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M7

검색결과 28,316건 처리시간 0.057초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정액의 특성과 정자의 미세구조 (Milt Properties and Spermatozoa Structure of Filefish(Thamnaconus modestus))

  • 레민황;임한규;민병화;김성연;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27-233
    • /
    • 2007
  •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정액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정자의 미세구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정액량과 정자 농도, spermatocrit는 각각 $0.3{\pm}0.1\;mL{\cdot}fish^{-1}$, $2.6{\pm}0.1{\times}10^7\;spermatozoa{\cdot}mL^{-1}$, $73.3{\pm}6.7$였다. 정장의 화학적 조성에 있어서 potassium $9.8{\pm}0.9\;mmol{\cdot}L^{-1}$, sodium $164.0{\pm}4.0\;mmol{\cdot}L^{-1}$, chloride $151.0{\pm}1.2\;mmol{\cdot}L^{-1}$, calcium $14.9{\pm}0.6\;mg{\cdot}dL^{-1}$, magnesium $7.2{\pm}0.1\;mg{\cdot}dL^{-1}$, glucose $1.0\;mg{\cdot}dL^{-1}$, 총단백질 $0.1\;g{\cdot}dL^{-1}$, 총지질 $1.0\;mg{\cdot}dL^{-1}$였으며, 삼투질농도와 pH는 각각 $322.8{\pm}2.8\;mOsmol{\cdot}kg^{-1}$ and $7.7{\pm}0.1$였다.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정자는 첨체가 없는 머리, 5개의 미토콘드리아로 이루어진 중편부 및 "9+2"의 미세소관 편모를 가진 꼬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세로로 절단한 정자 머리는 장경 $1.3{\sim}1.6\;{\mu}m$, 단경 $1.0{\sim}1.3\;{\mu}m$로 말편자 모양을 하고 있었다.

  • PDF

Breast Specific Gamma Imaging 장비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Breast Specific Gamma Imaging)

  • 차은선;곽인석;노익상;연준호;김기;최춘기;석재동
    • 핵의학기술
    • /
    • 제14권1호
    • /
    • pp.24-27
    • /
    • 2010
  • Breast cancer는 조기 병변의 발견이 매우 중요하나 크기가 작은 암세포를 구별해 내는 데 한계가 있어 예민도 96.4% 이상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BSGI가 도입되어 임상적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예민한 감도를 보이는 BSGI 장비를 이용하여 계수율, 해상력 등의 성능 평가를 하고자 한다. Dilon사의 BSGI 장비와 $^{99m}Tc$ 점 선원 1.85 MBq (0.05mCi)부터 1.85~37 (0.05~1 mCi) MBq 간격으로 111 MBq (4mCi)까지 이용하였다. 성능 평가 방법은 BSGI 콜리메이터 유효시야(useful field of view, UFOV) 5개의 지점을 선택하여 60초씩 영상을 얻어 평균 count 변화로 불응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Breast에 임상적 섭취 분포를 기준으로 콜리메이터 유효시야에서 점 선원을 1.85, 3.7, 5.55, 7.4 MBq (0.05, 0.1, 0.15, 0.2 mCi)까지 증가시켜 점 선원과의 거리를 10, 20, 30, 40, 50 mm 간격으로 FWHM을 얻었다. $^{99m}Tc$ 74 MBq (2mCi) 이하에서 count는 증가하고 그 이상에서는 더 이상 증가 하지 않는다. 점 선원의 거리에 의한 FWHM에서 1.85 MBq (0.05 mCi)는 4.05, 4.73, 5.77, 6.90, 8.00, 9.32 mm, 3.7 MBq (0.1 mCi)는 4.30, 4.80, 5.90, 7.00, 8.10, 9.07 mm, 5.55 MBq (0.15 mCi)는 4.90, 5.60, 6.20, 7.20, 8.20, 9.10 mm, 7.4 MBq (0.2 mCi)는 5.30, 6.10, 6.60, 7.00, 7.90, 8.70 mm로 거리에 따라 FWHM 약 0.5-1 mm의 변화를 얻었다. BSGI 장비의 검출기 자체의 특성인 불응시간으로 인하여 74 MBq (2 mCi) 이상 사용으로는 왜곡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FWHM은 거리, 일정한 분포 변화, 병변위치에 따라 검출기를 다양한 각도에서 최대한 밀착하게 하면 더 유용하게 검사할 수 있다.

  • PDF

한반도의 최대지진 (Maximum Earthquakes in the Korean Peninsula)

  • 이기화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50
    • /
    • 2001
  • 한반도 주요 지체구조구에 대한 최대지진을 지진 및 지질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한반도에서 발생한 가장 큰 지진은 MMI IX - X의 범위에 걸치며 이는 M= 7.0 - 7.7 에 해당한다. Gumbel의 극대치 제3분포를 이용하면 지체구조구별 최대지진은 M = 7.1 - 7.9의 범위에 놓이고, 응력방출 양상을 분석하면 M = 6.7 - 7.7 가 도출된다. 단층길이와 규모와의 상관관계에서 최대지진은 M = 7.4 - 7.6 에 놓인다. 한반도의 주요 지체구조구 사이에 최대지진의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는 지진 및 지질학적 증거는 없다. 역사지진의 평가에서 강진들은 대략 1 계급( M=0.7) 과대 평가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한반도의 최대지진은 대략 M = 7.0으로 추정된다.

  • PDF

Response of Soybean (Glycine max L.) to Subsurface Drip Irrigation with Different Dripline Placements at a Sandy-loam Soil

  • Lee, Sanghun;Jung, Ki-Yuol;Chun, Hyen-Chung;Choi, Young-Dae;Kang, Hang-W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79-89
    • /
    • 2018
  • Subsurface drip irrigation (SDI) system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water application. A 2-year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DI systems with various dripline spacing (0.7 or 1.4 m) and position (under furrow or ridge) on soybean (Glycine max L.) production at a sandy-loam soil in Miryang, South Korea. For 2016-2017, average grain yield in SDI irrigated plots, $3.16Mg\;ha^{-1}$, was statistically greater than rainfed irrigated plot ($2.63Mg\;ha^{-1}$). Soybean grain yield averaged $3.25Mg\;ha^{-1}$ for the 0.7 m dripline spacing and $3.07Mg\;ha^{-1}$ for the 1.4 m spacing for the two-year period compared to a rainfed irrigated average of $2.63Mg\;ha^{-1}$ for the same period. Soybean treated with SDI system had significantly greater values of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stomatal conductance, indicating that soybean plants in SDI plots had greater photosynthetic and stomatal activity due to the higher water availability in soil. Irrigation water use efficiency (IWUE) was greatest in the plot of 0.7 m spacing installed under ridge position than any other plot across growing season. Average soil water content in plots with 0.7 m dripline spacing was $0.21m^3\;m^{-3}$ at 5 cm depth layer, which was 45% greater compared to the plots with 1.4 m spacing, even though the gross irrigation amounts were greater in 1.4 m spacing plots. It is concluded that wide dripline spacing (1.4 m) is probably the more economical installation design for SDI system compared to 0.7 m spacing in this study soil because the initial cost for dripline may be reduced with wide spacing design, even though the IWUE is greater in the plot of 0.7 m dripline spacing.

정상성인의 신경전도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erve Conduction Velocity of Normal Adults)

  • 최경찬;허종상;변영주;박충서;양창헌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1호
    • /
    • pp.151-163
    • /
    • 1989
  • 건강한 성인 83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시한 신경전도속도 검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지의 정중신경에서는 운동신경의 TL이 3.0-4.2msec 이고, MNCV는 각각 52.1-70.3m/sec(W-E), 44.6-71.0m/sec(E-Ax), 56.6-70.8m/sec(W-E), 50.5-75.1m/sec(E-Ax)이며, CNAP의 진폭은 $6.5-46.1{\mu}V$였다. 2) 척골신경에서는 운동신경의 TL이 2.4-3.4msec이고, MNCV는 각각 54.6-72.8m/sec(W-E), 41.1-64.9m/sec(E-Ax)이며, 진폭은 3.1-12.0mV였다. 척골신경의 MNCV는 각각 31.1-44.7m/sec(F-W)m, 55.9-70.9m/sec(W-E), 46.9-67.1m/sec(E-Ax)이며, CNAP의 진폭은 4.8-42.9${\mu}V$범위였다. 3) 요골신경에서는 운동신경의 TL이 1.9-2.7msec이고, MNCV는 53.1-77.5m/sec(W-E)이며, CMAP의 진폭은 1.1-6.6mV범위였다. 요골신경의 SNCV는 각각 38.5-52.1m/sec(F-V), 53.2-75.2m/sec(W-E) 이며, CNAP의 진폭은 $2.5-9.2{\mu}V$범위였다. 4) 하지의 비골신경에서는 운동신경의 TL이 3.5-5.7msec이며, MNCV는 각각 44.4-58.6m/sec(A-FH), 42.8-65.8m/sec(FH-PF)이며, CMAP의 진폭은 0.6-12.7mV 범위였다. 5) 후경골신경에서는 TL이 4.0-6.2m/sec이며, MNCV는 40.6-60.6m/sec이며, CMAP의 진폭은 3.9-29.2mV범위였다. 6) 비골신경의 SNCV는 37.5-49.5m/sec이며, CNAP의 진폭은 $0.7-17.1{\mu}V$범위였다. 7) H-반사의 평균 잠복기는 28.4msec였다.

  • PDF

Escherichia coli O157:H7 균주의 열저항성에 미치는 예비열처리 및 Ascorbate의 효과 (Effects of Preheating and Ascorbate on Heat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O157:H7)

  • 권오진;김덕진;김순희;변명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4-309
    • /
    • 1997
  • A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thermal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s influenced by the effects of temperature, time, suspension medium and ascorbate. Tryptic soy broth was more heat resistant than pfosphate buffer (pH 7.1), with D values of 1.52~1.68 min at 6$0^{\circ}C$ and 1.51~1.63 min at 7$0^{\circ}C$ compared with 1.52~1.65 min at 6$0^{\circ}C$ and 1.26~1.61 min at 7$0^{\circ}C$ for phosphate buffer as suspension medium. E. coli O157:H7 was completely inhibited within 30 min when small inoculum (106 CFU/$m\ell$) was heated at 7$0^{\circ}C$. When E. coli O157:H7 was preheated at 48$^{\circ}C$ for 60 min in phosphate buffer before heating, D values were 1.28~1.60 min at 6$0^{\circ}C$, and 1.13~1.56 min at 7$0^{\circ}C$, showing that preheating increases the heat resistance of the strain. Phosphate buffer containing ascorbate (0.001 M) was enhanced the thermal inactivation of the strain when inoculated as large inoculum (109 CFU/$m\ell$), while ascorbic acid was no effect at low cell concentrations (109 CFU/$m\ell$).

  • PDF

Microbial Conversion of Ginsenoside from the Extract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by Lactobacillus sp.

  • Cho, Hye-Jin;Jung, Eun-Young;Oh, Sung-Hoon;Yoon, Brian;Suh, Hyung-Joo;Lee, Hyun-S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105-112
    • /
    • 2010
  • Thirty-four strains of Lactobacillus species were isolated from soil and eight of these isolates (M1-4 and P1-4) were capable of growing on red ginseng agar. The M1 and P2 strains were determined to be L. plantarum and other strains (M2, M3, M4, P1, P3 and P4) were determined to be L. brevis. Fermentation of red ginseng extract (RGE) with strains M1, M2, P2 and P4 resulted in a low level of total carbohydrate content (174.3, 170.0, 158.8 and 164.8 mg/mL, respectively). RGE fermented by M3 showed a higher level of uronic acid than the control. The polyphenol levels in RGE fermented by M1, P1 and P2 (964.9, 941.7 and $965.3\;{\mu}g/mL$,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936.8\;{\mu}g/mL$). Total saponin contents in fermented RGE (except M1)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RGE fermented by M2 and M3 had the highest levels of total ginsenosides (31.7 and 32.7 mg/mL, respectively). The levels of the ginsenoside Rg3 increased from 2.6 mg/mL (control) to 3.0 mg/mL (M2) or 3.1 mg/mL (M3). RGE fermented by M2 and M3 also had the highest levels of Rg5+Rk1 (7.7 and 8.3 mg/mL, respectively). Metabolite contents of ginsenoside (sum of CK, Rh1, Rg5, Rk1, Rg3 and Rg2) of M2 (13.0 mg/mL) and M3 (13.9 mg/mL) were also at a high level among the fermented RGE. Protopanaxadiol and protopanaxatriol content of ginsenoside of M2 (10.9 and 5.4 mg/mL, respectively) and M3 (11.0 and 5.7 mg/mL, respectively) were at higher levels than other fermented RGE.

Short channel SNOSFET EEPROM의 제작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bre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hort channel SNOSFET EEPROM)

  • 강창수;김동진;서광열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6권4호
    • /
    • pp.330-338
    • /
    • 1993
  • Channel의 폭과 길이가 15 x 15.mu.m, 15 x 1.5.mu.m, 1.9 x 1.7.mu.m인 비휘발성 SNOSFET EEPROM 기억소자를 CMOS 1 Mbit 설계규칙에 의하여 제작하고 체널크기에 따른 $I_{D}$- $V_{G}$특성 및 스위칭 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게아트에 전압을 인가하여 질화막에 전하를 주입시키거나 소거시킨 후 특성을 측정한 결과, 드레인전류가 적게 흐르는 저전도상태와 전류가 많이 흐르는 고전도상태로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5 x 15.mu.m의 소자는 전형적인 long channel특성을 나타냈으며 15 x 1.5.mu.m, 1.9 x 1.7.mu.m는 short channel특성을 보였다. $I_{D}$- $V_{G}$ 특성에서 소자들의 임계 문턱전압은 저전도상태에서 $V_{W}$=+34V, $t_{W}$=50sec의 전압에서 나타났으며 메모리 윈도우 폭은 15 x 15.mu.m, 15 x 1.5.mu.m, 1.9 x 1.7.mu.m의 소자에서 각각 6.4V, 7.4V, 3.5V였다. 스위칭 특성조사에서 소자들은 모두 논리스윙에 필요한 3.5V 메모리 윈도우를 얻을 수 있었으며 논리회로설계에 적절한 정논리 전도특성을 가졌다.특성을 가졌다.다.다.

  • PDF

대두(大豆) 단백질(蛋白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7S Globulin중의 복합단백질(複合蛋白質)의 분리(分離) 및 그 구성(構成) Subunit에 대하여 (Studies on Soybean Protein [Part ll]-Isolation and Subunit Composition of Multiple 7S Globulins-)

  • 이춘영;김인수;김수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26-32
    • /
    • 1977
  • 대두(大豆)(Glycine max cultivar Gwang-gyo)의 각 성숙시기(成熟時期)에 나타나는 7S globulin을 분리하여 Davis 방법(方法)에 의한 전기영동과 PAWU용매에 의해서 유리(遊離)되는 그들의 subunit를 전기영동한 결과 7S globulin중의 복합단백질간(複合蛋白質間)에는 그 구성(構成) subunit에 유사성(類似性)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7S globulin의 복합단백질(複合蛋白質)을 DEAE-Sephadex A-50으로 크로마토그라피하여 분리하였다. 이때 pH 7.6의 인산완충액(燐酸緩衝液)에서 NaCl의 농도구배(濃度句配)가 0.28M부터 0.40M 사이에서 두 개의 분획(分劃)으로 분리되었다. 이들 명(名) 단백질(蛋白質)의 subunit를 5M urea와 1% SDS로 유리(遊離)시켜 7.5% acrylamide-PAWU gel과 5.6% acrylamide-SDS gel에서 전기영동하였다. 그 결과 subunit의 하전량(荷電量)에 의해서 분리되는 PAWU gel전기영동에서 7S globulin이 5개의 주 분리대로 분리되고 그중 2개의 분리대가 7S-A globulin과 7S-B globulin에 공유(共有)되어 있었다. 또 subunit의 분자량(分子量)에 따라서 분리되는 SDS gel 전기영동에서는 7S globulin이 7개의 주 분리대를 나타내는데 그 중에서 3개의 분리대가 7S-A와 7S-B 분획에 공유(共有)되어 있었다. 따라서 7S globulin의 복합단백질간(複合蛋白質間)에는 구성(構成) subunit간(間)에 유사성(類似性)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hitinase, ${\beta}-1,3-glucanase$ 및 lysozyme 효소활성을 보유한 벼잎 산성단백질 RCG-2 (Isolation and Properties of a Protein, RCG-2, Having Chitinase, ${\beta}-1,3-Glucanase$ and Lysozyme Activities from Rice Leaves)

  • 엄성연;김수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1호
    • /
    • pp.49-55
    • /
    • 1994
  • 벼잎의 산성용액 추출물로부터 ion exchange chromatography chitin affinity chromatography chromatofocusing gel slicing 등의 방법으로 단백질 RCG-2를 순수분리하였다. 본 단백질은 chitin과 laminarin을 가수분해하므로 chitinase와 ${\beta}-1,3-glucanase$ 활성을 함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M. lysodeiktikus cell wall을 가수분해하는 lysozyme 활성도 보유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분자량이 29.77 kd인 본 효소의 chitinase 활성은 pH 4.0에서, ${\beta}-1,3-glucanase$ 활성은 pH 7.0에서 최대로 나타났고, 최적온도는 두 효소 활성 모두 $40^{\circ}C$ 이었다. chitin에 대한 $K_M$ 값은 7.86 mM, $V_{max}$$0.025\;{\mu}M/min$, laminarin $({\beta}-1,3-glucan)$에 대한 것은 각각 5.95 mM, $0.16{\mu}\;M/min.$ 이었으며, 정제된 효소는 chitin을 chitooligosaccharide로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endochitinase로 판명되었다.

  • PDF