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위치제어

Search Result 1,164,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공작기계의 곡선형 경로에 대한 오차모델을 이용한 제어기설계

  • 길형균;이건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89-189
    • /
    • 2004
  • 본 논문은 CNC 밀링머신을 이용한 절삭가공 등 2축시스템의 위치제어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다. 기존의 제어방식은 크게 독립축제어와 상호결합제어로 분류할 수 있다. 독립축제어는 두 축의 통합된 운동을 각각의 독립된 축에 대한 추적제어를 수행하여 원하는 공구경로의 위치 정밀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고, 상호결합제어는 지령경로에 대한 추적성능보다는 현재의 윤곽오차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제어입력을 인가하여 가공윤곽의 오차를 감소시키는데 주목적이 있다. 또한 최근의 작업공정의 고속화 경향은 윤곽오차를 감소시키면서도 추적성능이 우수한 제어방식을 요구하고 있다.(중략)

  • PDF

Robust control of positioning systems with a bang-bang actuator (뱅-뱅 액츄에이터를 가진 위치 제어계의 강인 제어)

  • Choe, Jin-Tae;Kim, Jong-Sik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2 no.4
    • /
    • pp.257-263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기계적 위치 제어계에서 다단계 뱅-뱅 액츄에이터의 비선형성에 의한 목표 위치에서의 리미트 사이클을 방지하는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다단계 뱅-뱅 액츄에이터의 선형화된 모델인 기술함수를 이용하여 비선형성을 보상한다. 강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루프 형성 기법에 의한 H/sub .inf./ 제어기가 설계된다. 제안된 제어방법은 기존의 선형제어기보다 비선형성이 보상되어 사역대가 작아지므로 최소 제어 가능 구간을 줄일 수 있다. 1축 위치 제어계의 실험을 하여 제안된 제어방법이 리미트 사이클을 줄이고 제어정도를 향상 시키는데 유효함을 입증하였다.

  • PDF

Output Feedback Control for the Regulation of Uncertain robot manipulators with Friction (출력제어기를 이용한 마찰력이 존재하는 로봇의 강인한 위치제어)

  • Choi, Eun-Seok;Kim, Seung-Jun;Ahn, Byung-H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d
    • /
    • pp.2874-287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1]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을 마찰력이 존재하는 로봇 매니퓰레이터에 적용하여 위치제어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제어 알고리즘은 로봇의 위치 정보만을 이용하는 반복적 제어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어기 설계 시, 로봇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파라미터 불확실성이 있는 시스템에 강인한 특징을 보인다. 제안된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마찰력이 존재하는 2축 SCARA형 로봇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수행하였다

  • PDF

Sensorless initial 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speed control using parameter compensator with flux observer of the 2-phase SRM with asymmetric inductance profile (비대칭 2상 SRM의 초기각 검출과 파라미터 오차 보상기를 가지는 자속관측기법을 적용한 센서리스 속도제어)

  • Lim, Geun Min;Lee, Jong-Heon;Ahn, Jin-Woo;Lee, Dong-Hee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3-154
    • /
    • 2011
  • 본 논문은 비대칭 2상 SRM의 센서리스 속도제어를 위한 초기각 검출 및 초기 기동방식과 자속관측기를 적용한 센서리스 제어에서 전동기의 온도 및 파라미터 변동에 의한 자속 오차 성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치 추정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새로운 보상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전압펄스 인가로 초기각을 검출하고 검출된 초기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동일한 전압펄스 인가를 통해 비여자상이 여자상이 되는 회전자 위치를 검출하여 상여자를 교체하는 초기기동을 통해 자속관측기를 적용한 센서리스 제어로 안정적으로 진입하도록 한다. 이 때, 제안된 추정위치 보상기를 통해 추정된 센서리스 위치를 순시적으로 보상한다.

  • PDF

Position Control of Brushless DC Motor using Single Input Fuzzy Variable Structure Controller (단일 입력 퍼지가변구조제어기에 의한 BLDC 모터의 위치제어)

  • 배준성;최병재;이대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1 no.1
    • /
    • pp.9-15
    • /
    • 2001
  • 브러쉬 없는 직류전동기의 위치제어를 위한 퍼지가변구조제어기를 설계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퍼지제어 기법에서 얻을 수 있는 특징으로부터 하나의 전건부 변수만을 가지는 간단한 퍼지논리제어기의 설계를 기술한다. 가변구조제어는 시스템의 파라메터 변화나 외란에 둔감한 특성을 갖는다. 하지만 리칭페이스에서는 문제가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지수항을 추가한 비선형 슬라이딩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나서 비선형 슬라이딩 면과 슬라이딩 면의 변화율을 입력으로 하는 퍼지 제어기를 설계한다. 이러한 2-입력 퍼지가변구조제어기의 제어 규칙표로부터 하나의 전건부 변수만을 가지는 단일 입력 퍼지가변구조제어기를 설계한다. 이들 제어기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수행한다.

  • PDF

Position Tracking Control of Flexible Piezo-beam Considering Actuator Hysteresis (작동기 히스테리시스를 고려한 유연 피에조빔의 위치추적제어)

  • Nguyen, Phuong-Bac;Choi, Seung-Bo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20 no.2
    • /
    • pp.129-137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a position tracking control of a flexible beam using the piezoelectric actuator. This is achieved by implementing both feedforward hysteretic compensator of the actuator and PID feedback controller. The Preisach model is adopted to develop the feedforward hysteretic compensator. In the design of the compensator, estimated displacement of the piezoceramic actuator is used based on the limiting triangle database that results from collecting data of the main reversal curve and the first order ascending curves. Experimental implementation is conducted for position tracking control and performance comparison is made between a PID feedback controller without considering the effect of hysteresis, and a PID feedback controller integrated with the feedforward hysteretic compensator.

Speed Sensorless Control of Switched Reluctance Motor (스위치드 리럭턴스 전동기의 센서리스 속도제어)

  • Shin, Kyoo-Jae;Kwon, Young-Ahn
    • Journal of IKEEE
    • /
    • v.2 no.2 s.3
    • /
    • pp.166-172
    • /
    • 1998
  • Switched reluctance motor(SRM) has the advantages of simple structure, low rotor inertia and high efficiency. However, position sensor is essential in SRM in order to synchronize the phase excitation to the rotor Position. The Position sensors increase the cost of drive system and tend to reduce system reliabilit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peed control of sensorless SRM in which the Phase current and change rate are utilized in position decision, and the period of dwell angle is variable for speed control.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Position decision circuit, speed controller, digital logic commutator, switching angle controller and inverter The performances in the proposed system are verified through the experiment.

  • PDF

산업용 로보트의 제어에 관하여

  • 변증남
    • Journal of the KSME
    • /
    • v.20 no.2
    • /
    • pp.123-130
    • /
    • 1980
  • 산업용로보트는 보통의 자동 기계와는 달리 상대하는 대상물과의 위치적 관계가 중요하여, 시 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대상물의 위치정보를 로보트 자체의 구동에 반영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 래의 써보 메카니즘(Servomechanism)의 제어 기술에서 보다 고려되어야할 사항이 많으며 제어 방법자체도 기능 제어(Intelligent Control) 분야라는 새로운 범주에 속하여 활발한 연구가 되고 있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산업용로보트의 제어기술에 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 PDF

구속 받는 유연 매니퓨레이터의 병렬 위치/힘 제어

  • Kim, Jin-Soo;Uchiyama, Masar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7 no.3
    • /
    • pp.76-8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환경에 구속 받는 유연 매니퓨레이터의 힘/위치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유연 매니퓨레이터의 모델링 방법은 분포 정수 모델과 집중 정수 모델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인 분포 정수 모델을 이용해서는 평면 1 링크, 2 링크를 대상으로 한 위치/힘 제어는 가능하나, 운동 방정식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실시간에서 다 링크 다 관절 유연 매니퓨레이터의 힘/위치를 제어하기는 어렵게 여겨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집중 정수 모델링 방법인 집중 스프링 질량 모델(Lumped Spring Mass Model)을 이용하여 환경에 구속받는 유연 매니퓨레이터의 운동 방정식을 산출했다 이 모델을 실험기인 유연 매니퓨레이터 ADAM(Aerospace Dual Arm Manipulators)에 적용하여 실시간 위치/힘 제어 실험을 행하였으며, MATLAB를 이용하여 해석했다. 또한, ADAMS$^{TM}$ FEM를 이용하여 분포 정수 모델을 도출하여, 해석하였으며, 이 결과와 집중 정수 모델을 이용한 MATLAB 해석의 결과, 그리고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구속받는 유연 매니퓨레이터의 집중 정수 모델 타당성을 입증시켰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Position Control System Using Encoderless Magnetic Motion (엔코더리스 마그넷 모션을 이용한 위치제어에 대한 리니어모터 실험적 연구)

  • Kim, Hong-youn;Yun, Young-Min;Shim, Ho-Keun;Kwon, Young-Mok;Heo, Ho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0 no.1
    • /
    • pp.9-16
    • /
    • 2016
  • A position control system composed of the PMLSM(Permanent Magnet Linear Synchronous Motor), unlike conventional linea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s fixed to the permanent magnet moving coil rails (permanent magnet = stator, coil = mover), the coil is fixed, moving the permanent magnet, we propose a position control system (permanent magnet = mover, coil = stator) structure. Position is measured not using conventional encoder or resolver but by adopting vector control method using 2 hall sensors generating rectangular signal. This method estimate the velocity and position of mover by using the quadruple of two hall sensor signal instead of encoder signal. Vector control of PMLSM using 2 hall sensor generating rectangular wave is proved to control the system stable and efficiently through simulation. Also hardware experiment reveals that the position control performance is measured within the range of $30{\sim}50{\mu}m$ in the accuracy of $10{\sim}20{\mu}m$, which is improved twice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proposed method exhibits its economical efficiency and practical usefulness. The vector control technique using two hall sensors can be installed in narrow place, accordingly it can be implemented on the system where the conventional encoder or resolver cannot ope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