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개의 구

Search Result 3,56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Plot Size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II) -Adequate Plot Area of Tree Stratum in a Mixed Forest Community at T$\v{o}$kyusan Area- (삼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II) -덕유산지역 혼효림군집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 면적-)

  • Park, In-Hyeop;Ryu, Chang-Hee;Cho, 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7 no.2
    • /
    • pp.187-191
    • /
    • 1994
  • A mixed forest community in Tokyusan was studied to determine the adequate plot area of tree stratum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 Nineteen nested plots were set up in the studied forest community, and species-area curve and performance curve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species-area curve, the minimum plot area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plot area produced less than the same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species was 500$m^2$. The minimum plot area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plot area produced less than the half of the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species was 1,000$m^2$. According to performance curve of the importance values of the major species, the minimum plot area where the importance value of the major species wa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as 900$m^2$, and the minimum plot area was 500$m^2$ except for a big tree of Pinus densiflora distributed unexpectedly. According to performance curve of species diversity, the minimum plot area was 400$m^2$. Similarity indices between plot area above 900$m^2$ and total plot area were more than 90% and similarity indices between plot area above 400$m^2$ and total plot area were more than 85%. It may be as a conclusion that minimum plot area was generally about 500$m^2$ and in case of requiring more accuracy, minimum plot area was about 1,000$m^2$.

  • PDF

Studies on Effect of the Intrauterine Device on the Embryonal Development and Transport in the Mouse (생쥐의 자궁내(子宮內) 장치(裝置)가 배아발생(胚兒發生) 및 이동속도(移動速度)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硏究))

  • Cho, Wan-Kyoo;Kim, Sung-Rye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1 no.1
    • /
    • pp.43-48
    • /
    • 1974
  • 생쥐(C3H/JMS)의 한쪽 자궁(子宮)에 봉합계(縫合系)를 삽입한 후 초기배아(初期胚兒)의 발생과정(發生過程), 이동속도(移動速度) 그리고 착상(着床)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임신한지 2일째 되는 날에 자궁(子宮)에 장치를 받지 않은 쪽에서는 초기배(初期胚)의 일부가 이미 수난정(輸卵精)의 뒷부분에 도달하고 있었으나 장치를 받은 쪽에서는 아직도 수난정(輸卵精) 중부(中部)에 머물러 있었다. 3일째가 되면 대조(對照)가 되는 바른쪽 자궁(子宮)에서는 $8{\sim}16$세포기에 드는 배아(胚兒)가 79%에 이르며 24%는 이미 자궁(子宮)에까지 도달하고 있으나 장치를 한 쪽에서는 $8{\sim}16$세포기의 배아(胚兒)가 69%가 되며 겨우 8.2%만이 자궁(子宮)에 이르고 있다. 4일째가 되면 대조자궁(對照子宮)에서는 전체 배아(胚兒)의 75%가 그리고 장치 자궁(子宮)에서는 61%가 상실배(桑實胚)를 이루며 전자(前者)에서 60%, 후자(後者)에서는 40%가 자궁(子宮)내에 진입하게 된다. 정상적(正常的)인 생쥐에서는 임신 4일이 되면 거의가 배낭기(胚囊期)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쪽 자궁(子宮)에 실을 장치한 생쥐에서는 대조자궁(對照子宮)이거나 장치 자궁(子宮)이거나 모두 배낭(胚囊)의 형성(形成)이 늦어지고 있다. 한 자궁(子宮)당 발견되는 정상배(正常胚)의 평균치(平均値)는 대조구(對照區)에서 6.3정도로 임신 2일에서 4일 사이에 큰 차이가 없으나 처리구(處理區)에서는 2일에서 4일 사이에 6.5에서 3.8로 감소한다. 이상배(異常胚)는 대조구(對照區)에서 2일째에 2.2였던 것이 0.4로 크게 줄지만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대조구(對照區)에서 처럼 급격한 감소를 볼 수 없다. 임신한지 17일 되는 날 대조구(對照區)에서 15개의 자궁(子宮)가운데 한지 2개의 자궁(子宮)만이 착상(着床)흔적을 보였지만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전혀 착상(着床)되었던 흔적을 볼 수 없었다. 결국 생쥐에서는 한 쪽 자궁(子宮)에 이물질(異物質)을 삽입했을 때 장치를 받은 자궁(子宮)뿐 아니라 다른 한 쪽 자궁(子宮)에서도 착상(着床)이 일어나지 않을 뿐 아니라 이상난자(異常卵子)의 발생(發生)을 증가시키며 배아(胚兒)의 난할속도(卵割速度)가 늦어지고 또 배아(胚兒)의 이동(移動)이 늦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PDF

Effects of elevated CO2 concentration and increased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crop yield of rice (Oryza sativa) cultivars in Korea -cv. Odaebyeo and cv. Saechucheongbyeo- (CO2농도와 온도 상승이 한국의 주요 재배 벼품종의 생육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오대벼와 새추청벼-)

  • Lee, Eung Pill;Jang, Rae Ha;Cho, Kyu Tae;You, Young H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4
    • /
    • pp.363-370
    • /
    • 2014
  • We grew seedlings of Saechucheongbyeo and Odaebyeo of rice cultivars that are cultivated dominantly in the northern and middle regions of Korea under control(ambient condition), ambient $CO_2$ concentration+elevated temperature, and elevated $CO_2$ concentration+elevated temperature in order to study how growth responses and crop yield of major rice of Korea change as the global warming proceeds and compared the results. Aboveground biomass, belowground biomass, total biomass, and panicles weight per individual and ripended grain rate of cv. Saechucheongbyeo were the highest under control, but those of cv. Odaebyeo were the highest under elevated $CO_2$ concentration+elevated temperatur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nicles per individual of cv. Saechucheongbyeo and cv. Odaebyeo in these experim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grains per panicle of cv. Saechucheongbyeo among three environmental gradients, but that of cv. Odaebyeo was the highest under elevated $CO_2$ concentration+elevated temperature. Weight of a grain of cv. Saechucheongbyeo was highest under elevated $CO_2$ concentration+elevated temperature, but that of cv. Odaebyeo was the higher under ambient $CO_2$ concentration+elevated temperature and elevated $CO_2$ concentration+elevated temperature. Thus, if global warming continues in Korea, selection of rice cultivation varieties must be chosen carefully for commendation.

Development of Superovulation Method in Korean Native Goats (한국 재래산양의 과배란 처치 방법 개선)

  • C. Y. Choi;D. S. Son;Y. K. Kim;M. H. Han;U. G. Kweon;S. H. Choi;Y. H. Choy;S. B. Choi;Y. M. Cho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9 no.1
    • /
    • pp.61-66
    • /
    • 2004
  • 한국 재래산양 체내수정란 생산에 대한 발정동기화 및 과배란 유도방법과 회수된 수정란의 동결 융해 후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발정동기화를 위해 CIDR+FSH 및 CIDR+PMSG의 방법을 이용한 결과, 배란점 및 회수된 수정란의 수는 CIDR+FSH 처리구에서 16.3개 및 9.4개, CIDR+PMSG 처리구에서 16.4개 및 8.7개를 나타내어 두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회수된 수정란을 형태학적으로 평가한 결과 CIDR+FSH 처리구에서 Gade A, B, C 및 D는 75.8%, 15.2%, 4.5% 및 4.5%를 나타낸 반면 CIDR+PMSG 처리구에서는 52.5%, 16.4%, 16.4% 및 14.8%였으며, 이식 가능한 수정란 (Grade A, B) 수는 CIDR+FSH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회수된 수정란의 완만 동결 융해 후 생존성은 CIDR+FSH 처리구에서 73.3%, CIDR+PMSG 처리구에서 63.3%이었으며, 두 군간의 유의적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결과는 한국 재래산양 체내수정란의 생산과 회수된 수정란의 보존을 위해서 CIDR+FSH로 발정동기화 시키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Effect of Clay Mineral Pegmatite and Vitamin A and Supplemen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attening Hanwoo Steers (거정석과 비타민 A 급여가 거세한우 등심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Byung-Ki;Go Si-Jang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5 no.2
    • /
    • pp.156-16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nnin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s of mineral powder (pegmatit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 longissimuss for 24 Hanwoo steers. Each eight Hanwoo steers were randomly allotted to three treatments ; Control $(0\%)$, T1 (supplemented with pegmatite $2.0\%$ and vitamin A $0.2\%)$, T2 (supplemented with pegmatite $2.0\%$). Cooking loss was highest in control, while water holding capacity (WHC) was the highest in T2 (56.38) than the others. However, effect of the diets on meat colo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Panel test scores of juiciness, tenderness and flavor of M longissinus were the highest for T1 $(4.6\~5.0)$ between the treatment group (p<0.05). The content of total fatty acid in M longissimus was the highest in T2 $(50.80\%)$ among the treatment group. Palmitic acid and oleic acid were siginificantly higher in T1 and control than those for the others(p<0.05). Unsaturated fatty acid (UFA) was highest in T2 $(58.57\%)$ than the others$(55.09\~55.64\%)$ (p<0.05).

Plot Size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III) -Adequate Plot Area of Shrub Stratum in a Pinus densiflora Forest at Chuwangsan Area- (삼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III) -주왕산지역 소나무림의 관목층 적정 조사구 면적-)

  • 박인협;문광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8 no.2
    • /
    • pp.150-153
    • /
    • 1995
  • A Pinus densiflora forest in Chuwangsan was studied to determine the adequate plot area of shrub stratum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 Nineteen nested plots were set up in the studied forest, and species-area curve and performance curve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species-area curve, the minimum plot area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plot area produced less than the same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species was 900$m^2$. The minimum plot area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plot area produced less than the half of the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species was 1,500$m^2$. According to performance curve of the importance values of the major species, the minimum plot area where the importance value of the major species wa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as 1,400$m^2$. According to performance curve of species diversity, the minimum plot area was 750-1,500$m^2$. Similarity indices between plot area above 900$m^2$ and total plot area were more than 90% and similarity indices between plot area above 625$m^2$ and total plot area were more than 85%. It may be given as a conclusion that minimum plot area was about 1,500$m^2$ in case of requiring more accuracy.

  • PDF

An aspect of quarantine insect pest occurrence with different management system in sweet persimmon orchard (단감원의 방제 체계에 따른 검역대상 해충 발생 양상)

  • Lee, Dong-Woon;Park, Jae-Wan;Park, Chung-Gyoo;Choo, Ho-Yul;Kim, Young-Sub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7 no.3
    • /
    • pp.228-237
    • /
    • 2003
  • Temporary control schedules were tested at sweet persimmon orchards to development new control programs to meet the quarantine repuirements of America in 2001 and 2002. The 'MRL-type control orchards' were sprayed with chemicals which were possibly adaptable to the pome trees in America. A control schedule consisted of those chemicals registered for persimmon in Korea was incorporated in the 'domestic-type control orchards'. The efficacy of these two control type against insect pests was compared with that of a conventional control schedule. In 2001, MRL orchard and domestic orchard were sprayed 7 and 6 times, and two conventional orchards were 6 and 9 times, respectively. In 2002, acaricide was added once to the MRL orchards at late September to reduce the density of mites on harvested fruits. However no insecticide to plant bug control could be applied to the MRL orchards, because no insecticide against bugs was registered for pome trees in America. This resulted in 7 times of applications in MRL and domestic orchards. The conventional orchard was sprayed 9 times. Only the occurrence of the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ntiferalis (PPM) out of 4 quarantine inset species was observed. The PPM was observed during growing season in MRL, domestic, and conventional orchards. However no fruits damaged by PPM larvae were observed after mid October and after harvest. In 2002 only 1 fruit out of 1,350 fruits inspected in June was damaged by the larvae of PPM at MRL orchards. A fungus-feeding mites and collembolan were under calyx of vested fruits. In 2001 they were found on 45.3% of harvested fruits at MRL orchard. However the percentage of fruits with mites in 2002 was greatly reduced to 3.5% at MRL orchard, presumably because of a added application of acaricide at late September. However percentage of fruits damage by hemipteran bugs at harvesting time was quite high 11.3 % at MRL orchards, because no application of insecticide against plant bugs.

Modified Subband CPSP를 이용한 음원 추적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오상헌;박규식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39-142
    • /
    • 1999
  • 본 연구는 폐쇄된 임의의 공간상에서 2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 수신된 2개 신호의 도착 시간차를 계산하여 응원의 방향 각을 추정하는 새로운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MSCPSP 알고리듬은 기존의 CPSP 알고리듬을 개선한것으로, 마이크로폰에 수신된 2개의 입력신호에 대해 서브밴드 필터 뱅크를 이용하여 대역 분할하고 각 서브밴드 대역에서 구해지는 신호 대 잡음비(SNH)를 대역별 CPSP 결과에 가중치로 제공한다. 이러한 대역 분할 가중방식은 잡음의 영향을 각 대역으로 한정 분산시켜 보다 정확한 지연 시간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기존의 CPSP와 MSCPSP 알고리듬의 컴퓨터 모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된 MSCPSP의 우수함을 볼 수 있었다.

  • PDF

노계육의 화염처리 수준에 따른 pH, 드립발생, 육색, 도체특성 변화

  • Chae, Hyeon-Seok;Yu, Yeong-Mo;An, Jong-Nam;Ham, Jun-Sang;Jeong, Seok-Geun;Lee, Jong-Mun;Yun, Sang-Gi;Choe, Y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283-286
    • /
    • 2004
  • 본 연구는 노계육의 화염처리 조건에 따른 pH, 드립발생, 육색, 도체특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pH는 저장 3일에서도 화염 중처리와 강처리구에서 5.76, 5.96으로 무처리구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저장 5일에서는 처리별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드립 발생율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처리구와 상관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저장 5일에 화염을 80PSI으로 처리한 구에서 0.55%으로 무처리보다 2.7배 정도 드립발생율이 저하되었다. 노계육의 황색도($b^{\ast}$)는 저장 1일의 가슴살 경우 화염처리를 하지 않는 구에서 6.07를 나타냈으며, 중처리 및 강처리로 높일수록 9.77, 11.77으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깃털유무는 화염처리 하지 않는 처리구에서 평균 5.7개를 나타냈으나 화염이 강도 80PSI로 증가하였을 때 2.3개로 현저히 저하되었다. 잔모는 화염을 처리하지 않는 처리구에서는 잔모가 약간 분포되어있는 수준이 55,6%이었으나 강처리구에서는 5.6%까지 저하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볼 때 노계육의 화염 처리는 80PSI 수준까지 올려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ssessment of application effect a small sediment trap at field (밭에서의 소규모 침사구 적용효과 평가)

  • Shin, Min-Hwan;Jang, Jeong-Ryeol;Choi, Yong-Hun;Shin, Jae-Young;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89-893
    • /
    • 2012
  • 전 국토의 약 7.6%를 차지하고 있는 밭은 장마철이나 집중호우에 의해 하천의 탁수문제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수생태계에도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점오염원을 저감시켜야 한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을 줄이기 위한 여러 최적관리방법 중 침사구를 밭의 유출부에 적용하여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저감효과를 평가 하고자 하였다. 평가 방법은 6개(각 110m2)의 무밭을 조성하여 무 재배기간(2011년 4월부터 7월) 동안 시험포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를 1.125 m3($1.5m{\times}1.5m{\times}0.5m$) 크기의 침사구 3개로 각각 유입되도록 하였다. 침사구로 유입된 유출수는 토양으로 침투 및 저류 또는 증발되도록 하였고, 강우에 의한 유출수의 양이 침사구의 용량보다 클 경우 침사구 유출부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평균 64.1%의 유출량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질농도는 BOD5 39.0%, SS 62.1%, CODMn 43.4%, DOC 43.5%, T-N 40.0%, T-P 41.2%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량과 수질농도를 고려한 오염부하 저감효과는 유출량이 적었던 #2와 #3의 침사구에서 모든 수질항목에서 각각 80%와 90% 이상의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밭의 유출부에 작은 웅덩이와 같은 침사구를 설치할 경우 비점오염을 저감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강우유출수가 적을 경우 침사구에 의한 유사량의 저감효과도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줄이기 위해서는 본 연구와 같이 밭의 지표를 볏짚이나 다른 피복재 등으로 피복하여 토양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줄여 오염부하량을 저감하고, 유출이 발생할 경우 밭의 유출부에 침사구를 설치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저감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