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5-dicaffeoylquinic acid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9초

HPLC-DAD-MS/MS를 이용한 금은화 생리활성 물질의 동시분석 (Simultaneous Analysis of Bioactive Metabolites from Lonicera japonica Flower Buds by HPLC-DAD-MS/MS)

  • 유성광;전주은;강경원;강삼식;신종헌
    • 약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446-451
    • /
    • 2008
  •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diode array detector (DAD) and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SI-MS) was establishe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hlorogenic acid (1), sweroside (2), luteolin-7-O-glucoside (3), (E)-aldosecologanin (4) and 3,5-dicaffeoylquinic acid (5) from Lonicera joponica flower buds. The optimal chromatographic conditions were obtained on an ODS column (5 ${\mu}m$, 4.6${\times}$150 mm) with the column temperature $25^{\circ}C$. The mobile phase was composed of (A) water with 0.1% formic acid and (B) acetonitrile with 0.1% formic acid using a gradient elution, the flow rate was 0.3 ml/min. Detection wavelength was set at 250 nm. All calibration curves showed good linear regression ($r^2$>0.994) within test ranges. The developed method provided satisfactory precision and accuracy with overall intra-day and inter-day variations of 0.05${\sim}$1.95% and 0.15${\sim}$2.26%, respectively, and the overall recoveries of 97.71${\sim}$103.65% for the five compounds analyzed. The verified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three types (phenolic compounds, iridoids and flavonoids) of bioactive compounds in 21 commercial L. japonica flower buds samples from different markets in Korea and China. The analytical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ontents of the five analytes vary significantly with sources.

Identification of Xanthium Sibiricum Components using LC-SPE-NMR-MS Hyphenated System

  • Sohn, Ji Soo;Jung, Youngae;Han, Ji Soo;Hwang, Geum-Sook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6-33
    • /
    • 2018
  • Xanthium sibiricum is used as a traditional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fever, headache, nasal sinusitis, and skin pruritu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mponents from Xanthium sibiricum extracts using an SPE-800MHz NMR-MS hyphenated system. The simultaneous acquisition of MS and NMR spectra from the same chromatographic peak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depth of information acquired for the compound and allows the elucidation of structures that would not be possible using MS or NMR data alone. LC -NM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HPLC separation system coupled to 800 MHz spectrometer equipped with a cryoprobe, and a SPE unit was used to automatically trap chromatographic peaks using a HPLC pump. LC-M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Q-TOF MS instrument using ESI ionization in the negative ion mode. Using the hyphenated analysis, several secondary metabolites were identified, such as 3',5'-O-dicaffeoylquinic acid, 1',5'-O-dicaffeoyl- quinic acid, and ethyl caffeat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PE-800MHz NMR-MS hyphenated system can be used to identify metabolites within natural products that have complex mixtures.

UHPLC를 이용한 새로운 한약제제 HPL-1의 품질관리법 개발 (Development of Quality Control Method for a Novel Herbal Medicine, HPL-1 using UHPLC)

  • 김세건;라마칸타라미차네;이경희;정현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24
    • /
    • 2015
  • Objectives : HPL-1, a novel herbal medicine which is composed of five herbs such as Kalopanacis Cortex, Chaenomelis Fructus, Raphani Semen, Atractylodis Rhizoma and Pulvis Aconiti Tuberis Purificatum, was developed f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nalytical method for consistent quality control of HPL-1 and validate chromatographic method. Methods : Chromatograph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diode array detector (UHPLC-DAD) equipped with RP-amide column, column oven, and auto sampler. Marker compounds [protocatechuic acid, chlorogenic acid, liriodendrin, 3,5-dicaffeoylquinic acid, ${\beta}$-D-(3-O-sinapoyl)-fructofuranosyl-$\alpha$-D-(6-O-sinapoyl)glucopyranoside and benzoylmesaconine] were separated by step gradient elution of acetonitrile and 0.1% phosphoric acid/water. The method validation was evaluated by quantitative validation parameters of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according to KFDA guideline.Results : An optimized method for six marker compounds in HPL-1 was established by UHPLC-DA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with each calibration curve was greater than 0.99. The LOD and LOQ were within the range of 0.008-0.090 and $0.023-0.274{\mu}g/mL$, respectively.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of intra- and inter-day variability were less than 4.0%. The result of recovery test was range from 93.3-106.3% with RSD < 4.0%.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quantitative UHPLC method is precise, accurate, effective for quality evaluation of HPL-1. The method may also contribute to improve quality of crude drug preparations used for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UPLC-DAD-ESI(+)-QToF/MS를 이용한 국내산 두릅나무 및 음나무 순 내 페놀산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enolic Acid from Shoots of Aralia elata and Kalopanax pictus Cultivated in Korea Using UPLC-DAD-ESI(+)-QToF/MS)

  • 김영진;김헌웅;이민기;이선혜;게릴라 아사메누;이수지;이상훈;차연수;김정봉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60-267
    • /
    • 2018
  • UPLC-DAD-ESI(+)-QToF/MS를 사용하여 국내산 두릅나무 및 음나무 순의 페놀산을 분석한 결과 두릅나무 순에서 총 13종, 음나무 순에서 총 8종의 페놀산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이들 개별 성분을 정량하였다. 개별 페놀산 성분 구조 동정 시 모분자에 $Na^+$ 또는 $K^+$가 결합되는 특징적인 단편이온들이 관찰되어 모분자의 분자량을 쉽게 판단할 수 있었다. 전반적인 구조 동정은 선행연구 및 표준품의 UV, MS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비교하였으며, 특히 이성질체의 효율적인 동정을 위해 SIM mode 방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두릅나무 및 음나무 순에서 10종(3,4-dihydroxybenzoic acid, 3-O-caffeoylquinic acid, caffeic acid, 4-O-caffeoylquinic acid, 5-O-p-coumaroylquinic acid, 5-O-feruloylquinic acid, 5-O-caffeoylquinic acid methyl ester, 4,5-di-O-caffeoylquinic acid, 3-O-feruloyl-5-O-caffeoylquinic acid, 3-O-caffeoyl-5-O-feruloylquinic acid)의 페놀산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총 페놀산 함량은 두릅나무 순, 음나무 순이 각각 754.8, 845.3 mg/100g으로 확인하였다. 주요 성분인 5-O-caffeoylquinic acid, 3,5-di-O-caffeoylquinic acid는 두릅나무 순에서 각각 총 페놀산 함량 중 49, 44%로 서로 비슷한 함량을 보인 것이 비해 음나무 순에서는 각각 91, 3%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음나무 순에 비해 두릅나무 순에서 dicaffeoylquinic acid류의 생합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 결과는 이들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 유전 인자 등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망초(Conyza canadensis) Ethyl Acetate 추출물의 항산화성 물질의 분리와 동정 (Isolation and Structural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Substances from Ethyl Acetate Extract of Conyza canadensis)

  • 송현숙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5
    • /
    • 2023
  • 배경: 야생 망초(줄기와 잎)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에서 생리활성 성분의 함유가 확인되어 화합물의 규명이 필요하다. 목적: 망초에는 항산화성 물질이 함유되었다는 선행연구 결과가 있어서 화합물의 분자적 구조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망초(줄기와 잎) 초음파 분쇄물을 1차로 90% 메탄올로, 다음에 유기 용매로 추출하였다. 다음에 HPLC, LC/MS 크로마토그래피 등으로 분획하였고, 분핵물을 NMR 분광기로 정밀 분석하여 분자의 구조를 동정하였다. 결과: 망초 100 g을 초음파기로 파쇄하여 90% methanol로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조 추출물 11.96 g을 얻었다. 조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재추출하여 n-hexane으로 123.8 mg, dichloromethane으로 448.2 mg, ethyl acetate(EA)로는 1047.7 mg, butanol로는 2563.8 mg, water로는 7.04 g을 얻었다. EA 추출물을 LC-MS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고, 정밀 분획하여 F1~F20의 20개를 얻었다. F15 분획을 다시 분획하여 9개를 얻었다. F17 분획을 재분획하여 10개의 분획을 얻었다. F15-7 분획물을 LC-MS 분석과 NMR 분광기로 분석한 결과는 이 화합물의 구조가 3,5-di-caffeoylquinic acid로 확인되었다. F17-4와 F17-5의 구조를 조사한 결과는 Quercetin-3-o-β-galactose로 동정 되었다. F17-10의 구조를 확인한 결과는 1,3,4-tri-caffeoylquinic acid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망초 성분에도 항산화성 물질이 있었으며, 이의 활용성을 기대하며, 식물에는 항산화성 물질인 phenol 성분을 다양하게 함유하였다.

추출방법에 따른 참취(Aster scaber Thunb.)의 페놀화합물 함량과 생리활성 및 소화효소 저해 효과 (Polyphenolic Compounds,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Digestive Enzyme Inhibitory Effect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 김재원;윤광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01-1708
    • /
    • 2014
  • 참취의 활용 및 생리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정 추출방법을 알아보고자 상온교반, 환류냉각, 가압가열, 저온고압 및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두벌 째 수확 참취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 수율은 환류냉각추출, 초음파추출, 가압가열추출, 상온추출, 저온고압추출 순으로 높았다.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저온고압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상압가열, 고온고압, 초음파추출에서는 대등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페놀화합물 정량의 경우 chlorogenic acid 함량은 가압가열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cynarin 함량의 경우 환류냉각, 저온고압 및 초음파 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astragalin 함량의 경우 저온고압추출에서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Xanthine oxidase(XO),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의 경우 저온고압추출 및 초음파 추출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소화효소 저해활성(${\alpha}$-amylase, trypsin, lipase)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저온고압 및 초음파 추출물에서 소재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증진을 위한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 자원을 활용한 염증반응 조절 (Modulation of Inflammation by Plant Resources)

  • 이하늘;성수희;김보람;김진호;서찬;임수아;김정은;정지민;정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17-17
    • /
    • 2023
  • Chrysanthemum zawadskii (C. zawadskii) is used in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inflammatory disease. However, it has remained unclear whether extracts of C. zawadskii inhibit inflammasome activation in macrophag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inhibitory effect of an ethanol extract of C. zawadskii (CZE) on the activation of the inflammasome in macrophage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DMs) were obtained from wild-type C57BL/6 mice. The release of IL-1β and lactate dehydrogenase in response to nucleotide-binding oligomerization domain-like receptor (NLR) family pyrin domain containing 3 (NLRP3) inflammasome activators, such as ATP, nigericin and monosodium urate (MSU) crysta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CZE in lipopolysaccharide(LPS)-primed BMDMs. Western blotting revealed that CZE inhibited ATP-induced caspase-1 cleavage and IL-1β maturation. To investigate whether CZE inhibits the priming step of the NLRP3 inflammasome, we confirmed the role of CZE at the gene level using RT-qPCR. CZE also downregulated the gene expression of NLRP3 and pro-IL-1β as well as NF-κB activation in BMDMs in response to LPS. Apoptosis associated speck-like protein containing a caspase-recruitment domain (CARD) oligomerization and speck formation by NLRP3 inflammasome activators were suppressed by CZE. By contrast, CZE did not affect NLR family CARD domain containing protein 4 (NLRC4) or absent in melanoma 2 (AIM2) inflammasome activation in response to Salmonella typhimurium and poly(dA:dT) in LPS-primed BMDMs, respectivel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ree key components of CZE, namely linarin, 3,5-dicaffeoylquinic acid and chlorogenic acid, decreased IL-1β secretion in response to ATP, nigericin and MSU.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ZE effectively inhibited activation of the NLRP3 inflammasome.

  • PDF

두릅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의 산화방지 효과 및 알코올에 대한 간세포 보호효과 (Antioxidant capacity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shoot of Aralia elata on alcohol-induced cytotoxicity)

  • 권봉석;박선경;김종민;강진용;박상현;강정은;이창준;박수빈;유슬기;이욱;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16-22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두릅(shoot of Aralia elata)의 분획물이 가지는 산화방지 효과와 간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생리활성물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릅의 각 분획물을 이용하여 총 페놀 함량, 산화방지 능력(ABTS와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의 측정을 통해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 대비 가장 높은 산화방지 능력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두릅의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을 이용하여 지방질과산화물의 생성 억제 능력을 확인한 결과 역시 우수한 억제 활성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두릅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은 간세포(H4IIE와 HepG2)에서 에탄올과 과산화수소에 의한 강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생존율 또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epG2 세포에서 알코올에 의한 지방질 축적을 유도하였을 때 두릅의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이 지방질 축적의 억제 효과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두릅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의 생리활성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HPLC를 분석한 결과 클로로겐산과 3,5-다이카페오일퀸산이 주요 생리활성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려할 때, 두릅의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은 우수한 산화방지 능력과 간세포 보호 능력을 나타냄에 따라 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C12 신경세포에서 고당 및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곰취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gomchwi (Ligularia fischeri) extract against high glucose- and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PC12 cells)

  • 박상현;박선경;하정수;이두상;강진용;김종민;이욱;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08-5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곰취(Ligularia fischeri)의 in vitro 혈당 억제 가능성과 고당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 및 대표적 생리활성물질을 분석하였다. 곰취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은 다른 분획물들보다 뛰어난 총 페놀 함량(223.33 mg GAE/g)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인체에서 당을 흡수하기 위해 필요한 효소인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효과에 의해 당뇨에 의한 고혈당을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의적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말론다이알데하이드(MDA) 생성 억제효과를 갖는 곰취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은 과산화수소 및 고당으로 유발시킨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 및 이로 인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곰취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HPLC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표적인 페놀성 화합물은 클로로겐산의 이성질체인 3,5-DCQA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려할 때, 곰취는 고당으로 유도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