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Environment of Native Habitats and Host Plant i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겨우살이의 서식지생태환경과 기주식물

  • Lee, Bo-Du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 이보덕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Regional distribution of mistletoe (Viscum album var.coloratum) and its habitual environment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obtain the basal data on the artificial propagation to cope with its increasing consume for medicine. Mistletoes inhabited throughout the overall region of the South Korea investigated. They were parasitic mainly to the Quercus spp. including Q. serrata and rarely to the Castanea crenata var. dulcis,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lnus japonica, and Pyrus pyrifolia, etc. Mistletoes were not observed on the conifers such as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and some deciduous broad-leaved trees species such as Zelkova serrata, Diospyros kaki, Acer mono, Acer palmatum, and Morus alba. Their habitats were located from zero to 1,200 m above sea level nevertheless the direction or slope of the mountains, suggesting that artificial propagation can be carried out nation widely to the well-grown parasite tree species. Parasitic specificity related to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 of the epidermal tissues will be studied further.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겨우살이의 인공번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겨우살이의 분포지역의 기주수종과 서식지 환경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겨우살이의 자생지는 전국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기주식물로는 졸참나무와 같은 참나무류가 대부분이였고 밤나무, 벚나무, 오리나무, 돌배나무 등에서 볼 수 있었다. 군락지의 같이 자생하는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와 활엽수인 느티나무, 감나무, 고로쇠나무, 단풍나무, 뽕나무, 은행나무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자생지의 고도는 해발 $0{\sim}1200\;m$까지 잘 생육되고 방향과 지형을 가리지 않고 기주식물이 잘 생육 할 수 있는 곳이면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종자 전파는 조류에 의함이 확인할 수 있었다. 겨우살이의 기생은 흡기 발생부터 기주식물의 표피 또는 조직성분에 따라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인공재배 연구의 좋은 성과를 위해 겨우살이가 잘 기생하는 기주식물의 기주 특이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ariri, E. B., C. Andary and G. Salle. 1987. New insights on the resistance against mistletoe (Viscum album L.). In H. Chr. Weber and W. Forstreuter (eds) Parasitic Flowering Plants. pp. 293-294 (Marburg, F. R. G.)
  2. Onofeghara, F. A. 1972. 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Enzymes in Tapinanthus Bangwensis: Acid Phosphatase. Amer. J. Bot. 59: 549-556 https://doi.org/10.2307/2441018
  3. Riopel, J. L. and L. J. Musselman. 1979. Experimental initiation of haustoria in Agalinis purpurea (Scrophulariaceae). Amer. J. Bot. 66: 570-575 https://doi.org/10.2307/2442506
  4. Sugawara, K. 1999. 50 medicinal plants and 50 tree fruits for fishman. Tsuribito, Tokyo. pp. 74-75
  5. Tsivion, Y. 1978. Possible role of cytokinins in nonspecific recognotion of a host and in early growth of haustoria in the parasitic plant, Cuscuta campestris. Bot. Gaz. 139: 27-31 https://doi.org/10.1086/336961
  6. Visser, J. 1981. South African parasitic flowering plants. Juta and Co. Cape Town. South Africa. pp. 177
  7.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 식물1.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140-141
  8. 농림부. 2000. 겨우살이 인공재배 및 이용 기술개발. 농림특정최종보고서
  9. 농림부. 2007. 기능성 향장품 개발을 위한 겨우살이와 느릅나무의 유전자원 및 유용물질의 소재화 연구. 최종연구보고서
  10. 박충헌, 박춘근, 방경환, 박희운, 성낙술. 2003. 한국산 겨우살이의 생장과 조직해부학적 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1(2): 122-126
  11. 박태균. 2004. 자연의학이 뜬다. 중앙일보
  12. 이용대, 이주성, 안승환. 1991. 수목병해충도감. 산림청 목재연구원. pp. 202-203
  13.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 295-296
  14. 최진규. 2001. 약이 되는 우리 풀, 꽃, 나무 제2권. 한문화. pp. 13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