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차림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의례음식과 상차림에 관한 인식과 실행(재미 한인 주부를 중심으로) (The Knowledge of Korean Ceremony Foods and Table Setting of Korea]1 American Housewives in the New York/New Jersey area)

  • 심영자;김정선;전희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6-157
    • /
    • 1999
  • 본 연구는 뉴욕 뉴저지 주에 살고 있는 재미한인 주부들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 나라 의례음식과 상차림에 대한 의식과 실행을 알아보아 미국생활에서의 한국전통음식문화를 얼마만큼 보전 계승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1. 의례음식과 상차림의 중요성은 응답자의 57.9%가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의례음식과 상차림을 알게 된 경위는 49.8% 친정어머니, 24.7%가 시어머니한테 배웠다고 응답하였다. 2. 의례음식과 명절차례상차림에 대한 견해는 응답자의 78%가 간소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의례음식이 계승발전하기 위하여 중점을 두어야 할 교육은 50.6% 가정교육, 27.3% 대중홍보교육으로 가정교육을 가장 강조하였다 3. 재미 한인 주부들이 가장 잘 알고 있는 상차림은 생일상차림(66.8%), 돌상차림 (43.5%), 백일상차림 (42.4%), 설날과 추석의 차례상차림(52.8%)으로 나타났고, 장국상 차림(21.0%), 주안상차림(23.6%), 혼례시 폐백상차림 (21.4%), 제사상차림(29.2%)으로 나타났으며, 반상차림, 죽상차림, 교자상차림, 회갑상차림은 잘 아는 정도가 17% 미만이었다. 4. 자녀의 돌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응답자의 60%가 평소보다 음식을 더 준비하여 가족과 함께 축하해 주었고, 38%는 전통적인 돌잡이 상을 차려 축하하였다. 자녀의 생일상차림은 응답자의 40%는 친구를 집으로 초대하여 생일 잔치해 주고, 37%는 간단하게 집에서 미역국 끓여먹고 선물해 준다고 하였다. 5. 어른들의 생신상차림은 49%가 친척 친지를 초대하여 식사를 대접하여 축하해 드리고, 38%는 집에서 가족끼리 축하해 드린다고 응답했으며, 부모님의 회갑상차림은 41.3%가 친척 친지와 연회장에서 축하해 드리고, 26.6%가 전통적인 큰상차림으로 친척 친지와 함께 가정에서 축하해 드린다하였다. 6. 결혼식의 폐백음식은 50.9%가 폐백을 준비해주는 집에 맡긴다고 하였고, 30.3%는 일부는 집에서 만들고 일부는 맡긴다고 했으며, 14%만이 전통적인 폐백음식을 집에서 준비한다고 하였다. 결혼식 때의 손님접대 음식 준비에 관한 견해는 66.4%는 연회장에서 대접한다, 29.9%는 집에서 음식을 준비하고 연회장에서 대접한다고 조사된 것으로 보아 결혼음식 준비방식이 상업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7 제사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40.2%가 전통적인 상차림으로 제사를 지내고 32.5%가 교회 식으로 지내며, 설날과 추석의 차례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41.7%는 전통적인 상차림을 하고 31.7%는 조상 님들이 평소에 좋아하시던 음식을 간단하게 마련하여 지낸다고 했으며, 24.7%는 교회 식으로 지낸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이들 음식은 집에서 전통적으로 차리는 주부가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재미한인 주부들의 우리 나라 의례음식과 상차림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은 편이나 알고 있으며 행하는 정도는 몇몇 상차림을 제외하고는 많은 상차림에 대하여 낮았음을 볼 수 있었다. 집안의 여러 가지 풍속과 생활습관, 음식솜씨들을 친정어머니와 시어머니를 통하여 물려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문화와 함께 살고 있는 재미 2세들의 한국 전통음식문화의 계승은 어려움이 많으리라 사료된다. 주부 자신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진정한 이해와 함께 우리음식의 뿌리를 내리고 외국음식과 조화를 이루어 나가도록 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재미한인 사회에서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홍보, 교육 강화와 함께 재미교포들 모두 관심과 실행이 촉구되어져야 하겠다.

  • PDF

일본 관동지역 2차림지대의 기상환경과 식물군락에 관한 연구 (Climatic Perturbation and Plant Livestock of a Secondary Forest in Kantou Area, Japan)

  • 이성기;안영희;이갑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0
    • /
    • 2004
  • 산지 개발로 인한 일본의 미나미아키가와 유역의 훼(Table Omitted)손 예정지에서 실시한 식물상의 조사 결과, 98과, 231속, 315종, 29변종, 8품종, 총 352분류군의 고등식물이 조사되었다. 이 가운데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11과, 12종, 2변종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의 대부분은 삼나무와 편백나무의 조림지로 장기간의 시간적인 경과에 의해 일부 인공 조림지를 비롯하여 주변부에서 물참나무 군락, 졸참나무 군락, 온대성 낙엽 활엽수 맹아림 등의 전형적인 2차림으로 발전하였다. 이와 같은 전형적인 2차림의 산림 군락들은 금후 빠른 속도로 본 조사지역의 잠재자연식생이라 할 수 있는 일본젓나무-솔송나무림 혹은 삼나무림 및 너도밤나무림으로 자연스럽게 정상천이로 복원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 검토된 자료는 우리나라 남부의 지리산부근과 유사한 기상조건을 지니는 것으로 추후 한국과 일본간의 식생변이 비교에 기여될 것으로 사료된다.

노블리스 오블리주-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월급봉투

  • 전흥윤
    • 벤처다이제스트
    • /
    • 통권45호
    • /
    • pp.17-17
    • /
    • 2004
  • 2월 19일 종로에 있는 제일은행 본점 1층 로비는 때 아닌 행사로 시끌벅적 했다. 색색의 풍선으로 장식된 무대와 가지런히 놓여진 의자들이 따사로운 아침 햇살에 유난히 더 깨끗하고 환하게 보였다. 단정한 양복에 사랑의 열매를 달거나, 와이셔츠 차림으로 2층, 3층 난간으로 얼굴을 내민 은행원들은 ‘무슨 일인가?’하는 표정으로 하나 둘 행사장 앞으로 모여들었다.

  • PDF

남자 고등학교 교사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의복 격식차림, 색 및 맥락의 영향 -대전지역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Garment Formality, Colors, Contexts on Male High School Teacher's Impressio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aejeon area -)

  • 이향미;김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12-320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tend the gestalt theory in an attempt to explain the effect of garment clues(formality, color) perceiver's gender, and contexts on impression formation of a male high school teacher, and 2) to found out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their teacher's school outfit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with full factorial design of 4 independent variables : 3(formality levels)x2(garment colors)x2(perceiver's gender)x2(con- texts)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e study were a set of stimuli and response scale. The stimuli consisted of 12 color photographs produced by CAD system and response scale constituted of 28 bipolar adjectives representing personal traits. In addition to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also performed. The subjects composed of 277 male and 291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aejeon city and research was a between subject design. The data was analysed by factor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major findings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ceivers impression were consisted of 4 major dimensions; evaluation, sociability, attractiveness, potency. 2.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some significant impression effects on selected dimensions. Garment color indicate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among the 4 independent variables and garment formality showed least effects. 3. The subjects of the study preferred suits(highest formality level garment) to semi-formal or casual outfits for male teacher's school outfits. In conclusion, 4 independent variables affected differently 4 major impression dimensions and garment formality and context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this results supported the gestalt theory of impression formation.

  • PDF

백두대간 만복대-복성이재 구간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the Baekdudaegan from the Manbokdae to the Bokseongijae, Korea)

  • 오구균;최송현;나경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34
    • /
    • 2003
  • 지리산국립공원 만복대에서 남원시 복성이재까지의 백두대간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를 2002년에 조사하였다. 조사구간의 현존식생은 총 17개 식물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 2차림은 10개의 식물군락, 일본잎갈나무림, 잣나무림, 밤나무림 등 인공림은 6개의 산림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도로비탈면이나 훼손지에서 과거에 조림한 일본잎갈나무와 잣나무의 치수가 활착하고 있었다. 조사구간의 녹지자연도는 8등급이 약 64%(9,113ha)로 넓게 분포하였고, 9등급이 9.58%(1,349ha)로 나타났다. 백두대간상 녹지자연도 1, 2등급이 7.65%(1,078ha)로 덕치리와 매요리 등에서 나타났다.

조선시대 공신 초상(功臣肖像)의 관복(제2기) 고찰 (A Study on the Official Uniform (2nd period) of Meritorious Vassals' Portraits in the Joseon Dynasty)

  • 김미경;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142-163
    • /
    • 2020
  • 조선 전기 적개공신(1467, 1476 초상 제작)과 정국(1506)·정난공신(1507), 위사공신(1545) 초상까지를 아청색 흑단령 차림이 등장하여 정착하는 '관복 제2기' 공신 초상으로 규정하고 적개공신 손소, 오자치, 장말손 초상 3점, 그리고 정국·정난공신 유순정과 홍경주, 정국공신 이우와 유홍의 초상 4점, 총 7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예복 흑단령' 차림의 적개공신 초상의 사모는 성종 초 높아졌던 모체가 다시 낮아졌고 모정은 둥글게 표현되었다. 너비가 넓은 타원형의 사모 양각에 무늬는 표현되지 않았다. 아청색 단령과 답호, 철릭에도 무늬가 표현되지 않았다. 단답호와 철릭의 색상이 각각 녹색과 홍색으로 통일되었으며 단령과 답호의 무는 '안팎주름무'로, 신발은 백화로 표현되었다. 적개공신 초상은 책록 시의 품계가 아닌, 초상 제작 시의 품계로 그려졌음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시복 흑단령' 차림의 정국·정난공신 초상은 사모의 경우, 적개공신 초상에서 낮아진 사모 모체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모정 부분이 조금 좁아지고 앞으로 휜 형태로 변하였으며 사모 양각은 전체적으로 너비가 균일한 타원형으로 표현되었다. 그리고 전 시기와 마찬가지로 사모 양각에도 무늬가 표현되지 않았다. 당하관 초상의 복식에는 무늬가 표현되지 않았으나 당상관 초상의 복식에는 운문(雲紋) 등이 표현되기 시작하였다. 또 단령은 안감 없는 홑단령으로 표현되었다. 당상관 초상에서는 홍색 답호와 녹색 철릭을, 당하관 초상에서는 녹색 답호와 남색 철릭이 표현되었다. 따라서 당상·당하 신분에 따라 받침옷의 색상이 구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단령과 답호에는 '안팎주름무'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신발은 흑화로 표현되었으며 흉배와 품대는 공신 책록 당시의 품계가 반영되어 있었다. 한편 위사공신 초상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 명종대의 기록화를 통해 중종대의 단령 제도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살펴 본 제2기 적개공신 공신 초상을 통해 흑단령 차림을 공신 초상의 관복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는 점, 공신 초상 제작 시기의 품계를 초상에 반영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국공신 초상 이후 복식에 무늬가 표현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흑단령의 무늬 유무로 당상·당하를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표현된 관복 모습은 당시의 관복 규정이나 관행과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 제사상차림의 규범과 강릉지역(江陵地域) 제사상차림 관행의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ion of Religious Diet in Kang-Neung Area to Traditional Standard and Habitual Practice)

  • 윤덕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49-56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rrangement of the religious food and religious diet in Kang-Rung region which was recogniged as cultural region. Investtigation was done by interview person to pers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rrangement of religious food and regious diet in Kang-neung region were differed from home to home. 2. In Kang-neung region, Chu-suk religious ceremonies and religious diet were setted much religious diet than memorial service which was held on an anniversary of their's death. 3. At first line, they have arranged Hynbab and Kuk, or Papbaab and Miyegkuk or Paogikuk. On the other hand, Songpyen was placed in traditional standard setting. At second line, they have arranged Songpyen, Kijung, Aegeok, Yukgeok, Nurumgeok, DonBaegigeok, Memilgeok, and cooked octopus(muneo) on the Aegeok. They have also arranged fishes which were the cooked Alaska pollack(rnyongtai), codfish(daeku), flatfish (kajami), yellowtail(bangeo), salmon(yeoneo), trout(songeo) and Saegsunjeon, Dubujeon, Wanjajeon, Kokumajeon. At third line, they have arranged Yuktang, Sotang, Eotang, Altang which is boiled eggs. Altang was arranged instead of steamed chicken. At fourth line, they have arranged Bukeopo, Cuttlefish(dried Ojingeo), Gajamisikhe, Myungtaeposikhe. On the other hand, Sikhe was necessarily placed on the setting of traditional standard service for the ancestor. They have arranged also Chinese bellflower(Doragi), Fernbrake(Kosali), Spinach, Osmund (Kobi), Greenbean Sprouts, Leopard plant(Komchwi), Gourd(Pak), and Lentinus edodes (Pyokjo), but Kimchi was omitted. At fifth line, they have arranged Date, Chestnut, Persimmon, the fruit of Actinidia arguta(Dare), Heron, Banana, Kwajeul and Kangiung were considered as dishes. Dasik and biscut were also used for setting dishes.

  • PDF

라오스 남칸(Nam Khane)유역분지(流域盆地)의 이동식화전농업(移動式火田農業)과 환경문제(環境問題) (Shifting Cultiva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of Nam Khane Watershed, Laos)

  • 조명희;조화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3-101
    • /
    • 1995
  • 라오스 북부에 위치하는 남칸강 유역 분지는 석회암대지(1000m 전후)와 이를 둘러싼 급경사지(700-1000m), 넓은 산록 완사 구릉지(300-700m), 좁은 층적평야로 이루어져 있다. 대지 상에는 아편, 산록완사 구릉지에는 밭벼가 재배되고 있는데 이들 농업은 이동식 화전농업의 형태로 이루어져 삼림과 토양을 황폐시키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 지역의 화전과 살밈의 분포 상태를 계량적으로 파악하고 환경문제를 검토하기 위하여 남칸강의 한소지류인 H.Khane 강 유역분지에 대하여 MOS-1외 위성영상을 분석하고 40지점에 대하여 토양 샘플을 채취하여 토성을 분석하였다. 삼림과 토지이용상태를 분류한 것이 사진 2이고, 이의 고도별 분포면적을 계산한 것이 <표 2>이며, 토성을 분석한 것이 <표 3>이다. 남칸강 유역분지의 과다한 화전활동은 식생적 측면에서 삼림의 면적을 축소시키고 교목위주의 1차림이 관목위주의 2차림으로 바뀌어 가며, 토양적 측면에서 토양침식을 활성화시켜 구릉지 토양은 척박한 산성토양으로 변해가고 있고, 완경사 구릉지면은 우곡(雨谷)(gully)침식에 의하여 심하게 개석된 악지역형(惡地地形)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농업을 정착시키는 것이 급선무이다.

  • PDF

상차림중심의 지능형 수산물 인터넷 쇼핑몰 개발 (Intelligent Electronic Shoppingmall with Bundle Product Suggestions for Fisheries)

  • 정대율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0권2호
    • /
    • pp.5-32
    • /
    • 2001
  •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is at the development of a bundle product suggestion sub-system of an internet shopping mall for fishery products, which can reduce the search cost of user. To achieve the goal, we first study tie key factors of successful direct commerce for fishery products, and second, we design a bundle product suggestion module and its sub-module. For this, we identify the objectives of system, and write out the necessary functions of the system and models(process model, data model, dynamic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user requirements. Based on the functions and models, we design user interfaces, database, processes, and knowledge base. In designing knowledge base and inferencing strategy, we consider two intelligent agent approach(optimal algorithms, heuristic rules) and suggest one more approach(case-based reasoning). The intelligent agent can be used in enhancing the suggestion of multiple fishery product simultaneously. The system analysis and design documents presented a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to provide good guidelines to the companies who consider developing an production suggestion agents.

  • PDF

조선시대 왕실의 소선(素膳) 이용에 관한 연구: 『조선왕조실록』, 『춘관통고』를 이용하여 (A Study on the Use of Soseon in Joseon Dynasty Based on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Chungwantonggo』)

  • 오은미;이심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5-128
    • /
    • 2022
  • 본 연구는 조선왕실의 기록 문헌을 이용하여 소선 사례의 빈도, 식재료, 상차림 및 조리법 등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선왕조실록』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조사한 소선 사례는 186개가 나타났다. 의례별 사례 빈도는 흉례가 전체 의례의 61.82%로 가장 많았고, 길례(21.51%), 빈례(11.29%), 가례(5.38%)순으로 나타났다. 소선 사례 횟수는 조선 전기(68.82%)가 조선 후기(31.18%)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소선 식재료 목록을 살펴본 결과, 곡류는 밀가루, 메밀가루, 점이 있고, 두류는 황대두, 포태, 전시가 있으며, 해조류는 다시마, 김, 미역 등이 있었다. 버섯류는 표고, 석이가 있고 양념류로는 겨자, 참기름, 실임자 등이 있었다. 길례와 흉례의 소선 상차림의 주요 음식은 주식이 밥, 면, 부식류는 탕과 채, 적, 개장, 후식류는 유밀과와 산자, 다식, 정과, 떡, 과일로 나타났다. 주요 음식의 경우 밀가루, 두부, 해조류, 버섯, 잣, 참기름, 꿀 등의 식재료를 이용하여 조리되었다. 특히 두부, 밀가루, 해조류 등은 불교적 내용과 관련하여 문헌에서 언급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소선이 조선시대로 전승되면서 불교의 영향을 받은 채식 문화의 형태란 것을 보여주며, 조선시대 왕실의례의 불교음식문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