리수의 재이용권고수질기준과 비교할 때 조경용수나 세척용수 등의 용도로 직접 재이용이 가능한 수질이 확보될 수 있었다. Hybrid 인공습지는 반응조를 호기 및 혐기/무산소 조건으로 기능화 함으로서 높은 효율로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다양한 하수 및 폐수의 3차 처리시설로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차나무를 가해하는 차응애에 대한 식물추출물 단독 및 혼합처리의 살비 효과 (Acaricidal Activity of Individual and Combined treatments of Plant Extracts against the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Acari : Tetranychidae), a Pest of Tea Plant)

  • 강충수;국용인;김상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07-717
    • /
    • 2018
  • 주엽, 차나무, 계피, 란타나 등의 추출물과 이들의 혼합물들을 대상으로 차응애에 대한 살비효과를 검정하였다. 차응애에 대한 혼합액 3, 1 등의 처리 7일 후에 각각 82.0과 77.3%의 살성충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혼합액 2의 처리에서는 68.0%의 살성충 효과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식물추출물들의 단독처리에서는 혼합처리보다 낮은 살비 효과를 보였다. 혼합액 3, 1 등의 처리에서 차응애 암컷성충의 산란수는 무처리 대비 24.0~29.6%에 그쳤다. 식물추출물들의 잔효성분은 전반적으로 저조한 살성충 효과를 나타내었다(처리 7일 후 16.7~31.3%). 실험 식물추출물들의 차응애 난에 대한 살란효과는 거의 없었다. 혼합액 3, 1 등은 차응애 약충에 대한 효과가 우수하여 각각 16.7%와 22.0%의 낮은 성충 우화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들로 보아 혼합액 3, 1 등은 차나무 재배지에서 차응애의 방제제로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분만후 젖소의 비유능력 및 BCS에 따른 $PGF_2a + PGF_2a+CIDR$ plus program 투입 효과에 관한 연구

  • 백광수;우제석;전병순;박수봉;김현섭;이현준;홍의철;안병석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20-120
    • /
    • 2003
  • 고능력 젖소와 보통능력 젖소의 번식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progesterone을 분석하여 분만후 초발정일을 추정하였고, 번식자료를 통하여 분만 후 번식성적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비유능력 및 Body condition score(BCS) 에 따른 $PGF_2a + PGF_2a+CIDR$ program 투입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분만 후 40일째에 $PGF_2a$를 1차 처리한 후 발정이 발현되지 않은 개체에 대하여 1 차 처리후 14일째에 다시 2차 $PGF_2a$를 처리하였고 2차 $PGF_2a$ 처리후에도 발정이 발현되지 않은 개체에 대하여 2차 $PGF_2a$ 처리후 5일째에 CIDR plus를 처리하여 발정유기율을 조사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의 분만후 progesterone peak를 나타내는 일수는 각각 $38.8 \pm 11.1$$39.6 \pm 9.7$일로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음 나.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의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각각 $99.4 \pm 71.6$$117 7 \pm 78.6$일로 고능력우에서 18.3일 늦어지는 경향이었음 다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의 분만후 수태일수에 있어서 각각 $145.9 \pm 102.8$$165.9 \pm 100.8$일로 고능력우에서 20일 늦어지는 경향이었음 라.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의 분만간격에 있어서 각각 421.5 \pm 107.2$$448.4 \pm 108.7$일로 고능력우에서 26.9일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음 마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에 있어서 1차 $PGF_2a$ 처리시 각각 39.1% 및 60.0%, 2차 $PGF_2a$ 처리시 각각 42.9% 및 70.0%, CIDR plus 처리시 50.0% 및 66.7%의 발정 유기율을 나타내었음 바. BCS에 따라 $PGF_2a + PGF_2a+CIDR$ plus program을 투입한 결과 BCS 2.5 이하와 BCS 2.75-3.50에 있어서 1차 $PGF_2a$ 처리시 각각 47.4% 및 48.3%, 2차 $PGF_2a$ 처리시 각각 40.0% 및 66.7%, CIDR plus 처리시 각 각 50.0% 및 80.0%의 발정 유기율을 나타내었음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