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등측지기준점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GPS망조정에 의한 2등측지기준점의 세계측지계 성과산정 (GPS Network Adjustment for Determining KGD2002 Coordinates of the $2^{nd}$ Order Geodetic Control Points)

  • 이영진;이흥규;정광호;이준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51-463
    • /
    • 2007
  • 우리나라에 세계측지계 기반의 한국측지계(KGD2002)가 도입됨에 따라 국가 측지기준점에 대한 새로운 성과의 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2등측지기준점의 세계측지계 성과 산정을 위하여 GPS관측데이터의 처리를 통해 얻어진 3차원 기선벡터를 이용한 측지망조정을 실시하였다. 3단계에 걸친 최소제약조정을 통하여 기선벡터에 포함된 과대오차를 체계적으로 검출소거하고 경험적 통계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기선벡터의 수평 및 수직방향의 오차 크기를 4mm+0.4ppm와 8mm+0.8ppm으로 각각 결정하였다. 국가 1등측지기준점 성과의 다점고정에 의한 망조정을 실시하여 수평과 수직방향에 2cm와 4cm 정확도로 최종성과를 산정하였다.

GPS망조정에 의한 3등측지기준점의 세계측지계 성과산정 (The $3^{rd}$ Order GPS Network Adjustment for Determining of KGD2002 Coordinate Sets)

  • 이영진;정광호;이흥규;권찬오;송준호;조준래;남기범;차상헌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37-449
    • /
    • 2007
  • 우리나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3등측지기준점의 세계측지계 전환을 위해 1997년에서 2005년까지 총 69개 사업지구에서 관측된 약 11,000여개 삼각점의 GPS관측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등측지기준점 관측데이터와 관련된 사항을 요약하고, 연도별 사업지구별 데이터를 분석한 후 40개 지구의 데이터를 재처리하였다. 또한, 과대오차 검출과 통계모델의 추정을 위해 사업지구별로 최소제약조건에 의한 망조정을 실시하고 추정한 정확도는 수평 $5mm{\pm}0.5ppm$ 수직 $10mm{\pm}1ppm$을 얻었다. 한국측지계 2002(KGD2002)의 최종성과 산정을 위한 GPS망조정은 GPS기선벡터를 기선해석 S/W별로 구분하여 총 17개의 블록으로 구성하고 블록별 최소제약 조정에 의해 평가하였으며, 다점고정 조정에 따라 최종성과를 산정하고 절대정확도 점검을 실시하였다.

공간정보의 측지기준체계 변환 기법 도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erivation of Appropriate Geodetic System Transformation Schemes for Spatial Data)

  • 윤성현;이흥규;송진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61-57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의 측지기준체계 변환에 사용하는 3차원 변환기법 Helmert, Molodensky-Badekas, Standard Molodensky 그리고 2차원 변환기법 Abridged Molodensky, Conformal, Affine, NTv2 (National Transformation version 2)의 적용 가능 좌표 형식, 변환계수 등 이론적 특징을 조사·비교하였다. 이들 기법을 4가지 각기 다른 특징을 갖는 공간정보 좌표 집단에 적용하는 변환 실험을 실시해 잔차 분포, 정확도, Student-T 분포에 대한 가설검정 결과를 분석하였다. 동일 측지기준체계를 달리 구현한 측지기준프레임 사이 변환 시 지각변동을 고려한다면, 그 범위가 아시아-오세아니아로 넓어지더라도 3차원 변환기법들의 적용 결과에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2차원 변환기법 중에서는 NTv2 기법이 지역적으로 불균질한 공통점의 상대정확도를 반영할 수 있어 가장 높은 변환 정확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의 공간정보의 측지기준체계 변환 이론과 실험적 고찰을 통해 향후 신규 측지기준프레임 도입에 따른 통합기준점 등 측량기준점 변환은 Helmert 기법 그리고 수치지형도·지적공부 등 2차원 공간정보 변환에는 NTv2 변환기법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국가 GIS와 연계를 위한 지적기준점의 세계측지계 변환 실험 (Experiment on Transform of Cadastral Control Points to the New Korea Geodetic Datum for Connecting with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송동섭;홍진상;윤홍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9-317
    • /
    • 2007
  • 우리나라의 지적기준점은 구소삼각원점, 특별소삼각원점, 특별도근측량원점 및 통일원점 등 다양한 원점체계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원점체계를 가진 수치지적도는 통일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국가 GIS 데이터와의 연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소삼각원점에 기준한 지적기준점 성과를 통일원점을 기준한 성과로 변환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변환 방법은 2차원 등각변환에 의한 변환 매개변수를 산출하고 이를 적용하여 간접변환한 성과를 GPS로 측량한 성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통일원점 기준의 지적기준점 성과를 세계측지계 기준의 성과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합 실험을 실시하였다.

1, 2등 국가삼각점의 실용성과 정밀산정 (Precise Determination of the Geodetic Primary Framework of Korea)

  • 최재화;최윤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국립지리원에서 20여년간(1975-1994) 관측한 정밀 1차 측지망 자료를 연도(작업구역)별, 블록별로 조정하여 전산처리에 필요한 데이타 Set로 구축하고, 전국 동시망 조정을 실시하여 우리 나라 측지망의 정확도 평가 및 오차전파 상태, 국토의 수평지각변동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 나라 최초의 동질성 있는 정밀 1차 기준점(1, 2등 삼각점)의 실용성과 (기준점 좌표 94)를 산정 제시하였다.

  • PDF

제주지역의 국가 기준점 정확도 분석 (Analysis of National Control Points in Jeju Area)

  • 정영동;양영보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3-282
    • /
    • 2005
  • 인공위성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각종 공간정보의 취득과 이를 응용하는 다양한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GPS를 이용한 위치결정은 국가 기준계가 세계좌표계로 전환되는 시점을 맞이하여 더욱 활성화 될 전망이다. 현재 국토지리 정보원에서 발급하는 삼각점에 대한 성과는 신성과와 구성과로 구분하고 있고 2007년부터는 전면 세계좌표계로 전환할 예정에 있다. 현재 제주지역의 삼각점은 최초, 복구 또는 재설한 삼각점 성과 차이로 인해 측량자 들이 그 성과를 이용함에 있어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현행삼각점간 부합관계를 점검하기 위해 1, 2등 삼각점을 기준으로 최초 측량 당시의 측지망을 재 구성하여 GPS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 후 성과분석을 통해 삼각점간 부합되는 안정점을 추출하고 제주지역에 적합한 측지기준망을 구축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한국측지좌표계의 재정립에 대한 연구 (Redefinition Procedures of the Korean Geodetic System)

  • 이영진;조규전;김원익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1-150
    • /
    • 1996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위성측위시스템의 보급에 따라 측지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지적 및 GIS/LIS 데이터베이스 관리분야에서도 그 활용성이 커지고 있으며, 지구중심좌표계(geocentric coordinate system)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행의 측지기준계를 분석하여 지구중심좌표계에 의한 새로운 측지기준좌표계(geodetic reference frame)의 설정방안을 고찰하였고, 이에 따른 국가기준점망의 구축방법과 기존의 좌표체계에서 새로운 좌표체계로 변경하고자할 경우에 고려되어야 할 기준점관리와 성과관리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GPS에 의한 제주지역의 측지기준망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n Geodetic Network in Jeju area using GPS)

  • 강상구;정영동;양영보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5-74
    • /
    • 2006
  • 인공위성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각종 공간정보의 취득과 이를 응용하는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GPS를 이용한 위치결정은 국가 기준계가 세계좌표계로 전환되는 시점을 맞이하여 더욱 활성화 될 전망이다. 현재 국토지리 정보원에서 발급하는 삼각점에 대한 성과는 신성과와 구성과로 구분하고 있고 2007년 부터는 전면 세계좌표계로 전환할 예정에 있다. 현재 제주지역의 삼각점은 최초, 복구 또는 재설한 삼각점 성과 차이로 인해 측량자 들이 그 성과를 이용함에 있어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현행삼각점간 부합관계를 점검하기 위해 1, 2등 삼각점을 기준으로 최초 측량 당시의 재 구성하여 GPS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 후 성과분석을 통해 삼각점간 부합되는 안정점을 추출하고 제주지역에 적합한 측지기준망을 구축하고 그 활용 가능성를 제시하였다.

  • PDF

2등 측지기준점 GPS 관측데이터의 기선벡터 추정 (GPS Baseline Estimation of the $2^{nd}$ Order Geodetic Control Network)

  • 이영진;이흥규;권찬오;차상헌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7-164
    • /
    • 2008
  • GPS기선해석은 반송파 관측값에 수학적 이중차분을 적용하고 미지정수 결정과정을 거쳐 최소제곱법에 의해 두 측점 사이의 기선벡터를 추정하는 수학적 절차이다. GPS기준점측량에서는 기선벡터망의 형성과 조정작업을 통하여 미지점들의 좌표를 계산한다. 본 논문에서는 2등 측지기준점의 세계측지계 성과산정 시 망조정에 필요한 기선벡터의 생성을 위한 GPS관측데이터 기선해석에 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으며 기선해석에 사용된 GPS관측데이터에 대한 사업내용, 관측방법을 요약하고 기선해석방법과 소프트웨어의 선정에 필요한 기술적 문제를 검토한 후 해석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 정리하였다.

가중측점망 조정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Densification by Modified Weighted Station Approach)

  • 백은기;이영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33-141
    • /
    • 1991
  • 실용성과를 갱신하기 위하여 새로운 측지망을 국가 기준점망에 결합하는 문제는 조정원점의 선택방법에 따라 조정결과가 바뀌는 측지망의 독특한 특성 때문에 경험적인 최선의 방법을 채용해 오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지점의 좌표를 가상의 측점량으로 고려하여 미지점으로 취급하는 가중측점망(Weighted Station Parameter Network) 방식을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기설 기준점의 공분산 행렬을 사용하는 대신에 대각선 요소만을 고려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설삼각망의 측정량이 미지인 국내의 측지망에서는 개선된 방법이 변동점 검출과 결합조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작업규정과 테스트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기설 2등 삼각점의 정확도는 ${\pm}16^{{\prime}{\prime}}$(${\pm}0.08m$)의 정확도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정밀 2차 기준점망을 1, 2등 삼각점에 결합할 경우에 ${\pm}2.3^{{\prime}{\prime}}$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