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22학년도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2초

담화 맥락을 고려한 예비과학교사의 발문 반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on of Questions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 김성훈;전유선;강훈식;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6호
    • /
    • pp.459-471
    • /
    • 2022
  • 이 연구는 담화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 향상 워크숍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4학년 예비과학교사 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과학교사들은 워크숍에 참여하였고 이들이 발문을 반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담화 맥락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과학교사가 자신의 발문을 반성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알게 된 발문 유형을 적극적으로 고려', '학생의 정의적 측면에 대한 고려 부족', '학생의 응답 여부를 중요한 반성 요소로 고려', '발문 빈도를 바탕으로 한 발문 평가', '단일한 발문에 초점을 둔 반성', '다양한 PCK 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 부족'의 6가지 주요 특징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담화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초등학교 과학 '용해와 용액' 단원에서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수업이 학생들의 인성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Based Science Class on Students' Character Competency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Dissolution and Solution' Unit)

  • 박지앵;박지훈;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6호
    • /
    • pp.509-520
    • /
    • 2022
  • 이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초등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인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초등 과학교육과정 '용해와 용액' 단원에서 선정한 5개 주제에 대하여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초등 과학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인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 전과 후 인성역량 검사결과와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수업 중 작성한 반성글쓰기 활동지 및 수업 후 자신의 인성역량 변화에 대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초등 과학수업은 초등학생의 인성역량을 함양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소집단 크기에 따른 중학생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나타나는 언어적·물리적 상호작용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Verbal and Physical Interactions of Group Size in Small Group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 송나윤;신기덕;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57-566
    • /
    • 2022
  • 이 연구는 중학생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2인 1조의 소집단 학습에서 나타나는 언어적·물리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서울 시내 중학교 2학년 학생 12명이 용해도, 녹는점과 끓는점 개념에 대해 증강현실을 활용한 2인 1조의 소집단 학습에 참여하였다. 이 수업은 녹음 및 녹화되었으며, 수업이 종료된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개별 진술 단위, 상호작용 단위 그리고 물리적 상호작용으로 각각 분석하였다. 개별 진술 단위에서는 정보 설명과 정보 질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상호작용 단위는 단순 상호작용, 정교화 상호작용의 비율이 높았다. 정교화 상호작용을 하위 영역별로 보면, 누적형 상호작용의 비율이 높았으며 뒤를 이어 교정형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물리적 상호작용은 활동지를 쓰는 행동과 가상 객체를 관찰하는 행동의 비율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 2인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을 적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일개 대학 2학년 학생 대상으로 (The Effect of Classes Applying Non-face-to-face Havruta's Activities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in Nursing Students)

  • 이지혜;문숙자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79-88
    • /
    • 2022
  • 본 연구는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연구이다. 연구는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간호대학생 69명의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분석되었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적 통계로,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 전후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 전에 비하여 후에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이 유의하게 상승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을 수업에 적용하고 싶은 교수자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간호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ion-based Neonatal Nursing Care Education on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심미경;김신향;김경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563-571
    • /
    • 2022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간호 교육을 개발·적용하여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의 실험연구로 D시 소재 일 간호대학생 3학년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5월 3일부터 6월 4일까지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서면동의 한 학생에 한해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간호 교육은 3-4명을 한 그룹으로 하여 시나리오 구현을 위한 준비, 시나리오 구현, 디브리핑의 총 3단계의 4.5시간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간호 교육 전·후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간호학 분야에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관찰 위주인 아동간호 임상실습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Influence of Online Basic Clinical Trai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 Determin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

  • Seo, Ji-Un;Hong, Sun-Y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91-9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 -19 상황에서 온라인 기초임상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결정성 동기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이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3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41명이 최종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비판적 사고성향(t=-2.60, p=.013)과 자기결정성동기(t=-2.84, p=.007)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했다. 이 결과는 온라인 기초임상실습이 비판적사고성향, 자기결정성 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COVID-19 의료현장에서의 직접간호수행이 어려운 만큼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온라인 임상실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컴퓨팅 사고기반 융합 수업모델 개발 (Developing a Learning Model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 유정수;장용우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9-36
    • /
    • 2022
  • 디지털 사회를 위한 AI와 빅데이터 시대의 컴퓨팅 사고는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우리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솔루션을 표현하는 일련의 문제해결 방법을 의미한다. 컴퓨팅 사고는 컴퓨터 과학의 기본 개념을 도출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을 설계하고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것으로, 학생들에게는 어려운 문제와 애매한 퍼즐을 맞추는 접근법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컴퓨팅 사고를 댄스 동작과 융합하여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업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 모델을 가지고 ◯◯대학교 1학년 예비교원 93명을 대상으로 1학기 동안 수업한 결과, 수업 참가자들은 비디오 수준의 만족스러운 알고리즘을 만들어 냈다. 또한, 제안된 모델이 수업 참여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 이해에 크게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일개 의과대학 본과 4학년의 롤 모델링 경험과 성찰수준 분석: 임상실습을 중심으로 (Analysis of Role Modeling Experiences and Reflection Level of Fourth-Year Medical Students at a Single Medical College: A Focus on the Clinical Clerkship)

  • 이상미;박경혜;박연철;예병일
    • 의학교육논단
    • /
    • 제24권1호
    • /
    • pp.46-55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ubjects, situations, and reflection levels related to role modeling experienced by medical students during their clinical clerkship and their own reflections.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ways of improving how residents and clinical faculty should treat and teach medical students.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regarding senior medical students' role modeling experiences during their clinical clerkships in 2018 and 2019.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24 cases from 196 students. Content analysis revealed three types of role modeling content: subjects (faculty, residents, nurses, peer students), situations (clinical competence, personal qualities, teaching skills), and the level of reflection (critical reflection, reflection, thoughtful action, and habitual action) in each case. As role model subjects, faculty were found to be the paramount role model (n=142, 62.83%). Role modeling was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for clinical competence (n=103, 45.98%). Clinical competence was frequently shown in communication and empathic listening during rounds and outpatient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ient and doctor. Regarding the level of reflection for role modeling, the number of critical reflections was 86 (38.39%) and that of reflections was 80 (35.71%). In particular, negative role modeling showed a high level of critical reflection in relation to faculty (64.44%) and nurses (8.89%). In conclusion, role modeling of medical students participating in clinical clerkships occurs in situations that the role models are not aware of, with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among medical students.

일반고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온라인 수업 환경 및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class environ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classes of high school students)

  • 김진철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1-27
    • /
    • 2022
  • 본 연구목적은 일반고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 온라인 수업 환경, 그리고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세종 B고교 3학년의 219명이며, 상관관계와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 학습과 온라인 수업 환경 및 학습만족도 간에는 중간 이상의 상관관계를 있었다. 둘째로, 측정변인들 간의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도 양호했다. 자기주도 학습은 온라인 수업 환경에 영향을 주고, 온라인 수업환경은 학습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자기주도 학습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은 없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만족도는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교사의 훌륭한 수업환경의 조성이 이루어질 때 시너지 효과를 얻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대하여 다양한 학습자의 개인, 가정 및 학교요소를 종합적으로 투입하는 분석할 것을 제안했다.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온라인 학습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 홍주영;김현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7-44
    • /
    • 2022
  • 본 연구는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이 온라인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는 2020년 12월부터 2개월간 일개대학 4학년 간호대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정,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온라인 학습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으로는 사회적 실재감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62.9%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과목에서 온라인 토론활동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며 향후 실재감 향상 프로그램 중재 관련 후속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