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07 revised curriculum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5초

중학교 정보 교과서 비교 분석 및 개선 방안 (Comparative Content Analysis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진영학;허민;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5-34
    • /
    • 2010
  •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중학교 정보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과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과서는 체제와 내용의 두 가지 준거를 고려하여 분석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내용 분석법(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 체제는 전체 구성, 영역별 비중, 내용 전개 구조, 평가 유형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교과서 내용은 각 교과서가 다루는 개념,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에서 차이를 보였다. 교과서 비교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여섯 가지의 정보 교과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향후 정보 교과서 개발 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문제 만들기 문항 -수학7의 대수영역을 중심으로- (Problem Fabrication in Algebra of Grade 7 under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7)

  • 최상기;목연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63-178
    • /
    • 2011
  •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을 높이기 위하여 문제 만들기 활동 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수학에서 문제 만들기와 문제해결은 함께하는 상호적인 작용으로, 교육 과정에 문제 만들기 활동이 구체적 제시되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7의 대수영역을 중심으로 문제 만들기 문항을 수록한 16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문제 만들기 문항의 단원별 개수와 분포, 유형별 개수와 문항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 PDF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과목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 성취기준 및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area of "Information Society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2007 revised middle school 'Informatics' subject.)

  • 김경훈;이경낭;강신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63-7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과목 교육과정의 "정보 사회와 정보 기술"영역의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영역의 성취기준을 상세화하고, 성취 기준에 근거한 평가기준을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제시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은 새 교육과정을 근거로 개발하였기 때문에 2010년도에 적용되는 새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정보 교과의 교수-학습 활동에서 교사들의 학습 목표의 설정, 학습 범위와 내용 수준 설정, 교수-학습 방법 개선, 평가 방법 개선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가정교과 가족분야의 내용변천에 관한 연구 - 제1차~2007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Family-related Contents in Home Economics by National Curriculum - Focus on the 1st~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 김지욱;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3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제1차부터 2007개정 교육과정 및 가정교과서의 가족분야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여, 가정과 교육의 가족분야 내용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제1차부터 2007개정까지 가정교과 교육과정해설서 및 총 58권의 가정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과 내용분석이며,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별 교육과정해설서를 살펴 본 결과, 가족분야의 내용은 가족생활 일부분에 대한 설명에서 시작해 후기로 갈수록 가정생활의 전 분야에 대한 내용으로 그 폭이 넓어졌다. 둘째, 교육과정별 가정교과서 내 가족분야 내용의 양적 비중은 후기 교육과정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셋째, 교육과정별 가정교과서 내 가족분야 내용과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인간발달의 이해'는 제3차~제6차 사이에 원론적인 내용이 강조되었고, '인간발달과정'은 초기에는 영유아기를 중심으로 제시되다가 제5차 이후 인간발달의 전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부모됨과 부모역할'은 부모역할과 책무에 관한 내용과 영유아보육의 내용을 지속적으로 강조하였다.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의 변화'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관점의 변화가 컸고, 후기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가정의 유형이 강조되었다. '결혼과 가족발달'은 결혼에 대한 관점이 필수에서 선택으로 바뀌었고, 결혼을 성숙한 사랑과 책임과 연계해 설명하였다. '가족관계와 가족문제'는 최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영역으로 가족 간의 화합을 위하여 의사소통과 양성평등적인 가족관을 중요시하였다. '가족복지' 영역은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장 부각되는 영역이다.

  • PDF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의 내적 일관성 검토 및 대안 : 의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Review and Alternatives to the Internal Consistency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mponents : Focused on the Clothing & Textiles Area)

  • 오경선;하지수;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9-75
    • /
    • 2017
  •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과정에 내재된 신념과 가치를 바탕으로 의생활 영역에서의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의 내적 일관성을 검토하고 대안적 예시 제안을 통해 교과의 정당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비판과학 관점이 내재된 2007 개정과 2009 개정,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의 의생활 영역에서 가정과교육과정 5가지 구성요소-가족, 사회,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에 대한 가정(assumption)이 어떠한 관점을 취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그 결과에 기초한 의생활 교육내용의 예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부터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까지의 의생활 영역에서 가정과교육과정 5가지 구성요소 중 가족, 사회, 교육목표, 교수방법에 대한 가정(assumption)은 비판과학 관점을 취하였고, 교육내용에 대한 가정(assumption)은 전통적 관점을 취하였다. 이에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가 내적 일관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교육내용에 대한 가정(assumption)은 '가족의 일'로서 의생활 문제를 다루도록 전환시켜야 하며, 가족과 교육목표, 교수방법에 대한 가정(assumption)에서는 가족행동체계와 교사의 역할에 대해 보완시켜야 할 필요가 있었다. 둘째, 논의된 결과를 토대로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의 내적 일관성에 기초한 의생활 교육내용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비판과학 관점으로 의생활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체육교과 진화에 관한 생태학적 조망 (Ecological Viewpoint of Evolution in Physical Education)

  • 김재운;이주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00-409
    • /
    • 2009
  • 본 연구는 체육교과 진화에 관해 생태학적으로 조망해 보고 논의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을 통해서 의미를 모색해보았다. 교육과정을 토대로 체육교과의 진화를 조망한 이유는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는 체육교육의 목표, 가치, 체육교육의 철학적 배경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타나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교사에 대한 역할 강화를 위한 적극적 지원이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체육교과에서 전술이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운동을 단순히 기능 혹은 운동신경수준이 아닌 가드너가 제시한 지능으로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체육교과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현재 고등학교 2, 3학년에서 체육교과 필수 지정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교사들에 의해 제기된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과학 교과서의 문제점 분석 (Analyses on Problems of Grade 3~4 Science Textbooks Developed for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ais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강훈식;윤혜경;이대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1호
    • /
    • pp.22-35
    • /
    • 2013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blems of grade 3~4 science textbooks developed fo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ais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53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nd asked to complete the open questionnaire to find out the problems they experienced or perceived when they taught the corresponding unit of the science textbooks. The responses were coded and categorized through researchers' cross analysis. The result revealed various problems in using the science textbooks in real classroom context. The problems we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as inquiry activity aspect, science knowledge aspect, and science learning assessment aspect. Each dimension consisted of several categories. We explained the frequency and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problems in each category. These can provide some guidelines and implications for new science textbook developers and science education policy makers.

영국 국가교육과정의 개정과 새로운 지리 학습프로그램의 특징 (A Study on New Programme of Study for Geography by A Revised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 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2-251
    • /
    • 2012
  • 이 연구는 영국 국가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른 지리 학습프로그램의 변화와 그 함의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2008년과 2011년부터 각각 시행된 중등 및 초등 국가교육과정은 1995년과 2000년에 이어 세 번째 개정으로서 그 이전보다 편제 면에서나 내용 면에서나 획기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특히, 초등 국가교육과정은 6개의 학습영역으로 재편 되었는데, 기존의 KS1-2 지리는 역사 및 시민성과 함께 '역사적, 지리적, 사회적 이해'라는 학습영역에 통합되어, 처음으로 통합사회과의 출범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하여 현재 영국 국가교육과정에서는 지리는 KS3에서만 기초 교과로서 그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교육과정은 여전히 학습프로그램과 성취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학습프로그램의 구성 체제와 그 내용에 있어서는 매우 큰 변화가 있었다. 초등의 경우 학습프로그램이 '교육과정 목표-학습영역의 중요성-본질적 지식-핵심기능-범교과적 학습-학습의 폭-교육과정의 계열'로, 중등의 경우 '교육과정 목표-교과의 중요성-핵심개념-핵심프로세서-범위와 내용-교육과정 기회'로 재구조화되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새로운 지리 학습프로그램의 항목별 특징과 효과적인 지리교육과정 계획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 PDF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보건 교과 편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f Change of Organization in Curriculum for Subject in Health under The Influence of Change of Curriculum)

  • 이규은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5-169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for health education in future while investigating change of organization in curriculum for health education in Korea. Method: It is to analytic thinking the trend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of the health curriculum in national level. Resul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of change of organization in curriculum for health education in Korea,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 is proved to have established diverse subjects about health education in whole educ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of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in each term shows that subjects on health education has diminished in amount or weakened in content in the educ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s they disappeared from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in 4th and 5th terms for education. Seventeen hours per year portioned for health education in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for 2007, which is currently operated, has been analyzed as being very short to its full requirement. The significant increase of hours for education is demanded for health education to be systematic and practically helpful in actual field of education in schools. Conclusion: It is also demanded that the more diversified and systematic method of education should be applied to and operated for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rather than strictly unified educational curriculum.

화학 및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읽기자료 분석 및 활용도 조사 (Analysis of Reading Materials Presented in Chemistry and Science Textbooks and Survey on Utilization Reading Materials)

  • 임미경;유미현;남석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69-8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읽기자료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고등학교 화학I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고, 과학 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 및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 I 교과서 각 4종을 택하여 읽기자료의 수, 내용에 따른 제시 유형과 학생의 활동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 활용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학I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화학I 교과서에서는 읽기자료의 비율이 7.9%~17.1%로 나타났으며, 2009개정 화학 I 교과서는 20.6 28.2%비율로 나타났다. 2009개정 교과서의 읽기자료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읽기자료 내용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생활 속 과학'이 34.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2009개정에서는 '지식의 심화보충'이 2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 활동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은 읽기자료 13%만이 탐구형 자료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9개정에서는 35%가 탐구형 자료로 나타나 학생의 탐구활동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목표가 반영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과학 교과서활용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67%에 해당하는 교사가 현재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를 수업에 사용하고 있으나 거의 활용하지 않는 교사도 33%나 되었다. 많은 교사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통합적 교육을 위해 읽기자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생활 속 과학' 읽기자료가 교과서에 좀 더 많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