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q22

검색결과 594건 처리시간 0.024초

겨우살이의 서식지생태환경과 기주식물 (Ecological Environment of Native Habitats and Host Plant i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 이보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89-393
    • /
    • 2009
  •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겨우살이의 인공번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겨우살이의 분포지역의 기주수종과 서식지 환경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겨우살이의 자생지는 전국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기주식물로는 졸참나무와 같은 참나무류가 대부분이였고 밤나무, 벚나무, 오리나무, 돌배나무 등에서 볼 수 있었다. 군락지의 같이 자생하는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와 활엽수인 느티나무, 감나무, 고로쇠나무, 단풍나무, 뽕나무, 은행나무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자생지의 고도는 해발 $0{\sim}1200\;m$까지 잘 생육되고 방향과 지형을 가리지 않고 기주식물이 잘 생육 할 수 있는 곳이면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종자 전파는 조류에 의함이 확인할 수 있었다. 겨우살이의 기생은 흡기 발생부터 기주식물의 표피 또는 조직성분에 따라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인공재배 연구의 좋은 성과를 위해 겨우살이가 잘 기생하는 기주식물의 기주 특이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mmobilization of Keratinolytic Metalloprotease from Chryseobacterium sp. Strain kr6 on Glutaraldehyde-Activated Chitosan

  • Silveira, Silvana T.;Gemelli, Sabrine;Segalin, Jeferson;Brandelli, Adrian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6호
    • /
    • pp.818-825
    • /
    • 2012
  • Keratinases are exciting keratin-degrading enzymes; however,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studies on their immobilization. A keratinolytic protease from Chryseobacterium sp. kr6 was purified and its partial sequence determined using mass spectrometry. No significant homology to other microbial peptides in the NCBI database was observed. Certain parameters for immobilization of the purified keratinase on chitosan beads were investigated. The production of the chitosan beads was optimized using factorial design and surface response techniques. The optimum chitosan bead production for protease immobilization was a 20 g/l chitosan solution in acetic acid [1.5% (v/v)], glutaraldehyde ranging from 34 g to 56 g/l, and an activation time between 6 and 10 h. Under these conditions, above 80% of the enzyme was immobilized on the support. The behavior of the keratinase loading on the chitosan beads surface was well described using the Langmuir model. The maximum capacity of the support ($q_m$) and dissociation constant ($K_d$) were estimated as 58.8 U/g and 0.245 U/ml, respectively.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immobilized enzyme was also improved around 2-fold,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free enzyme, after 30 min at $65^{\circ}C$. In addition, the activity of the immobilized enzyme remained at 63.4% after it was reused five times. Thus, the immobilized enzyme exhibited an improved thermal stability and remained active after several uses.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in Asian and American ginsengs by liquid chromatography-quadrupole/time-of-flight MS: assessing variation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Chen, Yujie;Zhao, Zhongzhen;Chen, Hubiao;Brand, Eric;Yi, Tao;Qin, Minjian;Liang, Zhita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1호
    • /
    • pp.10-22
    • /
    • 2017
  • Background: Asian ginseng and American ginseng are functional foods that share a close genetic relationship and are well-known worldwide.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inherent quality of Asian and American ginsengs. Methods: In this study, an ultra-HPLC-quadrupole/time-of-flight MS (UHPLC-Q/TOF-MS) method was establish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45 ginseng samples. The method developed for determination was precise and accurat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Asian ginseng samples with the same growing time (with the same or similar number of stem scars) that had a thinner main root, a longer rhizome and more branch roots contained greater amounts of ginsenosides. For American ginseng, two tendencies were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of the main root and contents of ginsenosides. One tendency was that samples with thinner main roots tended to contain higher levels of ginsenosides, which was observed in the samples sold under the commercial name pao-shen. Another tendency was that samples with thicker main roots contained higher contents of ginsenosides, which was observed in the samples sold under the commercial name pao-mian, as well as in samples of American ginseng cultivated in Jilin, China. Conclusion: An approach using ultra-HPLC-quadrupole/time-of-flight MS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to link morphology and active components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Asian and American ginsengs. Clear correlation between visible morphological features and quality of Asian and American ginsengs was found. People can see the difference; this means consumers and vendors can evaluate ginseng by themselves.

Preparation of Corncob Grits as a Carrier for Immobilizing Yeast Cells for Ethanol Production

  • Lee, Sang-Eun;Lee, Choon Geun;Kang, Do Hyung;Lee, Hyeon-Yong;Jung, Kyun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2호
    • /
    • pp.1673-1680
    • /
    • 2012
  • In this study, DEAE-corncobs [delignified corncob grits derivatized with 2-(diethylamino)ethyl chloride hydrochloride ($DEAE{\cdot}HCl$)] were prepared as a carrier to immobilize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for ethanol production. The immobilized yeast cell reactor produced ethanol under optimized $DEAE{\cdot}HCl$ derivatization and adsorption conditions between yeast cells and the DEAE-corncobs. When delignified corncob grit (3.0 g) was derivatized with 0.5M $DEAE{\cdot}HCl$, the yeast cell suspension ($OD_{600}$ = 3.0) was adsorbed at >90% of the initial cell $OD_{600}$. This amount of adsorbed yeast cells was estimated to be 5.36 mg-dry cells/g-DEAE corncobs. The $Q_{max}$ (the maximum cell adsorption by the carrier) of the DEAE-corncobs was estimated to be 25.1 (mg/g), based on a Languir model biosorption isotherm experiment. When we conducted a batch culture with medium recycling using the immobilized yeast cells, the yeast cells on DEAE-corncobs produced ethanol gradually, according to glucose consumption, without cells detaching from the DEAE-corncobs. We observed under electron microscopy that the yeast cells grew on the surface and in the holes of the DEAE-corncobs. In a future study, DEAE-corncobs and the immobilized yeast cell reactor system will contribute to bioethanol production from biomass hydrolysates.

Transcriptome profiling and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genes involved in H2S response in grapevine tissue cultured plantlets

  • Ma, Qian;Yang, Jingli
    • Genes and Genomics
    • /
    • 제40권12호
    • /
    • pp.1287-1300
    • /
    • 2018
  • Hydrogen sulfide ($H_2S$), a small bioactive gas, has been proved functioning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as well as alleviation of abiotic stresses, which including promoting seed germination, accelerating embryonic root growth, regulating flower senescence, inducing stomatal closure, and defending drought, heat, heavy metals and osmotic stresses etc. However, the molecular functioning mechanism of $H_2S$ was still unclear.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transcriptional differences and functional genes involved in the $H_2S$ responses. In details, 4-week-old plantlets in tissue culture of grapevine (Vitis vinifera L.) cultivar 'Zuoyouhong' were sprayed with 0.1 mM NaHS for 12 h, and then transcriptome sequencing and qRT-PCR analysis were used to study the transcriptional differences and functional genes involved in the $H_2S$ respons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650 gene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after $H_2S$ treatment, in which 224 genes were up-regulated and 426 genes were down-regulated. The GO enrichment analysis and KEGG enrichment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up-regulated genes after $H_2S$ treatment focused on carbon metabolism, biosynthesis of amino acids, and glycolysis/gluconeogenesis, and the down-regulated genes were mainly in metabolic pathways, biosynthesis of secondary metabolites, and plant hormone signal transduction. Analyzing the transcription factor coding genes in details, it was indicated that 10 AP2/EREBPs, 5 NACs, 3 WRKYs, 3 MYBs, and 2 bHLHs etc. transcription factor coding genes were up-regulated, while 4 MYBs, 3 OFPs, 3 bHLHs, 2 AP2/EREBPs, 2 HBs etc. transcription factor coding genes were down-regulated. Taken together, $H_2S$ increased the productions in secondary metabolites and a variety of defensive compounds to improve plant development and abiotic resistance, and extend fruits postharvest shelf life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P2/EREBPs, WRKYs, MYBs, CABs, GRIP22, FERRITINs, TPSs, UGTs, and GHs etc.

Comparison of Gene Expression Changes in Three Wheat Varieties with Different Susceptibilities to Heat Stress Using RNA-Seq Analysis

  • Myoung Hui Lee;Kyeong-Min Kim;Wan-Gyu Sang;Chon-Sik Kang;Changhyun Cho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7-197
    • /
    • 2022
  • Wheat is highly susceptible to heat stress, which significantly reduces grain yield. In this study, we used RNA-seq technology to analyze the transcript expression at three different time-points after heat treatment in three cultivars differing in their susceptibility to heat stress: Jopum, Keumkang, and Olgeuru. A total of 11,751, 8850, and 14,711; 10,959,7946, and 14,205; and 22,895,13,060, and 19,408 differentially-expressed genes (log2 fold-change > 1 and FDR (padj) < 0.05) were identified in Jopum, Keumkang, and Olgeuru in the control vs. 6-h, in the control vs. 12-h, and in the 6-h vs. 12-h heat treatment, respectively.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showed that the biological processes for DEGs, such as the cellular response to heat and oxidative stress-and including the removal of superoxide radicals and the positive regulation of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were significantly enriched among the three comparisons in all three cultivars.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expression pattern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scavenging enzymes, heat shock proteins, and heat-stress transcription factors using qRT-PCR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gene expression among the three varieties under heat stress. This study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wheat heat-stress response at the early growth stage and the varietal differences in heat tolerancea.

  • PDF

솔잎혹파리 피해적송림(被害赤松林)의 생태학적(生態学的) 연구(研究) (I) (Ecological Changes of Insect-damaged Pinus densiflora Stands in the Southern Temperate Forest Zone of Korea (I))

  • 임경빈;이경재;김용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8-71
    • /
    • 1981
  • 충남(忠南) 전북지방(全北地方) 적송림(赤松林)의 천이과정(遷移過程)을 연구(研究)하기 위하여 솔잎혹파리의 피해지속기간(被害持續期間)에 따라 피해극기지(被害極基地) (5년전(年前)에 피해발생(被害発生))인 공주(公州)(A), 피해지속지(被害持續地)(10년전(年前)에 피해발생(被害発生))인 부여(扶餘)(B), 피해회복지(被害回復地)(20년전(年前)에 피해발생(被害発生))로서 고창지역(高敞地域)(C)을 조사지역(調査地域)으로 설정(設定)하고, 각(各) 조사지역별(調査地域別)로 환경요인(環境要因)과 식생상태(植生狀態)를 調査하여, 환경요인(環境要因)과 식생상태(植生狀態), 삼림군집(森林群集)의 비교(比較), 식물상(植物相)의 변화(変化) 등(等)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임분(林分)이 솔잎혹파리피해(被害)로 부터 회복(回復)되어 감에 따라 식생구성(植生構成)에 변화(変化)가 오고 대상수종(代償樹種)으로 발달(発達)된 참나무류(類)의 상대우점치(相対優点値)가 감소(減小)되었다. 그러나 본(本) 조사지역내(調査地域內)에서는 상수리나무의 상대우점치(相対優点値)가 다른 참나무류(類) 보다 높았다. 2. 솔잎혹파리피해(被害)가 지속(持續)됨에 따라 삼림군집(森林群集)의 종구성상태(種構成狀態)가 점차 다양(多樣)하여진다. 그후 피해(被害)가 회복(回復)됨에 따라 임분(林分)의 종구성상태(種構成狀態)는 단순화(单純化)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상대밀도(相対密度) 및 상대우점치(相対優点値)의 상대치(相対値)에 의(依)한 식생천이(植生遷移)를 종합분석(綜合分析)한 결과(結果) 솔잎혹파리피해(被害)의 극심(極甚)에서 우점종(優点種)을 이루던 참나무류(類)가 피해(被害)로부터 회복(回復)되어감에 따라 그 값이 감소(減少)되고, 싸리류(類), 진달래류(類) 등(等)이 하층식생(下層植生)을 형성(形成)하는 삼림군집(森林群集)으로 변화(変化)하여 갔다. 4. 식생(植生)에 미친 토심(土深), 토양함수량(土壤含水量),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그리고 유기물층(有機物層)의 두께는 본(本) 조사대상지(調査対象地)의 범위내에 있어서는 거의 같은 것으로 사료(思料)되었고 연평균강수량(年平均降水量)과 온도(温度)도 유사(類似)하였다고 본다.

  • PDF

관상동맥 우회술 292례의 중기 성적 (Mid-Term Results of 292 case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김태윤;김응중;이원용;지현근;신윤철;김건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43-652
    • /
    • 2002
  • 국내에서도 관상동맥 질환과 관상동맥 우회술이 증가하고 수술성적은 점차 나아지고 있으나 중장기 성적에 대한 보고는 미흡하다. 이에 저자들은 본원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받은 292례의 조기 성적과 중장기 성적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292례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남자는 173례, 여자는 119례였고 연령은 39세에서 84세까지로 평균 $61.8{\pm}9.1$세였다. 모든 환자에서 술전 위험인자, 수술방법 및 결과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수술후 퇴원한 환자에 대해서는 외래 추적검사를 통하여 증상의 재발과 만기 합병증 그리고 만기 사망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술전 임상진단으로 불안정형 협심증이 137례(46.9%), 안정형 협심증이 34례(11.6%), 급성 심근경색이 40례(13.7%),Q-wave가 나타나지 않는 심근경색이 25례(8.6%), 심근경색 후 협심증이 22례(7.5%), 심인성 쇽이 30례(10.3%), 경피적 관상동맥 풍선 확장술 실패가 4례(1.4%)였다. 술전 관상동맥 조영술상 삼혈관 질환이 157례(53.8%), 이혈관 질환이 35례(12.0%), 단일혈관 질환이 11례(3.8%), 좌주관상동맥 질환이 89례(30.5%)였다. 수술시 원위부 문합은 대복재정맥이 630례, 내흉동맥이 257례, 요골동맥이 50례, 우측 위대망막동맥이 2례였으며 환자당 평균 원위부 문합수는 $3.2{\pm}1.0$개였다. 18례에서 관상동맥 우회술 외에 인공판막 치환술 8례(2.7%), 좌주관상동맥 성형술 6례(2.1%), 심근경색후 심실중격결손의 첩포 봉합 2례(0.7%), 상행대동맥의 인조혈관 치환술 1례 (0.3%), 관상동맥 내막절제술 I례(0.3%)와 같은 동반술식이 행해졌다. 대동맥 차단 시간은 평균 $96.6{\pm}35.3$분 이었고, 심폐관류 시간은 평균 179.2${\pm}$94.6분이었다. 전체 조기 사망률은 8.6%이었으나 선택적 수술에서의 사망률은 3.1%였으며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6례(2.1%)에서 나타난 저심박출증이었다. 조기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고혈압, 70세 이상의 고령, 좌심실 박출계수 40% 미만의 좌심실기능 저하, 울혈성 심부전, 술전 대동맥내 풍선펌프, 응급 수술, 만성 신부전이었다. 생존한 환자 269례중 241례에서 추적관찰을 시행하였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39.0127.0개월이었다. 만기 사망이 7례(2.9%)에서 있었으며 이중 4례가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이었고, 증상의 재발이 14례(5.8%)에서 발생하였다. 증상이 재발한 환자 14례중 13례에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준하여 재관상동맥 우회술, 관상동맥 중재술과 약물요법을 시행했고 1례를 제외한 12례에서 이후 증상의 재발은 없었다. 결론: 관상동맥 우회술후 조기 성적뿐 아니라 만기 사망과 증상의 재발 등에 관하여 지속적으로 추적관찰을 하여 비교적 만족할만한 성적을 얻었으나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술수기의 향상뿐 아니라 수술후 관리와 외래 추적관찰 등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개에서 Malassezia 피부염에 대한 itraconazole 치료 18례 (Efficacy of itraconazole in 18 cases of Malassezia dermatitis in dogs)

  • 정아영;허우필;정효훈;엄기동;이근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0-93
    • /
    • 2005
  • Malassezia 피부염으로 진단된 18두의 개를 대상으로 Itraconazole 5mg/kg을 1일 2회 경구 투여하여 치료효과를 알아보았다 치료반응을 보인 환자는 $88\%$이었으며 소양감과 피부병면은 치료후 1주일에 확연히 개선되었다. 치료대상견의 품종은 Haltese$(22\%)$, Cocker Sptuiel$(17\%)$, Pekingese$(11\%)$, Vizsla$(11\%)$이었다. 피부증상으로는 가피$(31\%)$, 탈모$(25\%)$, 색소침착$(25\%)$, 인설$(19\%)$, 발적$(13\%)$, 태선화$(11\%)$, 농포$(11\%)$ 귀부종$(11\%)$, 구진$(5\%)$의 순으로 냐타났다. 병변발생부위는 이도$(41\%)$, 액와부$(18\%)$, 서혜부$(15\%)$, 회음부$(12\%)$, 복측경부$(9\%)$, 지간부$(1\%)$, 총구부$(1\%)$ 이었다. 세포학적 검사시$61\%$의 환견에서 구균이 동시에 검출되었다. Itraconazole에 대한 임상반응은 $89\%$가 치료반응을 보였고 (2두)$11\%$는 치료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치료반응을 보인 환자 중 5두는 재발되었고 1두는 갑상선 기능저하증이었으며 나머지 4두는 재발의 원인을 확인할 수 없었다. 1두에서 투여 후 28일에 식욕결집, 침울의 증상이 발현되어 투약을 중지하였다. 따라서itraconazole을 5mg/kg을 1일 2회 경구투여는 Malassezia 피부염에 효과적인 치료로 사료된다

학습자의 교육훈련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정선정;임경화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39-75
    • /
    • 2018
  • 이 연구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의 교육훈련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선행 연구들의 일반적 특성과 만족도-성취도간 상관 효과크기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2016년까지 수행된 관련 문헌을 검색하여 문헌 선정기준 및 질 평가를 통해 최종 31편의 문헌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고, 그 중에서 학업성취도가 자가진단으로 측정된 문헌을(4편) 제외한 27편의 문헌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체계적 문헌고찰에 활용된 연구들의 일반적 특성은 2000~2016년까지 총 31편의 연구가 수행되었고, 절반 이상의 연구가(16편) 최근 4년간(2009~2012년) 이루어졌다. 교육훈련 대상별로는 대학생(18편), 근로자(9편), 초등학생(4편) 연구 순으로 많고, 방법별로는 집체(15편), 원격(14편), 혼합(2편) 순, 학습자 참여방식 별로는 일반적 방식(22편), 활동적 방식(9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교육훈련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상관 효과크기를 검증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만족도-성취도간 상관 효과크기는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ZCOR=.297, 95%: CI .210~.383). 교육훈련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개별 문헌으로만 보았을 때는 상관이 있는 문헌도 있지만, 통계적으로 상관이 없는 문헌도 있었고, 상관이 있더라도 상관이 높거나 중간이거나 낮은 문헌들이 혼재되어 있다면, 이 연구를 통하여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성취도의 상관관계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가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은 큰 의의가 있다. 셋째,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별 만족도-성취도간 상관 효과크기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대상과 방법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지만, 학습자의 참여방식(일반적, 활동적)에 따라서는 상관 효과크기의 차이가 있었다(Q=15.40, df=1, p<.0001). 활동적 참여방식은 큰 상관 효과크기를(ZCOR=.588, 95%: CI .422~.754), 일반적 참여방식은 중간보다 낮은 상관 효과크기를 보였다(ZCOR=.211, 95%: CI .122~.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