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배체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8초

자연산 3배체 붕어 (Carassius auratus) 클론 집단에 대한 유전학적 동정 (Genetic Identification on Natural Population of Triploid Crucian Carp, Carassius auraus in Korea)

  • 김응오;이종윤;남윤권;노재구;이상윤;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89-594
    • /
    • 2002
  • 국내에 서식하는 붕어 (Carassius auratus) 3배체 집단을 동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분자생물학적, 세포유전학적 및 형태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자연산 붕어 3배체 집단은 전형적인 3배체의 세포 유전학적 특성들, 즉 이배체에 비해 1.5배의 세포 및 핵의 크기, 3n=150의 염색체수, 그리고 2배체 (3.6pg/cell)에 비해 1.5배 증가된 DNA 함량 (5.4 pg/cell)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3배 체붕어 집단은 DNA fingerprinting 분석에 의해 유전적인 구성이 동일한 클론 집단인 것으로 판명되었고 클론 3배체 붕어들은 2배체와 비교시 매우 일양한 형태학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모두 암컷인 전암컷 집단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함안 집단의 3배체 붕어 집단 이외에도 논산, 주문진, 속초 및 삼례 붕어 집단을 대상으로 3배체 출현 빈도를 조사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80\%$ 이상의 높은 3배체 빈도를 보였다.

자성발생성 2배체 넙치의 제 2세대 생산 ([ $F_2$] Production of Gynogenetic Diploid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정창화;문영봉;박인석;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87-291
    • /
    • 1996
  • 유도된 자성발생성 2배체를 친어로 양식어민에게 보급하고 유전적 동형접합제를 생산하기 위해 제 2세대 자성발생성 2배체를 유도하였다. 제 1세대 자성발생성 2배체의 성숙과 산란은 광주기와 HCG 처리로 유도하였을 때, 부상률은 $22.9\~65.7\%$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수정률은 $69.0\~86.2\%$, 그리고 부화율은 $36.8\~85.8\%$의 범위로 나타나 제 2세대 자성발생성 2배체군과 대조군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제 2세대 자성발생성 2배체의 생존율은 부화 후 40일까지 부화 자어수의 약 $30\%$로 대조군에 비하여 $15\%$ 낮게 나타났다(P<0.05). 평균 전장 3 cm 이후에 선발육종을 실시한 결과 평균 전장 4 cm 이후에 대조군에 비하여 급격히 성장함이 관찰되어 부화 후 100일째에는 평균 전장이 대조군이 10.0 cm, 제 2세대 자성발생성 2배체는 15.4 cm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 PDF

무지개송어, Oncorhynhus mykiss와 산천어, O. masou간의 잡종 및 잡종 3배체 생산 I. 세포유전학적 연구 (Production of Hybrid and Alotriploid betwee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nd Cherry Salmon, O. masou I. Cytogenetic study)

  • 박인석;김치홍;최경철;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47
    • /
    • 1997
  •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 와 산천어, O. masou 간 잡종 및 잡종 3배체가 유도되었다. 잡종 3배체의 3배체 유도율은 92%로 유도된 잡종 3배체의 초기 생존율은 잡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잡종의 염색체수는 2n=63 이었으며 잡종 3배체의 염색체수는 3n=93으로 나타났다. 잡종은 적혈구 세포 및 핵 크기에서 잡종유도시 사용된 무지개송어, 산천어의 적혈구 세포 및 핵 크기의 중간치를 나타냈으며 잡종 3배체는 잡종에 비해 배수화에 기인되어 큰 적혈구 세포 및 핵 크기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배수화는 인형성부위 수에서도 나타나 잡종은 1개 혹은 2개의 인형성부위를 보인 반면 잡종 3배체는 1개, 2개 혹은 3개의 인형성부위를 나타내었다.

  • PDF

콜히친 처리에 의한 4배체 호밀 육성 (Production of Colchicine Induced Tetraploids in Rye (Secale cereale L.))

  • 황종진;김대욱;김철우;손범영;백성범;박형호;구자환;김정태;이진석;문중경;권영업;한옥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43-352
    • /
    • 2012
  • 이 연구는 수량이 많은 4배체 호밀 품종을 육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기존의 2배체 호밀에 0.05% 농도의 콜히친을 처리하여 염색체가 배가된 4배체 식물체를 만드는 과정에서 배수체 작성효율, 처리시기, 4배체의 작물학적 특성 등 몇 가지 기초자료를 얻었다. 1. Flow cytometry(FC) 방법으로 호밀에서 배수성 여부를 구분하였는데, 2배체는 DNA 양(DAP1)이 50 전후, 4배체는 80~110 범위이었다. 2. 처리시기에 따른 2배체 호밀의 콜히친 처리후 생존율은 최아종자 처리가 18.5%, 2엽기 처리가 78%로 나타났지만, 생존한 개체 중에서 4배체 배가비율은 각각 50.9%, 1.1%로써, 처리시기별 총 4배체 작성효율은 최아종자 처리(9.42%)가 2엽기 처리(0.86%)보다 월등히 높았다. 3. 최아종자에 콜히친 처리 시 처리종자의 생존율은 1차 년도에 평균 18.5%(곡우호밀 33%, 조그린 4%), 2년차에 평균 42%(곡우호밀 56%, 조그린 21%, 참그린 49%)를 보였다. 생존한 개체들 중에서 4배체 비율은 1년차에 평균 50.9%(곡우호밀 53.7%, 조그린 32.4%), 2년차에 평균 60.5%(곡우호밀 64.1%, 조그린 51.5%, 참그린 60%)를 보였다. 4. 최아종자 처리 시 4배체 작성 효율(생존율 ${\times}$ 4배체 유기율)은 1차년도에 곡우호밀 17.7%, 조그린 1.3%, 2차년도에 곡우호밀 35.9%, 조그린 10.8%, 참그린 29.4%로 품종간 차이를 보였다. 5. 2배체 호밀에 콜히친 0.05%를 12시간 처리하여 35개의 4배체 식물체에서 148개 이삭과 2,673립의 종자를 얻었다. 식물체당 이삭수는 곡우호밀 4.4개, 조그린 3.3개, 수당 립수는 곡우호밀 18.3개, 조그린 15.6개, 천립중은 곡우호밀 37.6g, 조그린 46.8g 이었으며, 14개 이삭을 갖는 식물체도 2개나 되었다.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와 은연어(O. kisutch)간의 잡종 및 잡종 3배체 생산 (Production of Hybrid and Allotriploid betwee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nd Coho Salmon (O. kisutch))

  • 박인석;김병기;김종만;최경철;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3-140
    • /
    • 1996
  • 경제성이 높은 어종인 무지개송어와 은연어를 대상으로 두 종간의 장점을 갖춘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종간 잡종 및 잡종 3배체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잡종의 부화율은 $51.7\%$로 여타 대조군에 비해 낮았으나 잡종 3배체의 부화율은 $77.6\%$로 무지개송어 3배체와 유사한 부화율을 보였다. 또한 부화 2개월후의 생존율은 잡종인 경우 $1.7\%$로 매우 낮았으나 잡종 3배체는 $54.5\%$로 무지개송어 3배체의 $56.6\%$ 생존율과 유사하였다. 잡종의 세포 및 핵의 평균 크기는 양친으로 사용된 두 종의 중간을 보였으며 잡종 3배체의 세포 및 핵의 크기는 잡종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잡종의 염색체수는 60개로 나타나 n=30의 염색체수를 가진 무지개송어 난자와 n= 30의 염색체수를 가진 은연어 정자와 교배된 개체만이 생존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종 3배체의 경우 그의 염색 체수는 $90\~93$개로 Robertsonian형의 전좌에 의한 염색체 다형현상을 보여주었다.

  • PDF

배수성이 다른 자생 버뮤다그래스의 휴면 전후 항산화 효소활성 및 세포막 안정성 변화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Cell Membrane Stability of Korean Bermudagrass Genotypes Different in Ploidy at Dormant Stage)

  • 이긍주;이혜정;마기윤;전영주;김인경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21
    • /
    • 2011
  • 기존 보고된 바에 의하면 한국 자생 버뮤다그래스는 군집 내에서 형태학, 생육 특성, 세포학적 특성에 대해 유전적으로 매우 다양한 변이를 보여주었다. 버뮤다그래스의 염색체 수와 핵 DNA 량에 따르면 배수성 수준의 범위가, 3배 체(2n=3x), 4배체(2n=4x), 5배체(2n=5x), 6배체(2n=6x)로 나타났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휴면이 유도되는저온과 짧은 일장에 대한 항산화효소(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peroxidase, ascorbate peroxidase)의 다양한 반응과 각 버뮤다그래스 세포형의 세포막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항산화효소는 휴면 기간동안 높게 나타났으나,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 분자로 변환시키는 헴기를 함유한 카탈라제는 6배체 버뮤다그래스를 제외한 세 개의 세포형에서 휴면이 개시되기 전에 활성화되었다. 상대적으로 세엽이며 생육속도가 빠른3배체와 4배체는 superoxide dismutase와 peroxidase 효소의 활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수산기를 가진 라디칼에 의해 손상을 받은 세포막에서 지질과산화의 산물인 말론디알데히드(MDA)는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모든 세포형에서 증가되었고, 방어적인 항산화효소를 더 갖고 있는 3배체와 4배체는 MDA 생산이 현저하게 더 낮게 나타났다. 전해질 유출은 5배체와 6배체에서 더 높았던 것과 유사하게, 저온이 적용될 때 외견상으로 세포막에 더 손상을 받는 것 같았다. 실험 결과, 서로 다른 세포형(cytotype)의 항산화 반응은 유전적으로 특이적이며, 이는 버뮤다그래스에서 저온 저항성과의 연관성을 분자 수준에서 더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 Yunnan 지역 갈퀴덩굴속 식물에 대한 염색체 연구 (Chromosome study of Galium elegans and G. asperifolium (Rubiaceae) from Yunnan, China)

  • 정금선;이상우;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6-219
    • /
    • 2009
  • 중국 Yunnan 지역일대에서 채집한 갈퀴덩굴속(Galium L.) 2 분류군, Sect. Cymogaliea Pobed의 Galium elegans Wall. ex Roxb 와 Sect. Leptogalium Lang의 Galium asperifolium Wall. ex Roxb 의 체세포염색체수를 처음으로 밝혔다. G. elegans는 2개 지역에서 채집한 개체 모두 2n = 22(X = 11)의 2배체로 확인되었다. G. asperifolium는 5개 지역의 개체에 대해 체세포염색체수 조사 결과 2n = 33, 44, 55(X = 11)의 3배체, 4배체, 5배체 등이 확인되었다. 중국 Yunnan지역에 분포하는 G. elegans는 대부분 2배체로 확인되었고, G. asperifolium은 종내 다양한 배수체를 가지며, Mt. Canghsan의 개체군에서는 3배체와 4배체종이 혼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배체와 2배체 포도 품종간 교배를 통해서 생성된 3배체 후대개체에서 과실특성의 변이 (Variation in Fruit Characteristics of 3x Progenies Obtained from a Cross between 4x and 2x Grape Cultivars)

  • 허재윤;박성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761-770
    • /
    • 2016
  • 본 연구는 고품질을 가진 노동절감형 3배체 포도의 효율적인 육성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4배체와 2배체의 교배를 통해서 얻어진 3배체 포도계통들에서 과실 특성의 변이 를 교배조합별로 검정하였다. 비록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적정산도와 같은 과실의 품질과 관련 된 형질들은 교배조합들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GA_3$ 1회 처리에 따른 과실의 비대 정도는 교배조합에 따른 변이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거봉'과 '적령'의 교배 조합에서 생성된 3배체 후대계통에서의 평균 과방중은 491g으로써 다른 교배조합에서 생성된 후대계통들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컸으며, 동일한 교배조합 내의 계통간에서의 차이도 크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거봉'과 '적령' 같은 특정한 교배 조합이 고품질을 가진 노동력 절감형 대립계 무핵포도를 육성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연맥의 2배체에서 6배체로의 유전자의 이전에 의한 연구 (Proposal of Gene Transfer Scheme from Diploid (Avena strigosa) to Cultivar Hexaploid (A. sativa) in Oats)

  • 채영암;이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3-246
    • /
    • 1982
  • 연맥의 2배체가 가지고 있는 유용한 유전자를 재배종인 6배체에 도입시키는 이론적인 구상을 이미 알려진 사실에 기초하여 논의하였으며 이 계획의 주요 요점은 (1) 서로 다른 배수 수준 사이의 교량 역할을 하는 이질6배체를 얻기 위하여 4배체인 Avena magna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A. magna는 6배체 재배종인 A. sativa와는 2개의 게놈이 부분적으로 상동성을 가지거나 또는 하나는 공통적이고 나머지 하나는 부분적으로 공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AA BB 게놈 형태보다는 이들 사이에 보다 정상적인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A. strigosa와 A. magna는 교배친화성이며 42% 이상의 임실율을 보이고 있다. (2) A. strigosa의 목적하는 유전자가 A. magna에 도입되어 있는 4배체를 선발하고 (3) 합성 5배체는 $2^n=21$인 모배우자를 생성함으로써 A. sativa와 완전 또는 거의 완전한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4) 결과적으로는 마지막 단계에서 $A^{As}$ 게놈에 대하여 이질성이지만 이것을 자식시키면 동질계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 PDF

양식산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 2배체 및 유도된 3배체의 염색체 다형현상 (Chromosomal Polymorphism in Diploid and Induced Triploid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김동수;김종만;박인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5-153
    • /
    • 1990
  • 국내에서 양식되고 있는 무지개송어의 유전학적 동정 (genetic stock indentification)의 일환으로 염색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염색체 수 2n=60 및 2n=61의 개체 간 염색체 다형 현상이 발견되었다. Idiogram 분석 결과 이와 같은 염색체 다형 현상은 Robertsonian 전좌에 의해 중부 염색체 (metacentiric chromosome) 1개가 1쌍의 단부 염색체(acrocentric chromosome)로 나누어지기 때문 (Robertosoman fission)이었다. 염색체수 60개 및 61개인 개체의 집단 내 빈도는 각각 $38\%$$62\%$였으며 염색체 수 61개인 개체들에서는 암컷의 비율이 수컷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염색체 다형 현상을 보인 친어들로부터 3배체를 유도한 결과 유도된 3배체의 염색체 수 분포는 90, 91, 92 및 93개로 나타났으나 염색체 arm의 수는 모두 156개로 2배체와 동일하게 Robersonian 전좌에 기인한 다형 현상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